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시에서 시민의 단합을 목적으로 만든 합창 가요. 「양주 시민의 노래」는 1980년 말 제정에 착수하여 1981년 초에 완성되었다. 이 시기는 구리읍, 미금읍, 진접면 등 8개 읍면이 남양주군으로 분리[1980. 4. 1]되고 동두천시의 분리[1981. 7. 1]가 추진되던 때였다. 양주가 분리되기 이전에는 남양주, 동두천이 양주의 관할 구역이었기 때문에 “북으로 소요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살아가고 배려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소질을 계발하고 창조하는 어린이, 안전하게 생활하고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큰 꿈, 바른 인성을 지닌 창의적인 가납 어린이 육성’이다. 1927년 5월 1일 가납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1937년 효촌간이학교가 부설 학교...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다리. 조선 시대 가납리 마을 입구 하천에 우시장이 있었는데 큰 가래나무로 다리를 놓았다하여 가납교 혹은 추교(楸橋)라고 하였다. 2011년 현재 콘크리트로 만든 가납교의 제원을 살펴보면 길이 50m, 폭 18m의 왕복 4차선의 다리이다. 조선 후기 광적면을 가로지르는 신천에 놓여 있었던 다리로 가래나무로 만든 임시 다리가 바로 가납교였다. 홍수...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납리(佳納里)라는 땅 이름은 가라비·가래비·가납·추교(楸橋)라고 불리는 것으로 볼 때, 가래나무가 많아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즉, 가래나무가 많은 지역이라는 뜻을 지닌 ‘가납’을 그냥 한자로 옮기면서 아무 뜻이 없는 ‘가납(佳納)’으로 표기한 것이다. 그러나 일설에는 광적면의 북서쪽에 있는 산에서 흘러 내려오는 여러 물줄기가 가래비 지역...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 있는 자연 마을. 가능은 조선 중기 청백리로 유명한 백인걸(白仁傑)의 묘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혹은 골짜기의 숫자가 백골이 되어야 능이 되는데 이 마을에 있는 골짜기가 아흔아홉 골에 그쳐서 진짜 능이 되지 못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언제부터 가능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조선 중기 백인걸의 묘가 만들어진 이후부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빙벽장. 가래비빙벽장은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 도락산 구 채석장 터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빙벽장으로 전국에서 가장 빨리 얼음이 언다. 초급에서 중급까지 이용하는 빙벽장이며 서울 근교에 위치하여 주말에 이용자가 많으며 현재 ‘가래비빙폭’으로 불리고 있다. 겨울 동안 빙벽을 탈 수 있는 곳은 대개 중부 이북 지역에 몰려 있으며 설악산의 대형 폭포...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가래비 3·1 만세 운동 기념비. 가래비 3·1운동기념비는 1919년 3월 28일 만세배미에서 일어난 가래비 3·1 만세 운동을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1986년 3·1절 기념식 시위에 동참하였던 당시 양주군 광적면 출신 백인현의 발의로 기념비 건립 추진 위원회가 구성되고, 조태훈이 위원장을 맡았다. 기념비 건립 추진 과정에서는 광적면장 이...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 만세배미에 있는 3·1 운동 순국열사 기념비. 가래비 3·1운동 순국기념비가 서 있는 만세배미는 1919년 3월 28일 군민 950여 명이 모여 독립 만세를 부르고 독립을 외쳤던 곳이다 이때 만세 운동을 주도한 백남식(白南式)·이용화(李龍和)·김진성(金辰成) 등 세 명이 왜병의 총탄에 맞아 그 자리에서 숨지고 40여 명이 부상을 당하였다. 이후 이곳은...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에 있는 전자부품 제조업체. 가야엘씨디는 2006년 7월 1일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은 전자 부품 제조로, LCD 모니터 부품인 램프와 커버어쎄이를 생산하고 있다. 2016년 현재 대표 이사는 이장우이다. 자본금은 5000만 원이다. 종업원 수는 2010년 51명에서 2011년에 100명으로 증가하였다....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법정리. 옛날부터 이 지역에 가래나무가 많으므로 가래비 또는 가업·추곡이라 하였다가 가업리(加業里)가 되었다고 한다. 혹은 마을 모양이 소를 닮았다고 하여 소처럼 일하라는 뜻에서 생긴 이름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실제 가업리의 남쪽에 있는 한강봉과 은봉산 자락에서 여러 갈래의 계곡물이 흘러나오고 있어, 땅 이름은 이것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자연 마을. 조선 시대 연산군이 경기 북부 지역을 사냥터로 지정하고 이 구역에 백성의 접근을 금지하는 금표(禁標) 줄을 쳤다. 이때 금표 구역에서 바깥쪽에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라 하여 가좌동(佳左洞)이라 불렸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가재울로 발음이 변하였다. 가재울은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가자동리(加自洞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도로명...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에 있는 전통 떡 브랜드이자 식품 가공 종합 센터. 신양주 영농 조합 법인과 양주 쌀 가공 식품 복합 문화 사업단이 양주 쌀 소비 촉진과 위축된 농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려는 목적으로 2014년 12월 17일 식품 가공 종합 센터를 준공하고 본격적으로 ‘가즌뜰’ 시판에 나섰다. 명칭에서 ‘가즌[갖은]’은 ‘모든 것이 잘 갖추어진’ 것을 뜻하는 순우리말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황방리 와 파주시, 연천군에 걸쳐 있는 산. 감악산(紺嶽山)은 매우 신령스러운 산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짐작된다. 감악산의 ‘감’자를 ‘가미’의 음차로 보아 ‘감악’을 가미[神]의 산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달리 멀리서 보면 감색이어서 감악산이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여러 측면에서 보건대 감색이어서 감악산이라 했다는 말보다는 산신 가미...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감악산에 조성되어 있는 등산로. 감악산[675m]은 경기도 북부 지방에서 제일 높은 산으로 여러 시·군에 걸쳐 있으며, 서울을 기점으로 대략 1~2시간 거리에 있고 높이에 비해 정상에 이르는 산행 코스가 비교적 짧고 산행 시간도 적당해서 서울과 수도권 등산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산이다. 감악산 등산로는 양주시를 비롯하여 의정부시와 서울 등 감악산을 찾는 수도권 등...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 있는 정보화마을.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는 농림부, 정보통신부 등과 함께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은 농촌, 어촌, 산촌 등 정보화 시대에 소외된 지역에 인터넷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전자 상거래 등 정보 콘텐츠를 구축하여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입암리 망당산의 북쪽 기슭에 있는 갓 모양 바위. 갓을 쓰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갓바위라는 이름이 붙었다. 갓바위의 갓을 벗겨 욕심을 차리려 한 욕심 많은 부자가 등장하는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옛날 흔터에 부자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늙은 승려가 시주를 하러 오자 부자는 거지 등살에 못살겠다고 푸념을 늘어놓았다. 그러자 승려는 거지를 오지 못하게 하는 방법...
-
경기도 양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강승구(姜昇求)[1903~1986]는 1903년 10월 14일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에서 태어났다. 1954년 5월 20일 실시한 제3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양주 을구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정치에 입문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재선되었으며, 1963년 제6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의정부 선거구에서 민정당 소...
-
경기도 양주 출신의 국회 의원. 본관은 진주. 아버지는 의정부읍장을 지낸 강원근(姜元根)이고, 어머니는 이만분(李滿分)이다. 3남 5녀 중 장남이며, 부인은 송옥잡(宋玉煠)이다. 슬하에 강승형(姜昇馨)을 두었다. 강영훈(姜永薰)[1927~1960]은 1927년 7월 2일 양주군 의정부읍 신곡리[현 의정부시 신곡동]에 있는 둔배미마을에서 태어났다. 육군대학을 졸업한 후 1954년 5...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 긴재 도로 옆 돌논에 있는 바위. 개구리바위는 개구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360여 년 전에 마을 사람들이 마을의 평화와 안녕을 비는 의미에서 암수 개구리[혹은 두꺼비]바위 한 쌍을 만들어 논에 두었다고 한다. 또한 개구리바위를 건드리거나 옮기면 재앙이 온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개구리바위는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의 응달말 서쪽에 있다. 북...
-
경기도 양주시의 시화(市花). 풍요와 영광을 지향하는 개나리는 새 양주의 기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벌레도 별로 없이 수수하게 잘 자란다. 개나리가 언제부터 양주시의 시화로 지정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서울·부산·대구 등의 대도회지에서 1970~1972년에 시화를 지정한 것으로 유추하면 양주시에서도 1970년대에 지정하였으리라 추정된다. 2003년 10월 19일 양주군이 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양주시 백석읍, 파주시 광탄면 기산리·영장리에 걸쳐 있는 산. 개명산(開明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전에는 고령산(高嶺山) 또는 고령산(高靈山)으로 불리었다. 모두 산이 높은 데서 비롯된 이름이다. 그 후로 한때는 계명산(鷄鳴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동여비고(東輿備考)』[1682]에서는 고령산을 일명 계명산으로 부른다고 하였고, 『동국여도(東國輿圖...
-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세워진 건물과 건물을 설계하고 짓는 기술이자 예술. 건축의 본질은 쾌적하고도 안전한 생활의 영위를 위한 기술적인 전개와 함께, 공간 자체가 예술적인 감흥을 가진 창조성의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인간 활동을 위한 유용한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건축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주거 건축, 종교 건축, 관청 건축, 휴양 건축, 복지와 교육 건축, 상업과 공업 건축 등으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는 산업 단지로, 시·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장이 지정한다. 검준일반산업단지는 1999년 4월 8일 경기도 고시 제1999-91호에 의해 일반 산업 단지로 지정되었으며, 2000년 3월 17일 산업 단지 실시 계획을 승인 받아 2000...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연곡리에 있는 고개. 게너미고개는 게가 넘어가는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옛날 인근 노고산에 노고 할머니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노고 할머니가 오줌이 마려워 다리 한쪽은 노고산에 걸치고 다른 한쪽은 반대편 도락산에 걸친 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와 광석리 경계 지점 부근 황새등고개에 있는 요강바위에 오줌을 쌌다고 한다. 그런데 요...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게이트볼장. 양주시 게이트볼장은 주민들의 여가 및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연령이 증가하면 운동 부족 현상으로 성인병인 고혈압, 동맥경화, 심폐질환, 순환기 장애, 당뇨병, 그리고 호흡 장애와 같은 대사 능력 장애가 발생하는데, 게이트볼은 이러한 대사 질환을 예방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게이트볼장은 주민들의 건강 증진과 더불어 지역 노인...
-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한 경기 북부 지역을 관할하는 상공회의소. 경기북부상공회의소는 특별법인 「상공회의소법」에 의해 설립되어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하는 경기 북부 지역의 상공업 발전과 지역 사회의 균형 성장을 위해 다양하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법정 민간 경제 단체이다. 농업·수산업 등 1차 산업을 제외한 모든 업종의 대기업·중소기업 및 상공업자를 회원으로 하는 종합 경제...
-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하는 경기 북부의 뉴스를 다루는 지역 신문. 한국 사회에서 시민 사회의 성장은 2000년대 들어서면서 다양한 분야와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교통 통신의 발달과 산업화, 사회·복지·문화 등 각 분야에서 지역 균등 발전이 추진되었고, 소득 향상과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지역 사회와 문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 과정에서 지역과 관련된 생생한 소식을 전하고 지역 발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 K&B미디어에서 발행하는 지역 일간 신문. 소통과 공유를 바탕으로 연대의 틀을 마련하여 이 사회를 더 나은 사회로 바꾸고, 동두천과 양주 지역 주민들의 세세한 소식, 아름다운 이야기, 변화에 대한 갈망 등에 귀 기울이기 위하여 1999년 주간 『동두천 시민신문』으로 창간되었다. 이후 2006년 6월 22일 경기 북부 지역 최초의 일간지 창간을 위해 일간...
-
경기도 양주를 포함하는 경기 북부 지역을 취재 권역으로 발행되는 지역 주간 신문. 통일 시대 중심지인 경기 북부 지역의 척박하고 심각한 삶의 질 격차를 해소하며, 주민들에게 바르고 신속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6년 3월 『의정부포커스』가 창간되었다. 타블로이드판으로 매주 목요일 10면으로 발행된다. 5단 편집에 가로쓰기를 하고, 1면이 컬러이다. 95% 이상이 경기 북부 지역...
-
경기도 양주시와 동두천시를 관할하는 교육 행정 기관. 경기도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은 경기도 양주시와 동두천시의 교육을 총괄하고 미래의 꿈나무인 초중등 교육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1년 동두천교육청이 개청되었다. 초대 교육장은 박응서였다. 1983년 3월 29일 경기도 동두천시 지행동 284-1번지에 동두천교육청의 청사가 준공되어 5월 3일 이전...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경동대학교 양주 캠퍼스. 경동대학교의 교훈은 ‘창조·자율·봉사’이다. 교육 목적은 충(忠)·효(孝)·인(仁)·경(敬)의 민족적 품성과 자강불식(自强不息)의 실천적 태도를 바탕으로 창조와 봉사에 앞장서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교육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폭넓은 교양 교육을 통하여 삶과 세계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원만한 인격을 완성한다. 둘째, 주체...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이자 행정리. 경신리(庚申里)라는 땅 이름은 상수리 남양 홍씨 종중산인 망당산에서 볼 때 위치가 정경신방(正庚申方), 즉 서남방에 위치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따라서 양주시의 다른 지역 땅 이름과 아주 다른 특이한 유래를 가지고 있다. 경신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문헌에 처음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만 적성군 남면 상수리와...
-
경기도 양주시 관내에서 활동하는 기업 모임 등 경제 관련 단체. 양주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빠르게 도농 복합 도시로 바뀌었다. 서울과의 근접성, 상대적으로 싼 토지, 양주시의 행정 지원 등으로 양주시 관내 입주한 기업들은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렇게 다양한 유형의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기업들 간 정보 소통, 정보 공유, 미래 발전 전망과 계획 등을 나누는 모임이 확대되었다. 이...
-
경기도 양주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생산·분배·소비·서비스 등의 활동. 양주시는 600년의 역사를 지닌 경기 북부의 중심 도시로서 서울 등 7개 시군[서울, 의정부, 고양, 파주, 동두천, 연천, 포천]과 연접해 있고, 서울 동북부 4개 구[도봉구·노원구·강북구·중랑구], 경기 동북부 4개 시[의정부시·동두천시·남양주시·구리시]의 본가이다. 양주시는 풍부한 유형 문화재·무형 문화재를...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었던 폭포. 계단폭포는 계단처럼 층을 이룬 바위에 물이 떨어지면서 폭포를 이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기당폭포(妓堂瀑布)라고도 하며, 기생들과 어울려 풍류를 즐기던 정자가 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하나 이 이야기는 와전된 듯하다. 계단폭포의 발음이 바뀌는 과정에서 기당폭포로 변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계단폭포는 북쪽의 불곡산과 남쪽의 모판...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체육공원.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생활 체육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복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양주시에서도 이 같은 면을 고려하면서 생활 체육 시설을 조성하기 시작하였다. 고덕배수지체육공원 역시 같은 배경에서 설립되었다. 양주시는 2003년 10월 19일 군에서 시로 승격되었으나 시 단위에 걸맞는 주민 체육 시설이 부족하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자연 마을. 고릉말은 옛날에 능이 있던 마을 혹은 능 자리로 적합한 지역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양주군지』[1992]와 『양주 땅이름의 역사』[2001]에 따르면 1895년 일본이 제작한 군사 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에 처음으로 고릉리(古陵里)로 소개되어 있으며, 이후 고릉말로 불리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도로명주소 등 표기에 관...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세계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창의력 있는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타인을 배려하고 더불어 사는 따뜻한 인성을 지닌 도덕인,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실력인, 기초 능력을 토대로 새로운 가치 창출의 창의력을 발휘하는 창의인, 꿈을 갖고 자주적으로 실천하여 미래를 개척하는 자주인, 강인한 정신과 체력을 기르며 감성이 풍...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글로벌 지식·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실력 있는 고암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내 고장과 이웃을 사랑하는 충효인, 깊이 탐구하며 스스로 공부하는 창의인, 바른 품성으로 공동체 생활에 참여하는 도덕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0년 1월 8일 고암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9월 1일...
