항목 ID | GC00602460 |
---|---|
한자 | 養正齋遺稿 |
영어음역 | Yangjeongjae Yugo |
영어의미역 | Posthumous Works of Yangjeongjae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손앵화 |
성격 | 시문집 |
---|---|
관련인물 | 이복겸(李福謙)[1744~1823]|이형규(李馨奎)|이형대(李馨大)|이백효(李伯孝)|이정우(李整雨) |
저자 | 이복겸(李福謙)[1744~1823] |
편자 | 이형규(李馨奎)|이형대(李馨大)|이백효(李伯孝) |
간행자 | 이정우(李整雨) |
간행연도/일시 | 1933년 |
권수 | 2권 |
책수 | 1책 |
사용활자 | 신연활자(新鉛活字) |
가로 | 18.9㎝ |
세로 | 28.5㎝ |
표제 | 養正齋遺稿 |
소장처 | 연세대학교 도서관 |
소장처 주소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134[연세로 50] |
[정의]
1933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인물인 이복겸의 유고 시문집.
[개설]
이복겸(李福謙)[1744~1823]의 호는 양정재(養正齋)로, 남원군 이백면 초동마을 출신이다.
[편찬/발간경위]
아들 이형규(李馨奎)와 이형대(李馨大), 손자 이백효(李伯孝) 등이 편집한 것을 1933년 6세손 이정우(李整雨)가 간행하였다.
[서지적 상황]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전남대학교 도서관,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데, 본서의 저본은 1966년에 신연활자로 간행된 연세대학교 도서관 소장본이다.
[형태]
2권 1책이며, 신연활자본이다. 표제는 양정재유고(養正齋遺稿)이다. 어미는 상흑어미(上黑魚尾), 광곽은 사주쌍변(四周雙邊)이다. 반곽 크기는 가로 14.1㎝, 세로 20.2㎝이다. 행수는 11행, 한 행의 자수는 24자이고, 주석은 쌍행이다.
[구성/내용]
권두에 김종가(金種嘉)와 정규조(鄭圭朝) 등의 서문과 권말에 백효·이일근(李一根)의 발문이 있다. 책의 내용은 시(詩)·제문(祭文)·서(序)·서(書)·설(說)·기(記)·행장(行狀)·묘갈명(墓碣銘) 등이다. 권1에 시 175수, 권2에 잡저 3편, 제문 4편, 서(序)·서(書) 각 1편, 부록으로 기(記)·제문·행장·묘갈명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의 시 중에는 서정성이 강한 「효종(曉鐘)」·「야상고원(夜想故園)」과 교훈성이 짙은 「독역(讀易)」·「야우재십영(爺愚齋十詠)」이 눈에 띈다. 잡저 중 「오륜편영(五倫編詠)」은 중국과 우리나라 인물들 중 인륜에 모범적인 150명의 생애와 업적을 운문체로 요약해 놓은 것으로, 오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필첩지(筆帖識)」는 1805년(순조 5)에 중국 동진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의 서체를 본떠서 해서와 행서, 초서의 서예 교본을 만들고 지은 글이다. 서(書)의 「답의헌서(答毅軒書)」는 이심전과 이기설에 관하여 12조목에 걸쳐 문답한 내용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