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000810
한자 麟坪大君致祭文碑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산46-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엄익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622년 - 인평 대군 이요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658년 - 인평 대군 이요 사망
건립 시기/일시 1724년 - 인평대군치제문비 건립
문화재 지정 일시 1978년 10월 10일연표보기 - 인평대군치제문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인평대군치제문비 경기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재지 인평대군치제문비 소재지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산46-1지도보기
성격
양식 옥개 방부형
관련 인물 인평 대군(麟坪大君) 이요(李㴭)[1622~1658]
재질 화강암
크기(높이 총 높이 359㎝, 355㎝|비 높이 200㎝, 204㎝
너비 88㎝, 87㎝
두께) 34㎝, 38㎝
관리자 이춘남
문화재 지정 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인평 대군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개설]

인평 대군(麟坪大君) 이요(李㴭)[1622~1658]는 조선 후기 왕족으로 자는 용함(用涵), 호는 송계(松溪)이다.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으로 1630년 인평 대군에 봉해졌다. 저서로 『송계집(松溪集)』·『연행록(燕行錄)』·『산행록(山行錄)』 등이 있고, 사후 효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건립 경위]

인평대군치제문비(麟坪大君致祭文碑)는 모두 2기로 묘역 아래 비각 안에 동서로 배치되어 있다. 서쪽 비의 앞면에는 1658년 효종 제문을 효종 어찰에서 집자(集字)하여 새기고, 뒷면에는 1693년 포천으로 무덤을 이장할 때 숙종이 어제 어필한 제문을 새겼다. 비석의 몸돌은 1693년에 제작하였다가, 1724년에 전액까지 더하여 완전한 비석으로 세웠다. 또 동쪽 비에는 위쪽으로부터 1762년과 1765년의 영조 어제 어필 제문, 1792년 정조 어제 어필 제문, 1825년 순조 어제 어필 제문 등의 순서로 새겼다.

[위치]

인평대군치제문비는 포천시에서 국도 43호선로 신북면 삼거리까지 나아가 ‘이해조길’로 좌회전하여 신북교를 건너 진행한다. 이어 신평 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50m 정도 가다가 좌측의 골목 작은 길로 약 200m 올라가면 인평 대군 묘역 아래 치제문 비각이 나타난다. 주소지는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산46-1번지이다.

[형태]

비석의 형태는 팔작지붕 모양의 덮개에 네모진 받침을 지닌 옥개 방부형(屋蓋方趺形)으로 옥개의 용마루 양끝에 용두(龍頭)를 조각하였고, 옥개의 추녀는 살짝 올라갔다. 재질은 화강암이다. 두 기의 비는 각각 총 높이 359㎝와 355㎝, 비 높이 200㎝와 204㎝이고 너비는 88㎝, 87㎝이며 두께는 34㎝, 38㎝이다. 자경(字徑)은 전액 9㎝, 비문 3㎝이고, 글꼴은 해서체이다.

[금석문]

치제(致祭)란 윗사람이 제물(祭物)과 제문(祭文)을 내려 죽은 아랫사람을 제사(祭祀)하는 일로 인평대군치제문비는 조선 왕들이 인평 대군을 추모하며 직접 지어 보낸 제문을 새긴 비석이다. 서쪽 비의 말미에 1693년 양원군(陽原君) 이환(李煥)이 기록하고, 1724년 서평군(西平君) 이요(李橈)가 전액하여 비석을 세웠다는 명문이 있다.

[현황]

1978년 10월 10일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이춘남이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