-
경기도 양주시 회천3동에 속하는 법정동. 고암동(古岩洞)이라는 땅 이름은 고장리(高障里)에서 ‘고’자와 옹암동(甕岩洞)에서 ‘암’자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고장리는 고장산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옹암동은 독바위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암동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공교롭게도 이 마을의 대표적인 두 산봉우리에서 왔다고 할 수 있다. 고암동의 옛 명칭은 고암리였다. 고암리라는 땅 이름은 19...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고읍 도서관(古邑圖書館)은 신도시 개발 지역 내에 도서관 건립을 통하여 지역 주민들의 정보 및 문화 서비스 수요에 부응하려는 목적으로 개관하였다. 2010년 4월 1일 공사를 착공하여 2011년 6월 6일 준공하였다. 2011년 9월 30일 개관하였고, 2012년 3월 27일 원문 검색 서비스[국가 전자 도서관·국회 도서관]를 시작하였다....
-
경기도 양주시 양주2동에 속하는 법정동. 고읍동(古邑洞)이라는 이름은 조선 초기에 양주의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고읍(古邑)·구읍(舊邑)·고읍내(古邑內)·구읍내(舊邑內)라고도 하였다. 고읍동의 옛이름은 고읍리였다. 고려 시대에는 견주(見州)라는 독립적인 행정 구역의 치소가 있었으며, 1397년(태조 6)에는 양주의 부치(府治)가 동촌 대동리[현 서울특...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고읍동성당은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 인근 지역의 아파트 단지 형성에 따른 신도 수 증가로 2009년 8월 27일 양주2동성당에서 분립되어 신설되었으며, 같은 해 9월 8일 초대 주임 신부로 노연호[마티아] 신부가 부임하였다. 성당이 건립되지 않아 미사가 양주2동성당에서 함께 집전되다가 2009년 9월 15일 양주시 마전동 2...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과 고읍동의 경계에 있는 산. 고장산(高嶂山)은 고장동(高障洞)이라는 마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원래는 갈립산(葛立山)이라는 이름으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1530] 이후 여러 지리서에 갈립산으로 등장하며 이곳에서 옥이 생산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이 산을 태봉(胎峰)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르고 있으나 태봉은 전국적으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에 있는 섬유 날염업체. 골드오키드는 개성 있는 날염 디자인의 연구·개발로 내수 및 수출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9월 금란실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2년 4월 4일 골드오키드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2003년 1월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로 확장·이전하였다. 2009년 12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제동 101번지 대경빌딩 2층에...
-
경기도 양주시의 공적 이익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 공공 기관은 공공 행정을 담당하거나 공공 서비스 또는 공공 재화의 생산을 담당하는 공조직으로, 관공서로 통칭되는 국가 기관이나 지방 자치 단체, 공법인으로 분류되는 정부 투자 기관, 특수 법인, 그리고 각 급 학교를 포함한다. 「공공 기관의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공공 기관은 국가 행정 기관, 지방 자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서 발원하여 파주시와 고양시 일대를 흐르는 하천. 조선 제8대 임금 예종(睿宗) 비 장순왕후(章順王后)의 능인 공릉이 파주시 조리읍에 들어선 후 공릉천(恭陵川)이 되었다. 곡릉천(曲陵川)으로도 불렸으나 오류로 판명되어 공식 명칭이 공릉천으로 확정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파주목에는 보신천, 고양현에는 가둔천으로 적혀 있다. 고양시 지역에서는...
-
경기도 양주시 관내에서 원료를 가공, 성질과 형상을 변경, 정제하는 생산 부문. 공업은 원료를 가공하여 상품을 만들거나 조립하거나 하여 생산하는 산업을 말한다. 공업은 기본적으로 경공업과 중공업, 수공업과 기계 공업 등으로 분류된다. 또 한편 생산은 인간이 자연 소재에 어떤 행위를 가해 실체상·시간상·공간상의 변화를 일으켜 그 유용성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자연에서 소재를 얻어내...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오락과 휴식, 체력 단련 등을 위해 시설을 갖추고 관계 법령에 의해 조성되거나 지정된 장소. 공원이란 오락과 휴식을 위해 따로 조성되는 넓은 장소를 말한다. 우리나라의 공원은 1967년 3월 국민의 보건 휴양과 정서 생활의 향상을 위해 자연 풍경지를 효과적으로 이용·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원법」이 제정·공포되고, 이어서 「자연공원법」과 「도시공원법」이 제정...
-
경기도 양주시에서 발전시키고 있는 자연 과학, 응용과학, 공학 및 생산 기술의 총칭. 해방 이후 한국 정부는 과학 기술 정책에 있어 단순히 경제 발전을 지원할 뿐 아니라 과학 기술이 이를 주도하도록 하였다. 한국의 과학 기술 연구는 정부의 지원 노력에 힘입어 상당한 연구 수준을 확보하게 되었다. 예컨대, 한국 과학 기술계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크게 기여한 한국원자력연구소의 탄생과...
-
경기도 양주시에서 관광객이 여가 및 위락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 시설, 서비스 관련 모든 것. 양주시는 행정 구역상 경기도의 북부 중앙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동쪽으로 포천시, 서쪽으로 파주시 및 고양시, 남쪽으로 서울특별시와 의정부시, 북쪽으로 연천군과 동두천시를 접하고 있다. 면적은 310.24㎢이며 지세는 서울과 원산을 잇는 추가령 지구대의 남부에 위치하여 시의 대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위치한 사회 복지 시설. 광명보육원은 「아동복지법」 제1조의 규정에 의한 아동 복지 사업을 통해 복지 사회 건설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광명보육원은 6·25 전쟁 중이었던 1952년 3월 피난지 대구에서 서복조 여사가 만든 고아원이 그 전신이다. 전쟁이 끝난 후인 1954년 4월 현 보육원지인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1번지로 이전했으며...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부모를 사랑하는 충효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바른 건강인, 기초 기본 학력이 탄탄한 실력인, 자기 주도적 탐구심이 강한 창의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강하게, 바르게, 새롭게’이다. 2010년 3월 1일 광사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총 14학급[특수 학급 1학급 포함]으로 개교하였다. 2011년 2월 17...
-
경기도 양주시 양주2동에 속하는 법정동. 광사동(廣沙洞)이라는 땅 이름은 광암리(廣岩里)에서 ‘광’자와 삽사동(揷沙洞)에서 ‘사’자를 따서 합한 이름이다. 광암리는 넓은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삽사동은 마을 곳곳마다 모래가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광사동의 옛 명칭은 광사리였다. 광사리라는 땅 이름은 일제 초기에 처음 사용되었다. 이곳은 고주내면 광암리·삽사동·고읍리·...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회화나무. 광사동 회화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유일한 회화나무이다. 회화나무는 괴목(槐木)·괴화나무·홰나무라고도 불린다. 콩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5~30m이다. 잎은 어긋나 있는 우상 복엽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한 형태를 하고 있다. 8월에 노란색을 띤 흰색 꽃이 가지 끝에 복총상(複總狀) 꽃차...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서 발원하여 마전동에서 중랑천으로 유입하는 중랑천의 지류. 광사천(廣沙川)은 광사동이라는 행정 지명에서 따온 이름이다. 광사동은 광사리에서 나온 이름이며, 광사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광암리와 삽사리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광암리는 넉바위라는 넓은 바위가 있어 붙은 이름이고 삽사리는 마을 곳곳에 모래가 많아서 붙은 이름이다. 광사천 상류는 양...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법정리. 광석리(廣石里)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이곳의 밭 1,000여 평에 돌이 한 자[尺] 깊이로 깔려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것과, 마을에 넓은 들이 있어 넓은들·나븐들이라 부르던 것이 ‘너븐’과 ‘너븐돌’과 ‘넓은돌’을 거쳐 ‘광석(廣石)’이라는 한자어로 변하였다는 것이다.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이웃을 사랑하는 애국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기초·기본 학력이 뛰어난 실력인,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탐구하는 창의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6년 3월 1일 6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초대 이희창 교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6월 7일 개교하였으며, 2007년 2월 13일 제1회 졸업식을 통해 37명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입암리에 있는 화학섬유 직물 제조업체. 광일섬유는 의류, 산업, 완구에 쓰이는 트리코트 직물을 생산, 공급, 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4년 장태일이 편직기 10대와 정경기(整經機) 3대로 광일섬유를 창업하였다. 1999년 10월부터 2005년까지 콤파운드 3 Bar, 정경기 등 30여 대의 기계를 추가로 도입하는 등 6차례 공장을 증설하였다. 주요 생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병인박해 후 1872년 경 천주교 순교자인 남종삼(南鍾三)의 후손[남씨, 김씨, 박씨, 최씨] 6가구가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정착한 것이 기반이 되어, 1903년 우고리 19번지 개성본당 소속 우골공소에서 1923년까지 미사 봉헌이 계속되었다. 우골공소는 덕정본당[1936년], 의정부본당[1946년]으로 편...
-
경기도 양주시에 속하는 행정면이자 법정면. 광적면(廣積面)은 광석면(廣石面)에서 ‘광’자와 석적면(石積面)에서 ‘적’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광석면이라는 이름은 현재의 광석리에 펼쳐져 있는 넓은 들판에서 비롯되었다. 즉, 넓은 들판을 의미하는 ‘너븐달’이 ‘너븐돌’로 읽히고 이것이 한자로 표현되는 과정에서 ‘광석(廣石)’이 되었다. 석적면도 들판과 관련이 있는 이름이다. 즉, 들...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광적면 관할 행정 기관. 광적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남면·광적면·장흥면], 6개 동[양주1동·양주2동·회천1동·회천2동·회천3동·회천4동] 중 광적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광적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지형지물의 위로 건널 수 있도록 만든 인공 구조물. 2009년 현재 양주시에는 모두 108개의 교량이 건설되어 있으며 총 연장은 5,816m에 달한다. 도로 등급별로는 지방도가 51개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시도 8개, 고속 국도 15개, 국도 4개 순이다. 그러나 도로 연장 대비 교량 수는 고속 국도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지방도, 국도, 시도 순이다. 양주시를...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주요 도로,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교통은 국가 또는 사회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추로서 정치, 경제, 군사, 사회, 문화 등 모든 활동의 기본이 된다. 양주시의 교통망은 수도 서울 외곽 지역의 중요한 통행로의 일부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로 교통과 철도 교통으로 대별된다. 서쪽으로는 국도 39호선이 고양시 벽제에서 국도 1호선과 만나고 지방도 5...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교현리(橋峴里)라는 땅 이름은 다리고개·달고개·달현(達峴)이라고도 불린다. 원래 교현리와 고양군 효자리[현 고양시 효자동] 사이에 큰 고개가 있었고 그 계곡에 세천(細川)이 있었다. 해방 이후 이 마을의 땔감 장수들이 나무로 만든 징검다리를 놓고 서울로 왕래하였다고 한다. 이로부터 이 지역을 다리고개[달현]라고 불렀고 나중에 교현리...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에 있는 수령 약 150년의 소나무. 교현리 소나무는 양주시 지정 소나무 보호수 두 그루 중 하나이다. 소나무는 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35m까지 자란다. 잎은 두 잎이 뭉쳐나며 피침 모양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이듬해 가을에 맺는다. 육송(陸松)이라고도 한다. 교현리 소나무는 지상으로부터 4m 부위에서 세 개의 굵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이안동마을에 서 있는 남녀 한 쌍의 나무 장승. 교현리 장승은 1997년 6월 29일 자연 보호 환경 단체인 우이령보존회와 교현리 주민대책위원회에서 북한산 줄기에 건설되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및 대형 철탑으로 인한 자연 파괴를 막기 위한 신앙적 목적으로 세웠다고 하는 목장승이다. 장승이란 나무나 돌에 사람이나 신장의 얼굴을 상징화하여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 1882년 한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이후, 1885년부터 미국과 영국 계통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들어와 교육과 의료 사업에 종사하면서 전국적으로 선교 구역을 넓혔고, 선교 지역에는 각 교파 소속 교회가 설립되었다. 경기도 양주시에는 1900년 감리교회의 설립을 시작으로 장로교회, 성결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초교파교회, 대한성...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자연 마을. 지명 유래에 몇 가지 설이 있다. 만석지기 아홉 명이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으며 마을이 흡사 거북이의 머리, 등, 꼬리와 같은 형상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한편에선 일제가 원래의 이름을 한자로 옮기면서 발음을 따서 만든 이름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구만리라는 지명은 이미 19세기 말에 제작된 일본 군사 지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에 있는 자연 마을. 구미(龜尾)라는 이름의 유래는 땅 모양이 거북이 꼬리처럼 생긴 마을이라 하여 붙여졌다는 설과 남쪽에 위치한 구수에 거북이 모양을 한 바위가 있는데 이 거북바위의 꼬리 부분이 구미를 향하고 있어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두 가지 설 중 어느 것이 더 정확한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구미는 개항기까지 옛 양주군 묵은면 삼패상리를 가리키는 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구암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는 산업 단지로, 시·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장이 지정한다. 구암일반산업단지는 2003년 6월 25일 일반 산업 단지로 지정되어 개발 계획을 승인 받고, 2004년 10월 28일 일반 산업 단지 실시 계획을 승인 받았다. 2005년 9...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구암리(龜岩里)라는 땅 이름은 마을에 거북 모양을 한 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구암리라는 땅 이름은 적어도 대한 제국 시기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적성군 남면의 구암리와 사촌리[모래말]를 병합하여 연천군 남면 구암리로 확대·개편되었다. 이후 1945년 9월 「미군정포고령」 제22호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서 장흥면 일영리를 거쳐 고양시 원당동으로 연결되는 국도. 국도 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경기도 의정부시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222.8㎞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117.6㎞, 왕복 4차선은 99.8㎞, 왕복 6차선은 5.4㎞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전국 25개 남북 노선 가운데 하나로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서 회천4동, 봉양동 사이를 연결하는 일반 국도. 국도 3호선[남해-초산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평안북도 초산군까지 연결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남북 간선 국도로 양주시의 중앙부를 남북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양주시의 가장 중요한 남북 간선 도로로 기능하고 있으며 평화로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우고 있다. 일반 국도란 중요 도시, 지정 항만, 중요 비행장, 국...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에 있는 자연 휴양림. 국립 아세안 자연 휴양림은 한국과 아세안 간 산림 협력을 기념하고 외국인 근로자 및 다문화 가정과의 사회적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 캄보디아, 태국, 싱가포르 등 아세안 10개국의 전통 가옥을 테마로 조성한 곳이다. 건립 취지에 따라 아세안 10개국 출신 외국인에게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80억...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양주 지역 지사. 국민건강보험공단 양주지사는 질병·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 증진에 대한 보험 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시민의 건강과 사회 보장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9년 2월 「국민건강보험법」이 제정된데 이어, 이듬해 7월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의료보험조합을 통합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이...
