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600402 |
---|---|
한자 | 順天松廣寺應眞堂 |
영어공식명칭 | Eungjindang Hall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영어음역 | Eungjindang Hall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영어공식명칭 | Eungjindang Hall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
이칭/별칭 | 순천송광사 응진전,순천송광사 나한전 |
분야 | 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남호현 |
건립 시기/일시 | 1504년 - 순천송광사응진당 건립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1년 6월 5일 - 순천송광사응진당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 지정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순천송광사응진당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현 소재지 | 순천송광사응진당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
원소재지 | 순천송광사응진당 -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송광사안길 100[신평리 12] |
성격 | 불전 |
양식 | 주심포와 익공계 양식이 혼재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3칸 |
소유자 | 송광사 |
관리자 | 송광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 신평리 송광사에 있는 조선시대 불전.
[위치]
순천송광사응진당은 순천 송광사 경내의 가장 안쪽 구석에 설법전 뒤로 단 위에 있다.
[변천]
순천송광사응진당은 응진전 또는 나한전이라고도 한다. 내부에 16나한상과 16나한도를 봉안하고 있다. 순천송광사응진당 창건에 대한 확실한 논거가 없었으나, 2000년 순천송광사응진당을 수리할 때 종도리[건물의 제일 높은 자리에 있는 도리]와 장혀(長舌)에서 초창 연대를 밝힐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발견되었다. 종도리 밑 장혀의 묵서명 기록에 따르면, 순천송광사응진당 초창은 1504년(연산군 10) 2월 13일 상량(上樑)이라 하였고, 불사에 참여한 이들은 주지(住持) 숭은(崇隱), 도사(都事) 운석(雲碩), 화주(化主) 영철(靈哲), 대목(大木) 각경(覺冏)·상운(尙雲)·설청(雪靑)·철선(哲宣)·경희(敬熙)·정밀(精密)·시응(時應)이다. 순천송광사응진당은 1623년(인조 1) 대대적인 보수를 하였으며, 이후 보존에 힘써 현재도 처음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형태]
순천송광사응진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건물이다. 높은 기단 위에 덤벙주초[둥글넓적한 자연석을 다듬지 아니하고 놓은 주춧돌]를 놓고 원기둥을 세웠다. 창방 위로는 벽체와 뜬창방을 얹고 장혀받침 8각형 도리를 이어서 중첩하였다. 공포는 출목첨차 있는 1출목2익공의 익공계 양식이다. 즉 주두 밑으로 초익공을 결구하고 주두 상부로는 출목첨차와 이익공 쇠서로 결구하여 외목도리와 장여를 받치고 있다. 하지만 공포의 첨차의 경사면 처리 수범은 쌍괄호 형식으로 하여 주심포(柱心包)계 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내부의 공포형식은 운공형 보아지로 대들보를 떠받치고 있다. 통칸으로 전·후면에 배치된 기둥 위에 얹힌 대들보는 굵어서 건실하며, 대들보 위에는 포대공을 얹어서 주심포계 건축양식을 표방하고 있다. 또한, 보조재인 솟을합장을 둔 점도 주심포계 건축양식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가구 형식은 좌우 측면에는 고주를 두어 2고주 7량가이고, 내부공간은 무고주 7량가로 중간에 기둥이 없다. 천장은 연등천장(椽背天障)[서까래가 드러난 천장]이고 불단 위에만 닫집을 설치하였으며,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았다. 정면은 겹처마이며 후면은 홑처마이다. 측면은 바람막이 판인 풍판을 설치하였으며, 지붕은 맞배지붕[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고, 지붕의 두 면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형상]이다.
[현황]
순천송광사응진당은 2001년 6월 5일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순천송광사응진당에서 중요한 곳은 종도리 부분이다. 종도리에는 화반 위에 도리 방향으로 포대공을 놓고 그 밖을 솟을합장으로 보강하고 있는데, 이러한 것은 한국의 목조건축에서 고식이라 생각되는 형식이다. 순천송광사응진당은 건립연대와 건립 참여자들이 밝혀지면서 16세기 불교 건축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