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연기읍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0499
한자 燕岐邑誌
영어공식명칭 Yeongieupji
이칭/별칭 연기현읍지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
성격 읍지
권책 1책

[정의]

1772년 이후에 편찬된 충청도 연기현의 읍지.

[개설]

충청도 연기현[현 세종특별자치시] 읍지로, 조선 후기 편찬본이지만 연대는 미상이다.

다만 열녀 가운데 영종조(英宗條)라는 기록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정조대 이후에 편찬된 것을 알 수 있다. 표제명은 연기현읍지이다.

[형태/서지]

1책 필사본이다. 표지는 ‘연기현읍지(燕岐縣邑誌)’로 되어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연기읍지』 내용은 도로(道路), 건치연혁(建置沿革), 군명(郡名), 형승(形勝), 성지(城池), 관직(官職), 성씨(姓氏), 풍속(風俗), 능침(陵寢), 단묘(壇廟), 공해(公廨)[관가 소유 건물], 방리(坊里)[마을], 산천(山川), 제언(堤堰), 창고(倉庫), 물산(物産), 교량(橋梁), 역원(驛院), 목장(牧場), 관방(關防)[변방의 방비를 위하여 설치한 요새], 봉수(烽燧), 누정(樓亭), 사찰(寺刹), 고적(古蹟), 진보(鎭堡)[조선 시대에 변경에 있던 각 진영과 보루], 인물(人物), 전부(田賦)[토지세], 진공(進貢)[공물], 조적(糶糴)[환곡을 꾸어 주거나 거두어들이거나 하던 일], 전세(田稅)[논밭에 부과되는 조세], 대동(大同)[여러 가지 공물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납세제], 균세(均稅)[부자에게는 많이 걷고 가난한 자에겐 적게 걷던 균역법에 의한 세금제], 봉름(俸廩)[조선시대에 벼슬아치에게 봉급으로 주던 쌀], 군액(軍額), 책판(冊板)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기할 사항은 호구조(戶口條)가 누락되고 전부, 대동, 균세, 전세, 조적, 방리조 등 경제·행정 항목이 상세하다는 점이다.

인물조에 충효열 정려 인물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고 전부, 진공, 조적, 전세, 대동, 균세, 봉름, 군액, 책판에 대한 기록이 상세하다. 방리조가 상세하지만 리별 거리는 기재되어 있어도 호구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여지도서의 내용과 비교해 보면 누정 항목 가운데 연희정과 합강정이 남아 있지 않다고 기록되어 있고, 인물 항목 중에는 열녀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연기현은 현재 행정구역상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조치원읍·연서면·연동면 일대에 해당하며, 읍치(邑治)[고을 수령이 사무를 보던 관아가 있던 곳]는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에 있었다.

『연기읍지』는 조선 후기 연기현의 상세한 정보를 수록한 읍지로, 자료적 가치가 높은 자료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