-
1949년 6월 좌익 전향자로 구성된 조직인 국민보도연맹 산하 경기도 양주 지역 지부. 국민보도연맹은 대한민국 정부의 절대 지지와 북한 공산 괴뢰 정권의 절대 반대 및 타도, 공산주의 사상의 분쇄, 남북 노동당의 멸족 파괴, 정책 폭로 및 분쇄, 민족 세력의 총결집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정식 명칭은 ‘국민보도연맹’이었으나 통상 ‘보도연맹’으로 불렸다. 1948년 8월 15일...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국제키와니스 한국지구의 양주 지역 단체. 국제키와니스 한국지구 양주클럽은 전 세계 어린이를 위해 봉사하는 국제키와니스의 한국지구 지역 클럽의 하나로 보육원과 양로원을 지원하는 등 사회적 약자를 위해 봉사하고 있는 자발적 조직체로서 봉사 활동에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국제키와니스 한국지구 양주클럽은 어린이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최우...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는 국제 사회봉사 단체. 사단 법인인 국제피플투피플 양주챕터는 세계적인 국제 사회봉사 단체인 국제피플투피플 한국본부의 국내 챕터 중 하나이다. 국제피플투피플 양주챕터는 경기도 양주 지역의 소외된 독거노인과 다문화 가정의 생활 지원, 미군 장병들의 한국 문화 교육 등 국적을 불문한 지역 사회봉사 활동에 공헌함으로써 국제적 이해와 우의를 증진시키며 세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고개. 군갈무늬 부근에 있는 고개라서 군갈무늬고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궁갈무늬고개라고도 부른다. 부근에 조선 시대 군인들의 양식을 숨겨 놓았던 곳, 즉 갈무리해 놓았던 곳[군장곡(軍藏谷)]이 있었으며 이를 군갈무리라고 부르다가 발음이 바뀌어서 군갈무늬가 되었다는 설도 있고, 일제가 금광을 발굴하고자 산허리를 뚫었는데 이때 금가루가 나와서 금가루문...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원예를 주제로 한 테마파크. 1978년 실내 원예 테라리움 연구가인 최계화가 소규모 체험 공간과 정원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그린 아일랜드를 조성하였다. 그린 아일랜드는 숲속길 삼림욕, 잔디 광장, 소나무 쉼터, 유리 정원, 어린이 놀이터, 다양한 테마 정원, 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갤러리로 구성되어 있다. 테마 정원은 20여 개의 공간으...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있는 극단. ‘극단 미추’라는 이름은 도올 김용옥이 지은 이름으로 극단 창단 선언문에 따르면 ‘미추’는 아름다움과 추함을 동시에 표출하는 우리 몸의 느낌을 일컫는 것이라고 한다. 극단 미추가 해마다 무대에 올리고 있는 마당놀이는 해학과 풍자가 가득한 우리의 고전을 소재로 하되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여 관객에게 재미와 감동을 더하고 있다. 공연 1개월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저수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동쪽 계곡의 입구를 제방으로 막아 만든 저수지이다. 노고산[496m] 서남쪽 기슭 계곡에서 발원하여 금바위저수지로 유입된 물은 삼하리 일대를 관개한 후 공릉천으로 흘러들어 간다. 금바위저수지는 양주 지역에서 비교적 늦은 시기인 1986년에 준공되었다. 인가 면적은 21㏊이고 수혜 면적은 14㏊이다. 가뭄 빈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기산저수지에 있는 유료 낚시터.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는 장흥관광지에서 양주시 백석읍과 광적면으로 이어지는 산을 타고 넘는 구불구불한 길이 경사도가 높고 경관이 아름다워 연인들에게 드라이브 코스로 잘 알려져 있다. 기산저수지는 한국농어촌공사가 조성하여 관리하는 저수지로, 북쪽으로는 높이 380m의 온봉산과 소사고개가 있으며, 남쪽과 동쪽으로는 크고 작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에 있는 유원지. 1970년대 인근 초등학교의 소풍 장소와 주민들의 피서지로 이용되다가 1980년대 초반부터 기산저수지 주변으로 놀이 시설, 편의 시설, 숙박 시설이 들어서면서 자연 발생적으로 기산유원지가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기산저수지뿐만 아니라 마장저수지 주변까지 조각 공원과 특색 있는 카페, 토속 음식점들이 들어서고 수...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에 있는 저수지. 기산저수지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과 백석읍 경계에 있는 꾀꼬리봉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막아 만든 저수지이다.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일대에서 농업용수로 이용된 후 문산천으로 입수한다. 기산저수지는 1971년 11월 1일에 착공하여 1975년 12월 11일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댐]이며, 취수 형식은 취수탑형이다. 제방 높이...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기산리(基山里)는 기곡리(基谷里), 내고령리(內古靈里), 중산리(中山里)가 합해지면서 기곡리의 ‘기’자와 중산리의 ‘산’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기곡리는 사람들이 산속 골짜기에 들어와 터를 잡았다는 뜻의 터골에서 유래하였고, 중산리는 산속의 마을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기산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 이...
-
경기도 양주시에서 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조직체. 기업은 운영 목적을 중심으로 크게 개인이 영리 등을 목적으로 하여 운영하는 사기업과 국가 또는 공공 단체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운영하는 공기업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더욱 세분류하여 개인 상인, 민법상의 조합과 상법상의 특수 조합, 합명 회사·합자 회사·주식회사 등으로 나누고 있다. 일반 기업의 대표적 유형으로는 주식회사...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 있는 자연 마을. 1910년 이후 기우리로 불리고 있으며 원래는 지초라는 풀이 많이 나 지곡(芝谷)이라 불리었다. 기우리는 ‘지곡’과 같은 땅 이름으로 기우리에서 ‘기’는 지와 통하고 ‘우리’는 울[계곡]과 통한다. 언제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일제 강점기 이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해 온다. 인근에 천주교 박해를 피해 들어온 마을...
-
경기도 양주 출신의 정치인. 김덕열(金德烈)[1910~?]은 1910년 9월 2일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현 양주시 유양동]에서 태어났다. 중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법학과와 일본 중앙대학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해방 후 미군정청 관재처 감찰관과 양주군 주내면장 등을 역임하였다.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제헌국회 의원 선거에서 양주군 갑구에 출마하여 초대 제헌국회 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 있는 목조 가옥. 김방제 가옥은 6·25 전쟁 때 불에 탄 후 다시 지은 집으로서, 그 규모 및 원형은 이전과 많이 달라졌다. 원래의 집 규모가 훨씬 컸으며, 또한 안채 지붕은 현재 기와로 되어 있으나 원래는 초가였을 것으로 보인다. 김방제 가옥은 산을 등지고 남서향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ㄱ’ 자형의 안채와 ‘ㅡ’ 자형의 바깥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
경기도 양주시에서 김삿갓의 혼과 정신을 기리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바둑 대회. 2008년 양주시 바둑협회[회장 이흥규]는 김삿갓[김병연]의 출생지로 추정되며, 선비의 고장인 양주에서 차별과 냉대, 세상의 모순을 예민한 관찰과 심오한 착상 감정의 미묘한 변화를 담은 시조로 풍자하며 선비로서 불우한 삶을 살다간 방랑시인 김삿갓의 얼과 혼을 기리고 바둑 인구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동...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고암동·덕계동 일원에 있는 걷는 길. 김삿갓 풍류길은 양주시에서 불곡산 숲길, 은봉·호명산 숲길, 장흥 숲길 조성에 이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한 길이다. 양주시는 노아산 숲길과 개명산 숲길을 잇달아 조성하여 양주시 숲길 전 구간을 연결하는 숲길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양주시에서 김삿갓이 태어난 양주 회암동의 역사적 가치를 알리고 김삿갓 문...
-
경기도 양주 출신의 양주별산대놀이 기예능 보유자. 일제 시대 이후 양주 지역에 전승되어 오던 양주별산대놀이가 6·25 전쟁 이후 잊혀져 가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 김성대(金成大)는 김성태(金星泰), 이장순 등과 함께 직접 양주별산대놀이에 사용되는 가면을 제작하고, 시나리오를 써서 공연을 하는 등 양주별산대놀이의 맥을 잇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1960년부터 1970년까지 국악예...
-
경기도 양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김종규(金宗奎)[1904~?]는 1904년 10월 21일 함경남도 영흥에서 태어났다. 함흥고등보통학교 부설 사범과를 졸업하고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과를 중퇴하였다. 김종규는 일제 강점기 포천공립보통학교와 서울 효창공립보통학교 교사를 지냈으며, 양주군수, 경기도 학무국 서무, 조사기획 과장과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전무 이사와 한국인쇄주식회사 부사장 등을...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과 동두천시 탑동 및 송내동의 경계에 걸쳐 있는 칠봉산 중 한 봉우리. 조선 시대 임금이 수렵을 하는 사냥터임을 알리려고 깃발을 꽂아 놓았던 곳이라 하여 깃대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한자로는 기대봉(旗臺峰)으로 표기한다. 깃대봉 아래에 소군곡(召軍谷)이라는 골짜기가 있다. 이곳에서 왕이 군사를 불렀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양주시 마전동에도 깃대봉...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 웃말에 있었던 우물. 꽃바위우물은 근처에 꽃이 핀 바위, 즉 꽃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화암정(花岩井)이라고도 불렀다. 꽃바위 밑에서 나오는 우물을 마을 전체에서 길어다 먹었는데, 물이 차고 수원이 풍부하여 찬우물이라고도 하였다. 서쪽으로 불곡산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동쪽으로 넓은 벌판이 펼쳐지는 양주시 산북동의 중심에 있었다. 주변 야산에 안동 권씨와 온...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산봉우리. 현지 주민들 사이에서 꾀꼬리봉은 꾀꼬리처럼 생긴 봉우리 또는 꾀꼬리처럼 아름답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고깔봉에서 꾀깔봉을 거쳐 다시 꾀꼬리봉으로 변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즉, 고깔 모양으로 생긴 봉우리라는 이름이 지금의 꾀꼬리봉으로 바뀌었을 수 있다. 꾀꼬리봉에서 서북쪽으로 약 2㎞ 지점에 기산저수지와 은봉산...
-
경기도 양주시를 상징하기 위하여 제정된 마스코트. 양주시를 상징하는 최초 마스코트는 토리와 나리로 양주시 특산품으로 조선 시대 임금에게 진상되던 밤과 시의 꽃[市花]인 개나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고향의 푸근함과 21세기를 헤쳐 나가는 도전정신을 담고 있었으며 2009년 12월 말까지 사용하였다. 2010년 1월 토리와 나리가 예(禮)와 전통의 고장, 발전 지향적으로 변화하는 신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어린이 도서관. 꿈나무도서관은 어린이들에게 자료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독서 진흥 및 정보화 학습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시민에 대한 지식 정보 제공과 평생 교육에 이바지하기 위해 건립하게 되었다. 2004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어린이들을 위한 도서관을 짓기로 결정하고 12월 29일 건물 신축 공사를 시작하였다. 2005년 12월 31일 신축 공...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산하 성인 지적 장애인 생활 시설. 나루터공동체는 “그리스도 삶의 실천으로 행복하려면 섬기는 자 되어라”는 목적으로 천주교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가 천주교 순교자들의 유지를 봉행하여 섬김과 나눔의 정신으로 장애인들에게 인권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1993년 천주교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 산하 인지의 집으로 개...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 뒷들 동쪽에 있는 자연 마을. 나리골은 산기슭에 날아갈 것 같은 모습으로 자리 잡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마을의 양쪽에 나지막한 산자락이 펼쳐져 있어 마치 나비가 날개를 활짝 펼쳐 감싸 안은 모습이라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한자로는 비동(飛洞)이라 한다. 이밖에 등골에서 내려다보여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과 옛날에 벼슬한 나리들...
-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에 있는 아동 보호 치료 시설. 자기 통제력이 약한 청소년들은 성적 부담, 불우한 가정환경, 가정불화, 불안한 사춘기, 우월한 힘 과시 욕구 등으로 인해 절도, 폭력, 성폭행, 성매매, 성적 호기심, 가출 등을 행함으로써 인생의 첫발을 잘못 내딛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청소년 문제에 대해 그동안 많은 예방 및 교정 노력이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경기도 양주...
-
경기도 양주시에서 활동하는 나전 칠기 명인. 나전(螺鈿)은 얇게 간 조개껍질을 여러 무늬로 만들어 물체에 붙이는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자개라는 고유어를 쓴다. 나전 칠기는 나전 무늬를 물체에 붙이고 위에 옻칠을 해서 만들어 낸 공예품을 일컬으며, 나전장은 이러한 기술이나 기능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칠기가 우리 생활에 쓰이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중국 한대(漢代)에 칠기가...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피혁 제조업체. 나토상사는 고품질의 환경 친화적 염료를 개발하여 생산, 공급함으로써 국내외의 섬유와 피혁 관련 업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4년 태림화학공업사로 창업하였고 1983년 나토상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7년 공장을 증설하였고 1990년 나토상사 주식회사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1994년에는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낚시터. 경기도 양주시는 중앙부의 불곡산[468.7m], 도락산[439.8m]을 중심으로 북쪽 외곽으로는 감악산[675.0m], 동쪽에는 칠봉산[506.1], 천보산[336.8m] 등의 천보산맥과 서쪽에는 노고산[400.9m]을 비롯한 마식령산맥 줄기, 남쪽에는 도봉산[717.7m]이 인접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양주의 전체적 지세는 중앙부의 불곡산과 도...
-
경기도 양주 출신의 문인 김삿갓의 업적과 생애를 기념하는 단체. ‘김삿갓’은 조선 후기의 방랑 시인이었던 김병연(金炳淵)의 다른 이름으로 늘 삿갓을 쓰고 다녀 붙은 이름이다. 김병연은 1807년(순조 7)에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서 출생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난고 김삿갓 기념 사업회는 난고 김병연의 업적과 생애를 널리 전파하여 양주시의 문화유산 창달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관광농원. 1979년 조경수 재배업체인 남경농원으로 문을 열었다가, 1984년에 남경수목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관광농원으로 등록하였다. 총면적 3만 3000㎡에 400여 명을 수용할 수 있는 3,300㎡ 규모의 운동장이 있고 단체 숙소, 체험 공방, 전시관, 잔디 광장, 농구장, 족구장, 세미나실 등을 갖추고 있다. 부대시설로 화장실, 샤워실,...
-
경기도 양주시에 속하는 행정면이자 법정면. 남면(南面)이라는 땅 이름은 감악산 남쪽에 있는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남면의 출발은 파주 적성군에서 시작하였으므로 남면이라는 땅 이름은 당연한 것이었으나, 양주로 편입된 이후에는 양주 지역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데도 남면이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사람들은 양주시에서 북쪽에 위치하는데도 남면이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시립 도서관. 남면도서관은 균형 있는 자료 확충을 통해 최신의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역민들의 지적 생산성 향상에 노력하고 있으며,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문화 강좌를 정기적으로 마련하여 평생 교육의 발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책과 관련된 다양한 전시회, 음악회, 강연회, 공연 등과 같은 문화 행사를 마련하여 독서 인구의 저변 확대에...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체육공원.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생활 체육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복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양주시에서도 이 같은 면을 고려하면서 생활 체육 시설을 조성하기 시작하였다. 남면신산체육공원 역시 같은 배경에서 설립되었다. 남면신산체육공원은 양주시 북부 지역에 위치한 남면 지역 주민들의 쉼터 및 체육 활동 증진, 문화...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구암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는 산업 단지로, 시·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장이 지정한다. 남면일반산업단지는 2005년 12월 29일 일반 산업 단지로 지정 승인되었다. 2007년 3월 5일 산업 단지 지정 변경 및 실시 계획 승인을 고시하고, 같은 해 5월 31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예절인, 개성과 재능을 갖춘 창조인, 자연을 사랑하고 부지런한 근검인, 몸과 마음이 바르고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희망찬 미래를 열어 가는 남면 어린이’이다. 1921년 9월 28일 남면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1941년 4월 1일 남면국민학교로 교명을 변경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 있는 공립 남면초등학교의 분교. 올바른 가치관을 지닌 예절인, 개성과 재능을 갖춘 창조인, 자연을 사랑하고 부지런한 근검인, 몸과 마음이 바르고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희망찬 미래를 열어 가는 남면 어린이’이다. 1962년 3월 5일 남면국민학교 한산분교로 개교하였으며, 1967년 3월 2일 양덕국민학교로 독립하였다. 1...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남면 관할 행정 기관. 남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남면·광적면·장흥면], 6개 동[양주1동·양주2동·회천1동·회천2동·회천3동·회천4동] 중 남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남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 남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역사적...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창의적 지성을 갖춘 맞춤형 인재, 실천 중심의 인성 교육을 통한 민주 시민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서로 돕고 사랑하며 예의 바르게’이다. 1955년 3월 29일 재단법인 남문학원이 이사장 정병국에 의해 설립된 후 그해 5월 3일 남문중학교[3학급]로 인가받았다. 초대 민윤식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1964년 1월 24...
-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에 있는 저수지. 호명산[423m]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어둔천 상류에 있으며 어둔리저수지로도 불린다. 저수지를 빠져나온 물은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과 남방동 일대를 관개한 후 다시 어둔천 본류를 이룬다. 어둔천은 중랑천으로 흘러들어 가는 한강 수계에 속한다. 남방저수지는 1976년 10월 9일에 착공하여 1978년 12월 30일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공공 하수 처리 시설. 남방하수처리장은 양주 지역 처리 구역 내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공공하수 등을 차집·처리함으로써 중랑천 상류의 수질 오염 방지와 함께 도시 미관을 살리고 건전한 도시 발전을 도모하여 시민 보건을 향상시키기 위해 건립되었다. 「하수도법」에 의거하여 양주시 하수도 정비 기본 계획에 하수 처리 시설의 설치 계획을 수립한 후 국비·도비를...
-
경기도 양주시 양주1동에 속하는 법정동. 남방동(南坊洞)이라는 땅 이름은 읍내면에서 남쪽 끝에 위치한 마을로 방축, 즉 산성이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혹은 신성(新城)에서 남방의 침략을 방어하던 곳이라 하여 원래 남방리(南防里)라 불렀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남방리(南坊里)로 와전된 것이라고도 한다. 남방동의 옛 이름은 남방리였다. 남방리라는 이름은 18세기 후반의 문헌인 『호...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수령 약 2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
6·25 전쟁 기간 중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빨치산 등에 의해 벌어진 양민 학살 사건. 1948년 남북한에 이념이 다른 정권이 들어서고 양측에 대한 우방국의 지원이 갈라지게 되자 정치적 긴장감이 높아지게 되고, 결국 북한군이 남침함으로써 6·25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6·25 전쟁 기간 중 양주는 북한군 점령 하에 들어가기도 하였는데, 북한군은 양주 지구에서 반공 인사들을 잡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있는 자연 마을. 냅대란 땅 이름은 마을 앞으로 흐르는 냇가 주변에 대나무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 전하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 왜병이 이곳에서 싸우다가 냅다 도망쳤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흐르는 냇물을 뜻하는 ‘천(川)’자와 대나무 ‘죽(竹)’자를 합쳐서 천죽이라고도 부른다. 일제 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와 덕도리 및 파주시 법원읍 갈곡리에 걸쳐 있는 산. 산신 할머니가 있었다 하여 노고산(老姑山)이라는 이름이 생겼으며, 이 산에 관련된 전설이 전해 오고 있다. 노고성 할머니가 치마로 돌을 옮겨 성을 쌓다가 도락산과 노고산에 두 다리를 걸치고 오줌을 누고 있었다. 그런데 그때 마침 노고성 할머니 밑에 있던 게가 뜨거운 오줌에 놀라 할머니를 물어버렸다. 그...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주말농장. 노고산 주말농장은 경기도 양주시 남단의 행정자치부 지정 정보화마을인 양주 천생연분 정보화마을에 위치하고 있는 농장이다. 수도권에 접해 있어 교통 체증 없이 편리하게 방문할 수 있는 1일 생활 휴양지로서 마을을 휘감듯 흐르고 있는 맑고 깨끗한 공릉천과 아름답게 뻗어 내린 노고산[495m]을 배후로 하여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각종 체험...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는 농기구와 폐농기계를 활용한 구조물 전시 박물관. 2003년경 관장 곽희성은 사라져 가는 옛 농기구들을 수집, 전시하고 녹슨 톱니바퀴, 망가진 콤바인 부품, 버려진 제초기 등의 폐농기구들을 재생시켜 농기구민속박물관을 개관했는데 그것이 일종의 정크 아트(Junk Art)가 되었다. 준비 당시에는 관장의 폐물에 대한 관심에 대해 주변에서 무리한 일이라...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불곡산 자락에 있는 바위. 농바위는 장롱처럼 네모반듯한 모양 혹은 반닫이처럼 생긴 모양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어느 스님이 농바위에 옷을 걸어 두었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다. 동쪽으로는 불곡산 자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으며, 서쪽으로는 양주시 백석읍의 넓은 평야가 자리하고 있다. 농바위는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 동쪽 불곡산 자락에 있다. 둘레는...
-
경기도 양주시에서 토지를 이용하여 곡물 및 채소 등을 생산하는 산업. 농업은 인류가 지구상에서 태어나 가장 먼저 시작한 원시산업으로 여러 산업 중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농업은 작물을 광활한 토지에서 연중 생장하게끔 하므로 여러 가지 환경 요소로서의 기온, 강수량, 일조량 및 일장의 지배를 크게 받는다. 오늘날에는 산업 구조가 다원화되면서 과거보다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농업인의 경제적·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설립된 협동조합. 1961년 8월 15일 「농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발족된 농업협동조합은 국내 농업종사자들을 위한 민주적이고 자주적인 협동 조직이다. 농협은 농업인들의 교육 지원 사업과 신용 사업, 농업 경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양주시의 농업협동조합은 1967년 남면농업협동조합의 개설을 시작으로 각 읍면에 개설되었...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식육 가공업체. 농업회사법인 청미원식품은 축적된 노하우와 시스템으로 유기 농산물과 현미 등의 친환경 자연 소재를 활용한 가공 식품을 생산하고, 고품격 농축산물 판매장을 운영하며, 여러 기관의 급식 사업에도 참여하는 등 친환경 바이오 산업군을 경영하고 있는 중소기업이다. 농업회사법인 청미원식품은 경기도 한수(漢水) 이북 청정 지역의 특성을 살린 고품질 양...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반도체 제조업체. 뉴라이텍은 2005년 11월 21일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298-1번지에서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뉴라이텍은 주로 액정 평판 디스플레이를 생산하고 있으며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유사 반도체 소자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취급 품목은 LCD 백라이트 어셈블리, 반도체 부품 등이다. 2008년 11월 18일 벤처 기업에...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구암리에 있는 전기 전자 부품 제조업체. 뉴옵틱스는 LCD TV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LCD 뒤쪽에 고정시키는 광원, 약칭 BLU]을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7월 27일 양주시청과 구암산업단지 입주 합의서를 체결하면서 본격적인 회사 설립 단계에 들어가 8월 1일 대표이사 윤지웅에 의해 주식회사 뉴옵틱스가 설립되었으...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골짜기. 능안골이라는 명칭은 왕릉을 쓰려고 하였으나 쓰지 않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일설에는 원래 이름은 능내곡(陵內谷)이고, 죽산 안씨의 13대 산소 자리를 잡은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실제로 이곳은 능 자리를 잡았던 곳이며, 죽산 안씨 족보에는 양주읍 덕현리에 있던 죽산 안씨의 산소를 이곳에 이장하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기록되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는 금속 제조업체. 능원금속공업은 1986년 설립 이래 끊임없는 기술 혁신을 통해 생명을 운반하는 동관의 생산 발전을 이끌어 왔다. 또한 적극적으로 세계 시장을 개척하여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동 파이프 전문 생산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혁신을 바탕으로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며 기술 관리, 지식 관리, 조직 관리, 책임 관리의 4개...
-
경기도 양주시에서 서로 다른 민족·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다인종 다문화의 글로벌 시대가 전개되면서 2010년을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은 120만 명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른 국제결혼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 더구나 200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 사회는 경제 개발의 한편으로 인구 감소와 농촌 결혼 문제 등이 부각되면서 다른 국적의 배우...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 못말 북쪽에 있는 산. 마을에서 바라보면 이곳에서 맨 먼저 달이 뜬다 하여 달봉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월봉산이라고도 불렀다. 달봉산이 있는 경신리(庚申里)는 상수리의 남양 홍씨 종중산인 망당산에서 볼 때 경신 방향, 즉 서남방에 있는 마을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달봉산에서 동쪽으로 망녕들이 펼쳐져 있고 그 너머 남북 방향으로 신천이 흐르고 있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자연 마을. 당챙이는 ‘당청(堂廳)’의 발음이 변한 것으로, 당청리(唐淸里), 당청이, 당청이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 관리, 특히 내관(內官)이 많이 살아 붙여진 이름이다. 이들은 경제적으로 부유해서 대대로 큰 기와집을 짓고 살았다고 한다. 일설에는 당청(唐淸), 즉 당(唐)나라 사람을 초빙해 궁술을 연마하던 곳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나...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와 유양동·어둔동에 걸쳐 있는 산. 대모산(大母山) 또는 대모산성이라는 이름은 『세종실록(世宗實錄)』에 처음 등장하며 1448년(세종 30) 12월 10일 기록에 이곳을 홍복산 등과 함께 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강무장(講武場)[왕의 공식 수렵 연습장]으로 기록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은 이곳에 있는 산성을 양주 읍치(邑治) 서...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에 있는 논. 대왕전(大王田)은 조선 제14대 임금인 선조(宣祖)가 제11대 임금인 중종(中宗)의 셋째 딸이며 자신에게는 고모가 되는 정순옹주[여성군 송인(宋寅)의 부인]의 장례 때 장지가 있는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에 와서 머물렀던 곳이라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대왕전의 동쪽으로는 소래산 자락이 펼쳐지고, 남쪽으로는 굿배미라는 마을의 야트막한 언덕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두곡리에 있는 자연 마을. 대추말은 대추나무가 많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비슷한 이름인 대춘말이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으며 남면 두곡리의 대추말과 낮은 산 하나를 사이에 두고 남북으로 접해 있다. 이 일대에 대추나무가 많이 서식함을 알 수 있다. 한자로 대조동(大棗洞)이라고도 한다. 대추말의 형성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조선 시대에 적성군 남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양주시 생활체육회 산하 궁도 단체. 대한궁도협회 양주시지부는 조상의 얼이 서린 전통 민속 무예인 궁도의 우수한 가치를 널리 알리고, 스포츠를 통한 전통 문화 창달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궁도 9개훈을 실천하여 호국 무예 정신이 깃든 한국적 특색을 지닌 스포츠 문화 정립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대한궁도협회 양주시지부는 1967년 협회가 설립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대한노인회의 양주 지역 지회. 대한노인회는 전국 광역시·도에 16개의 연합회, 전국 시·군·구에 245개의 지회, 전국 읍·면·동에 1,988개 분회, 전국에 5만 9875개의 경로당 및 331개의 노인대학을 산하 단체로 두고 있는 노인 복지 지원 단체이다. 대한노인회 양주시지회는 241개 경로당을 산하 단체로 두고, 9,436명의 회원 수를 확보하고...
-
1949년 12월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결성된 대한청년단 산하 우익 청년 단체. 대한청년단은 1949년 12월 19일 이승만(李承晩)이 자신의 취약한 정치 기반과 반공 활동을 강화할 목적으로 전국에 산재해 있던 청년 단체를 하나로 모아 결성한 단체이다. 이승만을 총재로 하여 장택상(張澤相)·지청천(池靑天)·유진산(柳珍山)·신성모(申性模) 등이 최고 위원으로 추대되었으며, 단원은 2...
-
6·25 전쟁 당시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활동한 우익 계열의 자경 단체. 1948년 남북한에 이념이 다른 정권이 들어서면서 양측 간에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이어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6·25 전쟁이 1953년 7월 23일 휴전 협정 조인에 이르기까지 3년이 넘게 지속되었다. 이 기간 중 한국 사회 내에서는 치열한 이념 대립과 함께 빨치산 활동이 극...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꿈과 희망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밝고 바른 덕계인’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자기 주도 학습을 통해 지식 기반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창조인, 올바른 삶의 가치와 실천 능력을 갖춘 도덕인,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책임과 의미를 다하는 자율인, 주변 환경을 깨끗이 하고 체력을 튼튼히 하여 미래 사회를 주도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덕계교회는 ‘기도와 전도, 사랑과 나눔’을 교회 표어로 삼고 있다. 1961년 5월 초순 양주군 회천면 덕계리[현 양주시 덕계동] 주재 육군 제5 야전 병원 군인 교회 당회 결의로 남전도회를 조직하고 덕계교회를 개척하기로 결정하였다. 남전도회는 1961년 7월 23일 힘의 샘터 청년회관을 교회로 사용하기로 하고 설립 예배를...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덕계 도서관(德溪圖書館)은 관내 주민들의 정보 및 문화 서비스 수요에 부응하려는 목적으로 2014년 3월 31일 개관하였다. 덕계 도서관은 연면적 1,370㎡, 지상 2층 규모이다. 7층에는 유아 자료실, 어린이 자료실, 수유방, 사무실, 동아리방 등의 시설이 있고 8층에는 종합 자료실, 디지털 자료실, 정기 간행물 코너, 다문화 자료 코...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저수지. 도락산[440m]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 계곡 물을 막아 축조한 저수지로 청담천의 지류인 덕계천의 상류에 속한다. 덕계저수지의 물은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과 회정동 일대의 농업용수로 이용된 후 신천으로 합류한다. 덕계저수지는 1976년 10월 15일에 착공하여 1979년 6월 1일에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댐]이며, 취수 형식은 사통형이...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인간적 자질과 덕목을 갖춘 사람, 건전한 심신과 강인한 의지력을 갖춘 사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창의적인 사람, 지식 기반 사회를 주도할 능력 있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나는 효자입니다’이다. 1997년 8월 17일 덕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1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13년 9월 1일 제6대...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 다양한 개성과 창의력을 신장하는 어린이, 정보 활용을 생활화하는 어린이, 몸이 튼튼하고 굳센 의지를 지닌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봉사하며,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이다. 2004년 9월 1일 양주덕산초등학교에서 분리되어 덕계초등학교[10학급]로 개교하였다. 같은 날 덕계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설립되었던 노동 운동 단체. 덕계노동자사랑방은 노동자의 노동조합 설립 지원 상담, 각종 노동 법률 상담 등을 통한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89년 10월 양주군 회천읍 덕계리[현 양주시 덕계동]에서 설립된 후 덕계리에서 네 차례 이사하였다. 1995년경 의정부에 있던 의정부노동상담소와 합쳐 경기북부노동정책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
경기도 양주시 회천2동에 속하는 법정동. 덕계동(德溪洞)이라는 땅 이름은 도덕리(道德里)에서 ‘덕’자와 돈계리(遯溪里)에서 ‘계’자를 따서 만들었다. 도덕리는 도덕을 숭상하는 사람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돈계리는 조선 중종 때의 문신인 박율의 호에서 따온 이름이다. 덕계동의 옛 명칭은 덕계리였다. 덕계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경원선의 수도권 복선 구간 전철역. 경원선은 서울에서 원산을 잇는 길이 223.7㎞의 철도 노선으로, 1914년 9월 16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국토 분단으로 인해 용산역에서 신탄리역까지 89㎞ 구간만 운행되고 있다. 경원선 양주역과 덕정역 사이는 8.2㎞로 거리가 멀어 인근 주민의 편의를 위해 양주역에서 북쪽으로 5.3㎞, 덕정역에서 남쪽...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서 발원하여 회정동에서 청담천으로 유입하는 하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도덕리와 둔계리, 고장리, 과회리 등이 덕계리(德溪里)로 통합되었다. 이에 이 하천의 중심부가 흐르는 지역인 덕계리의 이름을 따서 덕계천(德溪川)으로 정한 듯하다. 덕계천은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와의 경계에 있는 도락산[440m]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한다. 도락산과 그 남쪽의 불곡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전통문화를 존중하는 어린이, 예의가 바르고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창의성을 발휘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지혜로운 덕도 어린이’이다. 1963년 3월 1일 가납국민학교 덕도분실로 인가를 받았고, 1971년 3월 1일...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법정리. 덕도리(德道里)라는 땅 이름의 유래는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예로부터 도덕을 잘 지키고 이웃 간에 우애가 깊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점미산 뒤쪽이므로 덕뒤·덕디라 하다가 덕도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있다. 덕도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 이후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는 소나무. 소나무는 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35m까지 자란다. 잎은 두 잎이 뭉쳐나며 피침 모양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이듬해 가을에 맺는다. 육송(陸松)이라고도 한다. 덕도리 소나무는 나무 중간이 우측으로 굽어져 있는데, 운치 있게 도로 쪽으로 향하고 있어 사람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높이는 7m, 가슴높이...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어 ‘은행...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창의적 지성을 지닌 품격 있는 덕정인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아름다운 품성과 예의를 갖춘 도덕인,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 합리적 사고력을 지닌 창조인, 미래 사회를 선도할 글로벌 신지식인인 세계인, 민족을 사랑하고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誠實)’이다. 1999년 1월 덕정지구...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덕정도서관은 1994년 개관하여 대표적 지식정보센터로서의 역할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 체험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양주시 최초의 공공 도서관이다. 덕정도서관은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 부응하여 도서관의 기본 기능인 인쇄 자료 수집, 정리, 보존, 열람 뿐 아니라 고품질 디지털 콘텐츠 열람 환경 구축을 통한 다양한 지식·정보·문화 서비스...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1900년 초 양주군 회천면 덕정리[현 양주시 덕정동] 등지에 천주교 박해를 피해 모여 옹기를 구우며 형성된 교우촌을 토대로 종현본당 관할 덕정공소로 출발하여 1906년 개성본당, 1927년 신암리본당에 속하였다. 1934년 덕정성당으로 승격되었으나, 1945년 해방 후 성당 매각에 따라 다시 덕정공소로 격하되었다. 녹양동...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적 가치를 내면화하고 예절과 질서를 실천하는 민주인, 기초 학력을 튼튼히 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인, 합리적으로 생각하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탐구인, 더불어 성장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건강인,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적성과 소질을 계발하는 창의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충효’이다. 1954년 7월 7일 덕정중학교로...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큰 꿈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인재 육성의 덕정 교육’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사랑을 실천하는 어린이, 새로움을 탐구하는 어린이, 꿈과 소질을 키우는 어린이, 마음과 몸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높은 꿈, 바른 행동, 튼튼한 몸’이다. 1932년 5월 1일 회천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1941년 4월 1일...
-
경기도 양주시 회천1동과 회천3동에 속하는 법정동. 다른 지역들의 땅 이름이 대개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 당시에 만들어진 것에 반해, 덕정동(德亭洞)이라는 땅 이름은 유래가 오래되었다. 덕정동이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째, 옛 천천면 덕정리 언덕에 정자나무가 있어서 덕정이·덕쟁이·덕정동이라 불렸는데, 이것이 그대로 덕정리가 되었다는 설이다. 둘째...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경원선의 수도권 복선 구간 전철역. 경원선은 서울~원산을 잇는 길이 223.7㎞의 철도 노선으로, 1914년 9월 16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국토 분단으로 인해 용산역에서 신탄리역까지 89㎞ 구간만 운행되고 있다. 일제가 1910년 10월에 서울 용산역에서 원산까지 이어지는 철도인 경원선 공사를 착공함에 따라 1911년 10월 15일부터 덕...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공동체 생활에 스스로 참여하는 자주인, 진취적 정신과 탐구적 사고력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창의인, 바른 생각과 행동으로 자아의 실현을 위해 노력하는 지성인, 봉사정신이 투철한 봉사인,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로 건전한 생활을 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창의로운 지성’이다. 2011년 3월 2일 덕현고등학교로 개교하였...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민주적 신념을 실천하는 예절 바른 사람, 기초 학력을 증진하며 창의력 있는 사람, 바른 인성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 환경을 아름답게 가꾸고 심신이 건강한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높은 이상, 성실한 자세’이다. 2004년 12월 27일 덕현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2009년 제2...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고개. 마을 사람들이 모여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인 도당제(都堂祭)를 지내던 도당(都堂)이 있는 고개라고 하여 도당재라고 불리었다. 이 고개에 도둑이 있어서 도둑재라고 불렀다고도 한다. 그렇지만 근처에 도당제를 지내던 도당나무가 있는 것으로 보아 여기에서 고개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근처인 삼가대에 도당재라는 이름의 유래가...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더불어 바르게 사는 어린이, 꾸준히 슬기를 닦는 어린이, 새로운 생각을 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튼튼하게, 슬기롭게’이다. 2007년 1월 8일 도둔초등학교 설립 조례가 공포되어 그해 8월 27일 8학급으로 개교하였다. 같은 해 9월 1일 2학급이 증설되어 10학급이 되었...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와 덕계동, 은현면 도하리·용암리, 광적면 석우리·가납리 등지에 걸쳐 있는 산. 도락산(道樂山)은 두락산(頭落山), 돌압산(突壓山), 돌압산(突押山), 돌앞산, 노락산으로도 불리었다. 이처럼 여러 이름으로 불린 배경에는 몇 가지 전설이 전해 온다. 옛날 모든 산들이 서울 남산을 향해 가는데 불곡산이 가로막고 길을 내주지 않았다. 그래서 화가 나서 덕계리...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2011년 현재 양주시의 도로 연장은 492.5㎞이고, 이중 338㎞[68.6%]가 포장도로이다. 2009년에는 도로 연장이 386.2㎞이었으며, 이중 포장도로가 284.3㎞로 포장률이 73.6%에 달하였다. 전체 도로 중 비포장도로는 8.8㎞이었고 미 개통 도로가 93㎞이었다. 2009년 도로 종류별 연장은 고속 국...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울대리 및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에 걸쳐 있는 산. 도봉산(道峰山)이라는 지명은 여러 봉우리들이 마치 길을 가듯이 일정한 방향으로 늘어서 있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보인다. 도봉산은 조선 중기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 처음 나타난다. 이후 조선 말기에 편찬된 『조선지지략(朝鮮地誌略)』[1888]과 『양주군읍지(楊州...
-
경기도 양주시는 도심지와 가까움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개발 제한 구역[그린벨트]에 묶여 자연이 많이 훼손되지 않았다는 지역적 요인과 지역 경제 활성화와 농가 소득 확대를 위한 양주시의 적극적인 지원, 그리고 양주 지역 농민들 스스로가 활로 개척에 대한 의지가 강해 농촌 체험 마을 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지방 자치 단체 중 한 곳이다. 그 결과 경기도 양주시에는 농촌 체험 마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는 산업 단지로, 시·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장이 지정한다. 도하일반산업단지는 1994년 7월 16일 경기도 고시 제1994-203호에 의해 일반 산업 단지 지정 및 개발 계획을 승인 받았다. 1994년 9월 27일 경기도 고시 제1...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도하리(道下里)라는 땅 이름은 도락산(道樂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도락산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도하리라는 땅 이름은 일제 초기에 처음 문헌에 나온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만 해도 석적면에 속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석적면 항동리·행동리·대야지리의 3개 리에서 일부 지역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
-
1945년 10월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설립된 독립촉성중앙협의회의 양주 지회. 독립촉성중앙협의회는 1945년 10월 당시 미국에서 귀국한 이승만(李承晩)을 중심으로 조국의 자주독립을 촉진하기 위해 정당 통일 운동 차원에서 조직된 협의체였다. 좌익·우익 50여 정당과 200여 개에 이르는 사회단체 대표 등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승만이 총재로 추대되었다. 독립촉성중앙협의회 양주지회는 당...
-
경기도 양주시 회천동, 고암동, 옥정동 사이에 있는 산. 항아리처럼 생긴 바위산이라 하여 독바위라고 불리다가 옹암산(甕岩山)이라는 이름까지 얻었다. 돌산 또는 노적봉이라고도 불리었다. 독바위가 있는 곳이 우리나라의 배꼽에 해당한다고 하며 천지가 개벽할 때 마귀할머니가 이곳에서 술을 빚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옹암(甕岩)’이라는 이름은 『세종실록(世宗實錄)』 1421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자연 마을. 독재동(篤才洞)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독재이라고도 한다. 경기도 화성군에도 같은 지명이 보이며, 마찬가지로 마을에 재주 있는 사람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다. 독재동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다. 일설에는 난리나 조정의 모함을 피해 온 사람들이 만든 피난지라고도 한다. 조선 시대에는 양주군 장흥면 삼패...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김장을 담글 때 함께 담그는 동치미. 동김치는 자연 발생적인 음식으로 추측되므로 연원 및 변천 과정은 알 수 없다. 일반적인 동치미 만드는 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깨끗이 씻어둔 무를 소금에 한번 굴린 다음 항아리에 담아 소금을 위에 뿌리고 하룻밤 절인다. 그리고 마늘·생강을 깨끗이 다듬어 얇게 저민 다음 베주머니에 담는다. 물 40컵에 2컵 분량의 소금을 넣...
-
경기도 양주시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의 종류. 동물상이란 특정 지역이나 수역(水域)에 살고 있는 모든 동물의 종류를 일컫는다. 양주시는 시가지와 산업 단지의 확장, 도로 건설, 군사 활동 등으로 인해 자연환경 상태가 악화됨에 따라 동물상의 개체수와 종류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환경부에서 1999년 9월 13일에서 9월 16일까지 고양과 양주 앵무봉, 기간봉, 고봉산,...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플라스틱 합성 피혁 제조업체. 동방화성은 합성 피혁 섬유 소재 생산 기술을 개발 연구하여 의류, 가방, 신발, 산업 자재[소파, 인테리어 외]용 및 투습 방수 원단, 무독성 친환경 발포 웰빙 매트 등 다양한 합성 피혁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기업이다. 동방화성은 섬유 생산물의 기획, 연구 개발을 통해 대한민국 섬유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되었...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있는 원단 제조업체. 동보섬유는 자체적인 섬유 생산을 통해 국내 섬유의 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국제 수준의 섬유 경쟁력을 확보하여 고객이 감동할 수 있는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1년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에서 동보산업으로 설립되었다. 1996년 6월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124번지로 공장을 이전하여 전처...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산업용 냉장 및 냉동 장비 제조업체. 동화윈은 산업용 냉장 및 냉동 장비의 제조, 수출 및 기술 개발을 위해 설립되었다. 1979년 4월 동화정밀이 설립되었다. 1986년 2월 경기도 양주군 회천읍 덕계리에 공장을 증축하여 8월에 냉동기 제조 허가를 취득하고 1987년 열교환기용 동관의 자체 가공 생산을 시작하였다. 1989년 11월 경기도 양주...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두곡리(杜谷里)라는 땅 이름은 마을이 사방으로 막혀 있는 두메골짜기라 하여 두일 혹은 두곡리라고 불렸던 데서 유래한다. 두곡리에 있는 자연 마을 가운데 두일이 이 명칭과 관련이 있다. 두곡리라는 땅 이름은 적어도 대한 제국 시기부터 사용되었다.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 시 다른 지역과 달리 통폐합 과정을 겪지 않았다. 다만...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관광농원. ‘푸른 농촌 희망 찾기’ 사업장인 두래농원은 지역 농업 특성화 기술 지원 사업을 통해 농촌의 자원과 농림 생산 기반을 활용한 영농 체험 및 휴식 공간을 조성하여 도시민에게 농촌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농업인의 소득 증대를 도모하는 농촌 체험 관광농원이다. 경기도 양주시의 농·특산물을 알리고 소비를 촉진하는 한편 전통 식품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자연 마을. 도락산(道樂山)[440m]에서 발원하여 이곳 비암산(鼻巖山) 자락의 깊은 골짜기를 지나는 시내가 1㎞ 지점에서 남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방향을 급하게 돌린다. 따라서 밖에서 시내를 볼 때 상류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숨어 있는 시내’라 하여 둔계(遯溪)라 하였고, 시간이 흐르면서 됭계로 불리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 때 전라북도 부안군 남하면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우주 관련 입체 영상 체험관. ‘플라네타리움’이란 천체의 운행을 나타내는 기계로 천체의 과거, 현재, 미래의 운행을 영상화해주는 천체 투영관이다. 송암스페이스센터에 설치된 디지털 플라네타리움은 광학 방식이 아닌 디지털 3D 방식으로 실내에서 우주를 경험할 수 있는 시설이다. 디지털 플라네타리움은 2007년 7월 19일 송암천문대의 개장과 동시에...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청소년 수련원. 1997년 1월 23일 새정치국민회의의 서울 지역 지구당 당직자 수련회가, 1998년 11월 한나라당의 당 중앙위 임원 연수회가 각각 열렸다. 2003년 7월 경기도 주최 여름방학 영어 캠프가, 2009년 8월 양주청소년센터의 건강한 가족 만들기 캠프가 각각 열렸다. 딱따구리청소년수련원은 청소년의 심신 단련을 위한 체계화된 프로그...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회원제 골프장.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 주한 미군 가운데 일부가 시설이 좋지 않은 한국 골프장의 이용을 꺼려하면서 일본에 가서 골프를 치는 일이 많아지자 당시 주한 미군 부대가 있던 양주군 권역에 골프장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1969년 7월 1일 골프장 사업 승인이 이루어졌으며, 1972년 5월 1일 수려한 천보산 자락을 배경으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었던 승마 및 전통 기마 무예 체험장. 마구간은 기마 민족의 우수성을 알리고 전통 기마 무예를 복원하여 자라는 청소년들에게 호연지기를 기르는 학습의 장을 마련해 주고 승마 체험 및 기마 무예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2003년 9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338번지의 약 3305.7㎡ 부지 위에 고성규 대표와 윤미라 강사가...
-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 천보산 자락에 있는 바위. 마귀할미가 이 바위를 치마에 담았다가 놓았다고 하여 마귀바위라고 부른다. 혹은 아귀처럼 생겼다 하여 아귀바위라고도 불린다. 원래 불곡산에 있던 마귀바위를 현재의 천보산 자리로 옮긴 후부터 부가 모두 마귀바위한테 먹혀 마전동에 부자가 나지 못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동쪽에 천보산 자락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있고, 서쪽으로 양주시 남...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마라니라는 이름의 유래에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우선 천마산에서 사냥을 하기 위해 효령대군(孝寧大君)이 역마(驛馬)를 탔을 때 말이 땀을 많이 흘려 붙은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도읍을 정하기 위해 전국 각지를 다니다가 이 마을을 지나게 된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가 타고 있던 말이 땀을 많이 흘린 곳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도...
-
경기도 양주시 양주1동에 속하는 법정동. 마전동(麻田洞)이라는 땅 이름은 옛날부터 삼밭이 많아서 삼밭굴·삼밭 또는 마전(麻田)이라 불리다가 정착된 것이다. 일제 강점기에도 마포(麻圃)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지 주민들은 마을 이름이 산삼 및 삼베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믿기도 한다. 마전동의 옛 이름은 마전리이다. 마전리라는 이름은 18세기 후반의 문헌인 『호구총수(戶口總...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1919년 3·1 운동 때 만세 시위가 벌어졌던 터. 만세배미는 1919년 3·1 운동 당시 만세 시위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1919년 3월 18일과 4월 3일 1,000여 명의 군중이 모여 일제의 폭압적 탄압에 항거하는 독립 만세 시위를 벌인 곳이다. 만세 시위를 주도한 백남식(白南式), 이용화(李龍和), 김진성(金辰成)이 일본 헌...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만송초등학교의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건강한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자주인[소질과 적성을 찾아 꿈을 가꾸는 어린이], 창의인[스스로 공부하고 새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문화인[문화적 소양을 키우고 즐겁게 생활하는 어린이], 세계인[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있다. 2011년 2월 28일 만송초등학교 설...
-
경기도 양주시 양주2동에 속하는 법정동. 만송동(晩松洞)이라는 땅 이름은 회만리(回晩里)의 ‘만’자와 송랑리(松浪里)의 ‘송’자를 합해서 나왔다. 회만리는 회만이를 그대로 한자로 옮긴 것으로, 마을 중앙에 야산이 자리하고 있어 한 동네에서 다른 동네를 갈 때 돌아서 가는 곳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설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싸움이 벌어진 매초성 전투에서 당나라...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입암리·구암리에 있는 산. 망당산(望唐山)이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 네 가지 설이 있으나 어느 것이 정설이라고 확정할 수는 없다. 첫째, 원래는 명당산(明堂山)이었으나 조선 중종 때 임금의 묘지를 잡으러 지관들이 이곳에 들르자 남양 홍씨들이 이곳은 명당산이 아니라 망할 망(亡)자를 쓴 망당산(亡堂山)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 이후로 이 산을 망당산으로 불렀...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고개. 1506년(중종 1) 고주내면 고읍리에 있었던 양주군의 치소(治所)가 유양리[현 유양동]로 이전된 이래 유양리는 조선 시대 양주군 행정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원님이 거주하는 읍치(邑治)가 있었다. 신임 원님이 부임해 올 때 이 고개를 넘어왔으며 이 지역 사람들이 그 광경을 바라보던 고개[망현(望峴)]라 하여 망째고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망째고개는...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매곡리(梅谷里)는 매골·맹골·매곡이라고도 불리며, 땅 이름의 유래에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째, 높은 산 밑에 자리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둘째, 마을이 ‘매화가 떨어지는 모습[매화락지형(梅花落地形)]’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셋째, 마을이 매의 모습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혹은 마을 북쪽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자연 마을. 매내미라는 명칭은 춘향의 어머니인 월매(月梅)에서 비롯된다고 전해진다. 전해 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곳에 소설 『춘향전(春香傳)』의 주인공인 춘향의 산소가 있었는데, 이수광(李睟光)[1563~1628]의 후손이 이곳에 살면서 춘향의 산소가 여기에 있다는 사실을 외부에 숨기려고 일부러 춘향의 어머니인 월매의 ‘매’자와 남원(南原)의 ‘...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주말농장. 매내미는 채소와 곡물 등을 직접 재배할 수 있는 주말 체험 농장이다. 서울이나 의정부, 양주 시내 등지에서 경험하기 어려운 농지와 종자, 비료, 농법 등을 제공하는 곳으로서 1시간 이내 도착할 수 있다는 이점과 아름답고 시원한 풍광 등으로 인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매내미는 도시인들이 언제든지 편하게 가족들과 함께 와서 저공해법으로 농...
-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 맹골마을에 있는 미술 조각 체험장. 맹골마을은 주민 50% 이상이 수원 백씨이며 마을 주변으로 감악산과 신암저수지, 효촌저수지 등이 위치하고 있어 천혜의 자연을 그대로 간직한 청정 지역이다. 맹골마을 내에는 인삼 공장과 된장 공장, 화훼 단지, 목장, 유기농 채소 재배지가 있고, 접경 지역 특화 마을 사업에 따라 종합 체험관, 미술 조각 체험장, 발효 음...
-
경기도 양주시 남면 매곡리에 있는 정보화마을.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는 농림부, 정보통신부 등과 함께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은 농촌, 어촌, 산촌 등 정보화 시대에 소외된 지역에 인터넷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전자 상거래 등 정보 콘텐츠를 구축하여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
-
경기도 양주시에서 음악에 맞추어 율동적인 동작으로 감정과 의지를 표현하는 예술 분야. 한강 북쪽에 위치한 양주시는 예술과 관련한 교육 환경이 열악하여 인적 자원이 타지로 유출됨에 따라 양주만의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는 무용 협회 설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현재 양주시의 무용은 주로 고전 무용과 밸리댄스가 중심이 되어 전개되고 있다. 고전 무...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 칠봉산 자락에 있는 골짜기. 무자골은 남양 홍씨 사람들이 정착하여 살던 곳으로 아들이 무성하여 무자곡(茂子谷)이라고도 하였다. 혹은 이곳에 사는 사람들이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무자곡(無子谷)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이는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 무자골은 내촌동 북동쪽 칠봉산 자락에 있다. 남쪽으로 넓은 벌판과 신천이 내려다보인다. 무자골 폭포 약수로 유...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국궁장.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무예는 궁도였다. 궁도는 역사적으로 나라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마다 호국 무예의 근간이 되어 왔고 평시에도 궁도 9계훈에 따라 인, 애, 덕을 실천 제일로 삼을 정도로 민족정신의 근간이었다. 무호정(武虎亭)은 선조들의 정신과 무예를 갈고 닦아 심신을 수련하는 장으로 세워졌으며, 전승하기 위해 노...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자연 마을. 예전에 산속에 논이 있었는데 가뭄에 벼농사를 지을 수 없어 묵혀 놓은 논이 많아 ‘묵은 논’이라 불리다가 묵은동(默隱洞)이 되었다. 이외에 묵은논이·진답(陳畓)이라 불렸으며, 옛 묵은[진답]면사무소가 있었던 관계로 일패라고도 하였다. 묵은동이 속한 용암리라는 땅 이름은 약대산[일명 악대산]에 있는 전체 둘레 15m, 폭 6m, 높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돌고개에 있는 골짜기. 문장동(文章洞)은 개울에 있는 바위에 ‘문장동천(文章洞天)’을 비롯한 여러 글자가 새겨져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 ‘동천’이란 명산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가리키는 말로 ‘문장동천’은 문장동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뜻이다. ‘문장동천’이라고 쓰여 있는 바위에 ‘임오오월각(壬午五月刻)’이라고 새겨져 있어 시기를 알 수 있다. 임오년은...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 및 그 작품. 양주는 산수가 아름답고 서울에서 가까운 거리였기 때문에 많은 문인들이 풍광을 시로 노래하였다. 또한 양주 출신으로 많은 문인들이 활동하였는데, 김병연(金炳淵)[일명 김삿갓]이 대표적이다. 벽초 홍명희는 『임꺽정』을 통해 양주 관련 이야기를 소설 속에 담기도 하였다. 특히 오늘날 양주시의 문학계에서는 김삿...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악·미술·연극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예술 활동. 경기도 양주는 지정학적으로 한반도의 심장부에 위치하여 역사의 중심에서 우리 역사와 문화·예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던 지역인 만큼 수많은 유형 문화재와 양주별산대놀이·양주소놀이굿과 같은 대표적인 무형 문화재들을 보유하고 있다. 1. 양주문화원 경기도 양주의 역사와 전통 문화·예술의 집합체로, 그 구심점...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악대산 자락에 있는 바위. 물동이바위는 마치 아낙네가 물동이를 이고 가는 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신기하게도 세로로 길쭉한 바위 위에 물동이같이 생긴 바위가 얹혀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북쪽의 소래산 자락과 남쪽의 비암산 자락이 만나 협곡을 이루는 가운데에 상패천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있다. 상패천 북동쪽으로 논이 펼쳐져 있다. 물동이바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자연 마을. 마을 주위의 조그만 산자락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상이므로 뭍의 안쪽이라고 부르다가 뭇태안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북서 계절풍을 막기 위해 마을 앞쪽으로 흙을 쌓고 그 위에 바람막이 나무를 심어서 방축(防築)이라고도 불리었다. 뭇태안이라는 이름은 1895년 일본이 제작한 군사 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에 처음 나오며, 일제 초기의 문...
-
1945년 9월 7일부터 1948년 8월 15일까지 미군이 경기도 양주를 포함하여 남한을 통치한 시기.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항복하면서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에 의해 남북이 분할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 38도선 이남에 대해서는 태평양 미육군총사령부 총사령관 맥아더가 1945년 9월 7일 ‘조선 국민에게 고함’이라는 사령부 포...
-
경기도 양주시에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예술 활동을 하는 단체·시설·인물. 양주는 서울과 인접한데다가 6·25 전쟁 당시 폐허가 되어 상대적으로 미술 공부를 했던 인물은 드물었다. 그러다 보니 이렇다 할 미술가를 배출하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2003년에 양주가 시로 승격하고 또한 전철 개통으로 서울과의 출퇴근 시간이 줄어들다 보니 외부에서 미술을 전공한...
-
경기도 양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박명근(朴命根)[1928~2004]은 1928년 9월 7일 경기도 파주시에서 태어났다. 1949년 서울 중동고등학교, 1956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군에 입대하여 육군 대위로 예편하였다. 1962년 경제기획원 예산국 과장, 1967년 대통령 경제비서관을 지냈다. 1971년 7월 제8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파주 선거구에 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서 은현면 운암리로 넘어가는 고개. 박석고개는 고개에 얇은 돌, 즉 박석(薄石)이 많아 박석고개라고 부른다. 박수고개라고도 한다. 남면 발운리[현 남면 상수리]에 박수무당이 살았다는 것에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도 있고, 박석고개라고 부르다가 박수고개로 발음이 바뀐 것으로도 보인다. 이 고개는 원래 흙길이었는데 사람과 우마차가 지나다니면서 길이 패이고 더욱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 일대의 자연 마을. 발운마을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조선 시대 방주골 남동쪽 지역의 상패천[현 양주시 은현면 운암리의 신천]이 마을 앞의 한림바위 근처를 돌아나가면서 생긴 물안개에서 비롯되었다. 멀리서 보면 물안개가 마치 구름이 피어오르는 것처럼 보여 발운(發雲)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발운리의 발음이 변형되어 바루니·배루니·물가배루니...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법정리. 방성리(防城里)는 방축리(防築里)에서 ‘방’자와 산성리(山城里)에서 ‘성’자를 따서 만든 이름이다. 방축리라는 땅 이름은 마을 앞에 북서 계절풍을 막기 위해 흙을 쌓고 그 위에 나무를 심은 방축이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산성리는 근방에 양주의 외성인 산성[옛 양주 대모산성]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방성리라는 땅 이름은 1914...
-
경기도 양주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라디오나 텔레비전 등의 매체를 통해 음성이나 영상을 전파로 내보내는 일. 경기도 양주시에 본사를 둔 지역 방송사는 없다. 다만 의정부에 본사를 둔 유선 방송사가 양주 지역 방송을 담당하고 있다. 우선 1997년 한국케이블TV 다우방송으로 출범한 나라방송은 1999년 9월 한국케이블TV 나라방송으로 명칭을 변경한 후 양주는 물론 의정부·동두천·포천·연...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의 송추골 남동쪽 대봉[여성봉]에 있는 바위. 배맨바위는 옛날에 비가 많이 와서 산봉우리까지 물이 찼을 때, 배를 산봉우리 부근의 바위에 매어 두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배를 맨 고리가 남아 있다고 한다. 실제 바위의 모양이 배를 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바위 전체의 생김새가 여성의 음부와 같다고 하여 여성바위라고도 한다. 배바위로도 불...
-
경기도 양주시에 무덤이 있는 대중 가수. 본명은 배신웅(裵信雄), 호적상 이름은 배만금. 예명이 배호(裵湖)이다. 아버지는 광복군 출신의 배국민이고, 어머니는 김금순(金錦順)이다. 여동생은 배명신(裵明信)이다. 외가 쪽이 음악가 집안으로, 둘째 외삼촌 김광옥은 일본 무사시노 음악대학을 졸업하고, 윤이상과 함께 음악 활동을 하였으며, 북경심포니교향악단 지휘자를 역임하였다....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백석교회는 ‘제자 삼는 교회’를 교회의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일인일도(一人一禱)하고, 일인일학(一人一學)하며, 일인일사(一人一事) 하자’를 신앙 지침으로 삼고 있다. 1959년 12월 2일 승동교회 여전도회에서 개척하여 당시 양주군 백석면 오산리[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백석교회를 세우고 초대 교역자로 이문숙 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삼거리 도로. 백석삼거리는 양주시청에서 양주시 광적면으로 가는 도로와 백석읍 오산리로 가는 삼거리 도로로, 백석읍 방성리 544-2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삼거리라 하여 백석삼거리로 불리게 되었다. 왕복 4차선 도로이다. 일제 강점기에 현재의 양주시 광적면에서 양주시청으로 나가는 도로와 백석읍 오산리에서 나가는...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행정읍이자 법정읍. ‘백석(白石)’이라는 땅 이름은 백석읍 방성리와 양주읍 유양리·어둔리에 걸쳐 있는 양주산성[구 양주 대모산성]에 흰 돌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양주산성에는 흰 돌이 없고, 다만 방성리에 소재한 양주소놀이굿전수회관 부근의 배나무 과수원에 흰 돌이 있어 이를 ‘백석’의 기원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백석읍 관할 행정 기관. 백석읍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남면·광적면·장흥면], 6개 동[양주1동·양주2동·회천1동·회천2동·회천3동·회천4동] 중 백석읍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백석읍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고개. 백석이고개는 차돌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 다른 설은 옛날 이 고개에 호랑이가 극성을 부려서 낮에도 함부로 넘을 수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고개를 넘으려면 백 명씩은 모여야 했기 때문에 백씩이고개로 불렸는데 나중에 백석이고개로 변하였다고 한다. 이 고개를 백석이현(白石伊峴), 축석령(祝石嶺)이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축석령은 동쪽으로 포...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버섯 특산물.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버섯은 양주 지역의 깨끗한 환경과 기후를 이용하여 재배되고 있어 육질이 쫄깃하고, 깊은 맛과 향이 일품이며, 칼륨과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경기도 양주시 지역에서는 현대화된 기계 설비를 이용하여 고품질의 버섯을 재배하고 있으며, 생산된 버섯은 가락시장이나 직거래로 판매되고 있다. 버섯의 성분은...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법무부 범죄예방위원회 산하 양주 지역 협의회. 법무부 범죄예방위원회는 1996년 6월 12일 법무부 훈령 제363호에 의해 갱생보호위원, 소년선도위원, 보호선도위원 등으로 분야별 및 대상별로 활동 영역이 분리되어 있던 법무부 소속의 기존 범죄 예방 관련 민간 자원봉사자들을 범죄 예방 자원봉사 위원으로 통합하여 구성한 범죄 예방 활동 민간 봉사 단체이다....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입암리에 있는 장애인 생활 시설. 베들레헴 기쁨의 집은 원장 김영수 목사가 세 살 때 교통사고로 지체 장애인이 된 아들을 돌보다 아들과 같은 처지의 장애인들을 돕기 위해 자신의 사재를 털어 만든 시설이다. 베들레헴 기쁨의 집은 사회생활을 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정신적인 안식을 주고 함께 지내는 장애인들과 평생 가족처럼 서로 의지하고 살 수 있는 사랑이 넘치는...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도락산 자락 봉재석산에 있던 바위. 벼락바위는 벼락에 맞은 바위 혹은 벼락을 맞은 것처럼 갈라진 바위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옛날에 한 여인이 아이를 바위 밑에 놓고 김을 매는데, 큰 구렁이[지네라고도 함]가 나타나서 아이를 해치려 할 때 벼락이 쳐서 바위를 갈라지게 하고 구렁이를 죽였다고 한다. 남쪽에 도락산 자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고 북...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의 객문동 남동쪽 산자락에 있던 골짜기. 병막골은 1920년경 일제가 조선인 전염병 환자를 격리 수용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당시 일제는 식민 정책의 일환으로 정상적인 신민(臣民)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조선인과 그렇지 못한 조선인을 격리 수용하는 시설을 건설하였다. 보건 정책 역시 조선인의 건강을 위해서가 아니라 식민 정책의 일환으로 시행된 것으로 보...
-
경기도 양주시에서 주민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증진을 위해 행하는 제반 활동. 국가에서는 자연발생적 질병과 산업화 사회로 인해 찾아오는 환경으로 인한 질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건강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보건의료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양주시 남방동 양주시청 내 별관에 위치하고 있는 양주시 보건소는 보건소장을 비롯한 총 52명의 인원이 일반 진료와 더불어 빈곤, 장애, 고령자 등...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입암리에 있는 장애인 생활 시설. 보아스 사랑의 집은 가정과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채 소외된 장애인을 한 인간으로서 바라보고 사회 적응 교육과 자립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해 장애인이 장애를 극복하고 질적으로 향상된 삶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는 장애인 생활 시설이다. 보아스 사랑의 집은 「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에 의해 설립된 사회·복지 시설로서 도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있는 사찰. 보타사는 2008년에 창건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보타사는 불공을 올리면서 수도 및 포교 활동을 하고 있으며, 부처님 오신 날, 칠석, 백중, 추석, 동지, 정월 대보름 등 절일에는 연등회 등의 행사를 하고 있다. 시설로는 대웅전과 요사채를 갖추고 있으며, 삼성각은 2011년 현재 불사 중에 있다. 아직까지는 소규모 사찰이나 점차 신도...
-
경기도 양주시에서 보존 또는 증식의 가치가 있어 보호하고 있는 나무. 공식적으로 지정한 보호수는 번식이나 풍치 보존이나 학술 참고를 위해서 보호하는 나무라고 할 수 있다. 즉 노목(老木)·거목(巨木)·희귀목(稀貴木) 중 보존 및 증식의 가치가 있는 명목(名木)·보목(寶木)·당산목(堂山木)·정자목(亭子木)·호안목(護岸木)·기형목(畸型木)·풍치목(風致木) 등을 보호수로 보고 있다. 보...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법정리. 복지리(福地里)라는 땅 이름은 홍복리(弘福里)에서 ‘복’자와 신지리(莘池里)에서 ‘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홍복리라는 땅 이름은 장흥면과 경계를 이루고 우뚝 서 있으며 역사 기록에 자주 등장하는 홍복산에서 유래하였으며, 신지리라는 땅 이름은 마을 한가운데 신지라는 저수지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복지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의 행정...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세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핵...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서 하패리로 넘어가는 고개. 봉내미고개는 근처에 봉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혹은 남을진(南乙珍)이 조선 건국에 반대해 하패리 쪽에 은거하였는데 이곳에 바위가 많고 노적가리가 있어 부엉새가 새끼를 치기 때문에 봉황리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봉데미고개라고도 불리었다. 봉내미고개는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산50-2번지와 산66번지 사이의...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있는 도서관. 봉암작은도서관은 인구가 적은 낙후 지역 주민들에게 지식 정보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7년 5월 22일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 봉암마을회관 2층에 165㎡ 규모로 개관하였다. 봉암작은도서관은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양주시에서 네 번째로 개관한 도서관이며, 양주시 최초로 만들어진 작은 도서관이다. 봉암마을회관 신축으...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있는 저수지. 감악산[675m] 동쪽 산줄기의 남쪽 기슭인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와 은현면 봉암리 사이 계곡을 막아 만든 저수지이다. 봉암저수지의 물은 봉암리와 동두천시 상패동 일대의 경작지를 관개한 후 신천으로 흘러들어 간다. 봉암저수지는 1978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79년 12월 29일 준공되었다. 제방 형식은 필댐[죤댐]이며 취수 형식...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기초·기본이 충실하고 자주적인 어린이, 개성과 소질을 계발하여 자기를 창조하는 어린이, 환경을 깨끗이 하며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큰 꿈, 새 생각, 바른 행동’이다. 1963년 6월 20일 상패국민학교 봉암분실로 인가되었고, 1969년 3월 1일 봉...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봉암리(鳳岩里)라는 땅 이름은 봉암, 즉 봉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예로부터 봉내미고개[봉데미고개]를 비롯하여 봉암리 일대에 바위가 많았다. 봉암리 지역 주민들의 증언에 의하면 이곳은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항상 물이 많고 좋았으며, 산에는 소나무와 밤나무가 숲을 이루어 왜가리·황새 등이 항상 날아와 아름다운 풍광을 자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봉...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 감악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 봉암사는 대한불교 일붕선교종에 속해 있다가 대한불교 조계종에 속하게 된 사찰이다. 일붕선교종은 석가모니불을 교조로 하고 태고(太古) 보우 국사(普愚國師)를 종조로 하는 불교 종파이다. 지금의 종단은 1988년 승려 일붕(一鵬)[1914~1996]을 개조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영동 일붕선...
-
경기도 양주시 회천1동에 속하는 법정동. 봉양동(鳳陽洞)이라는 땅 이름은 봉명조양(鳳鳴朝陽)이라는 말에서 따온 것이라고 한다. 봉명조양이란 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조짐을 이르거나 진귀하고 뛰어난 행위를 칭찬하는 말이다. 봉양동의 옛 이름은 봉양리이다. 봉양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 대부분이 어등산면·...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자연 마을. 봉우재는 근처에 봉화(烽火)를 피우던 산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일반적으로 ‘봉우재’라는 이름은 봉수대(烽燧臺)를 의미하는 우리말이다.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에도 같은 지명이 보인다. 관련 연구에 의하면 전국에 봉우재라는 이름이 150여 군데에 달한다. 봉우재는 최소한 18세기 후반부터 양주군 천천면 덕정리에 속해 있었다. 일제의 지방 행정...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부곡리(釜谷里)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두 가지의 설이 있다. 첫째, 이곳이 가마골 혹은 교동(轎洞)으로 불려왔다고 한다. 이름난 인물들의 묘가 많아 성묘하는 사람들이 가마를 타고 들어오므로 이와 같은 땅 이름이 붙여졌다는 것이다. 둘째, 그릇을 굽는 가마가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부곡’이 가마 ‘부(釜)’자와 골짜기 ‘곡...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과거 미군 부대에서 나온 여러 가지 재료를 넣어 끓여 먹던 음식. 부대찌개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에는 미국의 존슨(Lyndon Baines Johnson) 대통령의 성을 따서 ‘존슨탕’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오늘날에는 양주 지역에서 분리된 의정부시와 송탄시를 중심으로 부대찌개 전문 식당이 많이 생겼다. 특히 의정부는 전문 식당이 밀집되어 있는 부대찌개 거리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관광농원. 부부농원은 한 농부가 아내에게 바친 ‘당신이 있었기에’라는 공로비로 유명한 농원이다. 2005년 6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의 박경남이 농업인으로서 40여 년간 부부농원을 운영하면서 함께 고생해온 아내 김옥순을 위해 해줄 수 있는 일을 생각하다가 밤을 새워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글을 썼고, 2005년 7월 4일 이 글을 새긴 공로비를 농...
-
경기도 양주시·고양시·의정부시와 서울특별시에 걸쳐 있는 산. 한산(漢山)의 북쪽에 있는 산이라 하여 북한산(北漢山)이라 부르게 되었는데 북한산이라는 이름은 이미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보인다. 삼국 시대부터 북한산이라는 이름으로 불린 것이다. 현재의 남한산성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산성과 마주하는 곳이라는 데서 나온 이름이다. 조선 시대 무학대사(無學大師)가 태조(太祖)를 위해...
-
경기도 양주시와 고양시·의정부시 및 서울특별시에 걸쳐 있는 국립 공원. 북한산 국립공원은 거대한 화강암체로 이루어진 북한산과 도봉산을 중심으로 지정되어 있는 국립 공원이다. 경기도 양주시·고양시·의정부시 및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수도권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휴식 공간인 동시에 생태계의 보고이자 도심 속의 자연 공원이라 할 수 있다. 북한산 국립공원은 산소 탱크와 같은 역할을...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에 있는 산장. 불곡산장은 조용하고 아늑한 산중 휴식처로, 1995년 토속 음식점으로 문을 열었다가 현재는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청량한 자연의 아름다움과 휴식을 제공하는 산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불곡산장은 숙박 시설, 족구장, 전통주 체험장, 야외 캠핑장, 산책로로 구성되어 있다. 야외 캠핑장은 총 30동을 수용할 수 있으며 샤워장, 화장실, 취사장이 갖추어져...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과 산북동, 백석읍 방성리 일대에 있는 산. 불곡산(佛谷山)이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1530]에서부터 등장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에는 불국산(佛國山)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에는 불국산과 불곡산이라는 이름을 혼용하는데, 역사성이 있는 이름은 불국산일 것 같다. 불국산이라는 이름은 이 산을 부처가 사는...
-
경기도 양주시 불곡산을 중심으로 주변의 여러 봉우리로 연결되는 등산로. 불곡산[468.7m]은 양주시의 한가운데에 위치한 산으로 ‘불국산’으로도 불린다. 정상으로 오르는 여러 코스의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으며 야트막하지만 아기자기한 바위가 많아 바위산의 풍광을 맘껏 느껴볼 수 있다. 암벽과 작은 봉우리들이 점점이 길게 이어져 경치도 좋으며 산이 위압적이지 않아 산행의 묘미를 느낄 수...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 있는 농촌 체험 마을. 비암리라는 땅 이름은 이 지역에 있는 견준바위 즉, 비암(比巖)에서 유래하였다. 예로부터 양주골 백성들이 삶의 기초인 소금과 음식의 기본인 새우젓 등을 얻기 위해 임진강 나루터 사이에 있는 길목으로 많이 왕래하여 주막거리가 형성되었다. 그 길에 있는 큰 바위산에 특이한 구멍이 뚫려 있어 지나치는 백성이 나무를 꺾어 그 구멍에 견...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법정리. 비암리(比岩里)라는 땅 이름은 이 지역에 있는 견준바위, 즉 비암(比岩)에서 유래하였다. 지금은 도로 확장 과정에서 거의 파손되었지만 옛사람들은 이 바위를 막대기로 견주면서 자신의 소원을 빌었다고 전한다. 비암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 구역 개편 이후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만 해도 광석면 사패리...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편조원단 제조업체. 1995년 7월 20일 동아섬유로 설립되어 2004년 8월 서광텍스타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2006년 12월 7일 비오비인터내셔널로 다시 상호를 변경하였다. 비오비인터내셔널은 원단 편조, 직물 염색 및 세척 가공 등과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0년 기준 자본금은 6억 5000만 원이며, 종업원 수는 50명이다...
-
수도 서울의 북편에 위치한 경기도 양주시는 광주산맥의 끝단으로서 남쪽으로 서울과 양주시·의정부시를 가르는 도봉산·북한산으로 이어지는 높고 낮은 산들이 고루 흩어져 있다. 한마디로 양주시는 거의 대부분이 산지 지형이며 여러 산들 사이에 널찍하게 자리 잡은 곳이 지금의 양주시 중심가이다. 임진강을 끼고 있는 파주시 적성면과 연천군 전곡읍을 북쪽에 접하고 있으면서, 양주시의 최북단인 남...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자연 마을. 사괴(四槐)라는 지명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느티나무 네 그루가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과 괴목(槐木), 즉 홰나무가 서식하는 곳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옛날에 이곳에서 창호지를 만들었기 때문에 창호지를 의미하는 사괴지(四塊紙)에서 따온 말이라는 설도 있다. 동두천지동(紙洞), 양주군 회천면 봉양리조휘동[종이동의...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여성 단체들의 협의회. 사단법인 양주시 여성단체협의회는 양주시의 여성 단체장들이 결성한 협의회로, 여성 단체의 활동을 도우면서 조직적으로 사회적 사업을 시행 및 관리하고 있는 여성 단체이다. 사단법인 양주시 여성단체협의회는 남녀평등의 촉진, 여성의 사회 참여 확대 및 복지 증진을 도모하며 양주시 여성 단체들의 네트워킹을 통해 활발한 지역 사회 발전에 기...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산. 사리산(舍利山)은 산줄기가 마치 닭의 발처럼 세 줄기로 나뉘어 있어 원래 계족산(鷄足山)으로 불리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에 따르면 옛날 이 산에 있는 절의 부도 안에서 사리가 나왔으며 그것을 계기로 이름을 사리산으로 바꿔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양주시 남면 사람들도 계족산보다는 사리산이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태종실록(太宗實錄)』...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사찰. 한국불교 태고종은 대승 교화 종단으로 태고(太古) 보우 국사(普愚國師)를 종조로 하고 있으며, 소의 경전은 『금강경(金剛經)』과 『화엄경(華嚴經)』이다. 한국불교 태고종은 1941년 조선불교 조계종으로 출발하여 방한암(方漢岩) 대종사가 1대 종정을 맡았다. 1945년에는 종단을 조선불교로 바꾸었고, 이때 1세 교정은...
-
경기도 양주시에서 행하고 있는 사진 촬영 활동 및 관련 예술. 사진은 19세기 초 프랑스 화가인 루이 쟈크 망데 다게르(Louis Jacques Mandé Daguerre)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사진이 더욱 활성화된 것은 영국의 화학자 존 프레더릭 고더드에 의해서였다. 취급이 더욱 간편해지면서 사진은 대중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어 사업으로 번창하게 되었다. 이렇게...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경기도 양주시의 사찰은 불교의 전래에 따른 수용이 오래된 만큼 그 연원도 깊다. 나아가 양주시의 사찰은 크게 전통 사찰과 일반 사찰로 혹은 조계종과 태고종계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사찰에서는 대웅전 등의 시설을 갖추고 구도 및 기도와 함께 다양한 포교 활동을 행하고 있으며, 현재는 인터넷을 활용한 포교에도 나서고 있다. 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와 의정부시 호원동·가능동에 걸쳐 있는 북한산 국립공원 내의 산.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원래 이름은 사패산(賜牌山)이 아니었다. 산의 전체적인 모양, 혹은 큰 봉우리의 바위 모양이 삿갓처럼 생겨서 갓바위산 또는 삿갓산이라고 불렀다. 그러다가 조개껍질처럼 생겼다 해서 일부에서 사패산이라 부르기 시작하였고 대부분의 지도가 이것을 따라 쓰는 바람에 사패산이 되...
-
경기도 양주시에서 시민 사회를 위해 행해지고 있는 사회적 서비스와 측면적 원조. 우리나라 헌법 제34조에서는 사회복지를 사회보장과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그 의미나 내용에 대한 언급은 없다. 따라서 사회복지의 의미는 사회복지를 사회보장의 일부로 보는 견해, 사회보장, 보건위생, 노동, 교육, 주택 등 생활과 관계되는 공공 시책을 총괄한 개념으로 보는 견해, 생활에 관계되는 공공...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을 가꾸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탐구하고 창조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아름답게’이다. 1997년 3월 27일 산북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2000년 3월 1일 12학급으로 개교[초대 류방현 교장]하였다. 2007년 교실 2칸 규모의 과학실 현대화...
-
경기도 양주시 양주1동에 속하는 법정동. 산북동(山北洞)이라는 땅 이름은 양주의 주산(主山)인 불곡산(佛谷山) 뒤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산뒤·산디·산대(山垈)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지역은 꽃벼루우물이 있어 고려 시대부터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샘내[천천(泉川)]로 불린다. 또는 배양동(培養洞)이라고도 하는데 발음이 변하여 뱀굴로도 불린다. 산북동의 옛 이름은 산...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에 있는 수령 약 19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과 백석읍 방성리 양주 대모산성에 걸쳐 있었던 자연 마을. 양주산성[양주 대모산성]이 있어서 원래 산성 또는 산성마을이라고 불리다가 일제 강점기에 들어서 산성동이라고 불리기 시작하였다. 일제 초기의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서는 이 지역을 산성리(山城里)로 소개하였다. 산성의 일부는 지금까지 남아...
-
경기도 양주시는 지난 2006년 12월 전철 1호선 경원선 복선 전철의 개통, 2007년 12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완전 개통, 2008년 148만 9000㎡ 규모의 고읍 택지 개발 사업 완료 등으로 2011년 11월 기준 인구 20만 명의 경기 북부 중심 도시로 급성장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옥정·회천 지구에서 현재 추진 중인 11.42㎢ 규모의 양주신도시와 116만 900...
-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 천보산 중턱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한 나무꾼이 마전동 골짜기에서 나무를 해 서울에 팔았는데, 어느 한약방 주인이 나무를 사면서 “이 나무의 절반이 인삼 잎이요.”라고 하는 것이었다. 이후 나무꾼은 큰 부자가 되었고, 이곳에서 인삼이 많이 난다 하여 삼바골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삼박골 또는 삼밭골이라고도 한다.경기도 양주시 마전동중 마전2통 전체를 삼바골이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세계를 향해 큰 꿈을 키워 가는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5년 5월 1일 삼상간이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45년 9월 24일 삼상국민학교로 독립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1일 삼상국민학교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삼상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1년 12월 31일 동편 2층에 2...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삼상리(三上里)라는 땅 이름은 삼패상리의 준말이다. 원래 패(牌)는 ‘어울려 이룬 사람들의 동아리’를 뜻하며 나라에서 각 지방의 마을을 나눌 때 흔히 쓰던 기준이다. 양주시의 각 면에 속한 리(里)의 이름이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의하면, 마을 이름이 확실하지 않은 곳을 일패리·이패리·삼패리·사패리 등으로 표...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 있는 플라스틱 필름 및 가방 전문 제조업체인 삼성플라스틱의 공장. 삼성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소재의 쇼핑백 및 폴리백을 전문으로 생산해 온 회사이다. 삼성플라스틱 양주공장은 플라스틱 제품 공정의 철저한 전문화와 끊임없는 신소재 개발로 최고 품질의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여 플라스틱 포장 문화에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인간 존중의 플라스틱 제품 문화 창조와 함께 자...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예의와 본분을 지키는 바른 사람, 미래 사회를 주도할 합리적이고 자주적인 사람, 삶의 지혜를 배우고 특기 적성을 계발하는 사람, 건전한 정신과 건강한 몸을 지닌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자존, 자립, 협동’이다. 2004년 12월 27일 삼숭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5년 9월 1일 개교하였다. 2009년 9월...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가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도덕인, 깊이 탐구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창조인, 긍정적인 자세로 꿈을 찾는 행복인, 남과 더불어 생각하고 협력하는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4년 12월 27일 삼숭초등학교[11학급]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5년 9월 1일 개교하였으며, 초대 조문영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6년 3월...
-
경기도 양주시 양주2동에 속하는 법정동. 삼숭동(三崇洞)이라는 땅 이름은 삼가대리(三佳垈里)의 ‘삼’자와 광숭리(光崇里)의 ‘숭’자를 합한 이름이다. 삼가대리는 삼거리에 있는 마을 혹은 세 성씨가 사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광숭리는 넓은 벌판이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현지 주민들은 상삼동(上三洞)·하삼동(下三洞)·광숭동(光崇洞)·야촌동(野村洞) 등을 합쳐 옛날매라...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핵과(核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한국성서선교회 소속 교회. 삼일성서교회는 교파를 초월하여 은혜와 진리가 충만한 교회, 치유하는 교회, 선교하는 교회, 양육하는 교회를 지향하며 활동하는 교회이다. 1971년 5월 16일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290-1번지의 부지 1,570㎡를 구입하고 개척 창립 예배를 보았으며, 10월에는 74㎡ 규모의 삼일성서교회 단층 건물을 건축하고...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국토의 분단과 통일을 염원하며 부르던 유희요. 「삼팔선 노래」는 노래 자체를 즐기기 위해 부르는 비기능 창곡요로서 광적면 비암리의 주민 한원교가 부르던 가창 유희요이다. 비기능 창곡요는 가창을 통해 즐기게 되는 분위기와 정서의 기본적 틀이 창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노래로서 사설이 주는 재미도 창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기본적 정서 위에 마련된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삼하리(三下里)라는 땅 이름은 삼패하리의 준말이다. 원래 패(牌)라는 말은 ‘어울려 이룬 사람들의 동아리’를 뜻하며 나라에서 각 지방의 마을을 나눌 때 흔히 쓰던 기준이다. 양주시의 각 면에 속한 리(里)의 이름이 최초로 기록되어 있는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 의하면, 마을 이름이 확실하지 않은 곳은 일패리·이패리·삼패리...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친환경 포도 농원. 삼훈포도농원은 유기농업을 바탕으로 친환경 포도를 생산하는 유기농 포도 농원을 조성하여 체험 농장으로 운영하기 위해 1996년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384-12번지에서 3,305.8㎡로 건립되었다. 1998년 첫 수확을 앞두고 수해로 수확에 실패했으며 2000년 첫 수확을 하였다. 2001년 3,305.8㎡을 추가하여 6...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일반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는 산업 단지로, 시·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장이 지정한다. 상수일반산업단지는 1990년 2월 10일 산업 단지 개발 실시 계획이 승인되고, 1992년 10월 5일 준공되었다. 1995년 2월 14일 경기도 고시 제1995-40호로 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배움을 실천하는 어린이’이다. 1955년 3월 29일 남면국민학교 상수분실로 인가를 받았고, 1963년 12월 20일 상수국민학교로 다시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상수’라는 땅 이름은 원래 양주 백석과 감악산에서 내려오는 두 물줄기가 합쳐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상수(相水)]인데, 이곳에 상수리나무가 많이 서식하므로 또 다른 의미가 발생하였다[상수(橡樹)]. 일설에는 고려 말의 유신(遺臣)으로 조선 왕조에 관리로 나아간 홍지(洪智)와 관련된 땅 이름이라고도 한다. 즉 홍지가 태조 때 죽으니, 태조는 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와 고양시의 경계에 있는 산. 산의 생김새가 우뚝하고 장수와 같은 기상이 있다 하여 상장봉(上將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여기서 상장산·산장산·산정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상장봉은 시루봉·메주봉·갈비봉 등의 능선으로 이어져 있다. 메주를 닮아 메주봉, 시루를 엎어놓은 것 같다 하여 시루봉이라 한다. 갈비봉의 원래 이름이 갈미봉이라고도 하는데, 가을 단풍...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품성을 지닌 도덕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깊이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의인, 스스로 학습하는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건강하며 슬기로운 어린이’이다. 1946년 2월 10일 은현국민학교 상패분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47년 3월 20일 상패국민학교[6학급]로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새마을문고 양주 지역 지부. 새마을문고 양주시지부는 새마을문고중앙회 경기도지부 산하 기관으로서 언제, 어디서나 책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각 마을 단위에 설치된 작은 문고이다.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도서의 무료 대출과 함께 공부방 및 취미·교양 강좌를 운영하는 독서 문화 공간이다. 새마을문고는 주민 가까이에 설치되어 주민을 직접 찾아가거나 주민이 쉽게 찾아...
-
1970년대 경기도 양주를 포함한 전국에서 실시된 범국민적 지역 사회 개발 운동. 새마을 운동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으로 행해진 지역 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하고 그 실천을 범국민적·범국가적으로 추진하여 총체적인 국가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서울에서 가까운 양주 지역은 시범 실시 지역으로 선정되었고, 많은 예산이 투입...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에서 덕계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샘내고개라는 이름은 근처에 맑은 물이 솟는 샘내가 있어 유래되었다. 샘내는 지질이 희고 푸석돌이 많은 석비레로 되어 있어 여기서 솟아나는 맑은 물은 유명한 약수였다. 그 중에 꽃바위우물, 즉 화암정(花岩井)이라고 하는 유명한 약수도 있었다. 옛날에 서평강(徐平康)이라는 평강군수가 가렴주구(苛斂誅求)를 일삼는 악정을 벌이다가 쫓겨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에 있는 기초 무기 화학 물질 제조업체. 서안켐텍은 표면 처리 약품 산업의 기술 발전 및 수입품의 국산화와 전자 산업에 필요한 정밀 화학제품의 개발 및 판매를 위해 설립하였다. 1972년 4월 창립한 이후 1983년 주식회사 서안물산으로 법인을 설립하였다. 1980년대에는 염화제일석, 청화아연, 청화제일동 등을 생산하였다. 1993년 한빛은행으로부터 유망...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벽지 제조업체. 서울벽지는 벽지 소재의 개발, 다양한 디자인 개발, 품질 향상 등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온 벽지 업계의 선두 주자로서, 39년간의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벽지 문화의 새로운 미래를 창조하면서 보다 폭 넓은 분야로 재도약해 나가고 있는 기업이다. 1968년 6월 서울특별시 성동구 마장동에서 서울가공지공업사로 설립되어 벽지 생산을 시작하였다....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우유 가공 제품 생산업체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의 공장. 서울우유협동조합은 국내 1위의 우유 가공 제품 생산 업체로 주식회사가 아닌 협동조합 체제이다. 국내에는 양주, 용인, 안산에 총 3개의 공장이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양주공장은 낙농 산업 발전에 선도적 역할을 하면서 인간을 존중하고 고객에게 기쁨과 행복을 주는 제품 생산을 위해 건립되었다. 1937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 설립철학은 ‘힘을 기르자’이며 교육이념은 인성교육[폭 넓은 교양과 건전한 인격], 신문화 창조교육[새로운 문화의 창의 인재], 직업교육[높은 수준의 전문성]이다. 인재상은 올바른 인재, 선도적 실천 인재, 현장전문 인재, 나눔 인재이다. 2001년 3월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학교법인 서정학원의 설립허가를 받은 뒤, 2002년...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 귀율리 아랫마을에서 포천시 소홀읍 갈매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석문령(石門嶺)은 고개 옆에 돌문[石門]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문헌을 살펴보면 우선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에 석문현(石門峴)이라고 명기되어 있다. 그리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서는 석문령이 양주목 동쪽 15리 지점에 있다고 하였으며, 『조선지지략(朝鮮地誌略)』[1888]...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법정리. 석우리(石隅里)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대해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석우리에 흐르는 하천인 석우천의 모퉁이에 있던 돌문에서 ‘돌모루 또는 ‘석우’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땅 이름 유래와 관련된 돌문은 지금 남아 있지 않다. 옛날에 어떤 스님이 이곳에 와 시주를 청하였으나 동네 사람들이 ‘쇠똥도 없다’고 하며 내쫓았다고 한다. 이에 스님이 괘...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핵...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석...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서 발원하여 석우리에서 신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신천 합류점인 석우리의 이름을 따서 석우천(石隅川)이 되었다. 석우리는 조선 시대 양주군 석적면 지역으로 하천변 모퉁이에 있던 돌문에서 ‘돌모루’ 또는 ‘석우’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석우천은 신천의 지류이다. 신천은 한탄강의 지류이고, 한탄강은 임진강의 지류이다. 즉, 석우천은 임진강 수계에 속한다. 양...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석현리(石峴里)라는 땅 이름은 석현, 즉 돌고개 밑에 있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약 170년 전 이 마을의 문인들이 돌고개 근처에 앉아 마을의 이름을 정하고자 의논하였다. 이때 나무를 기준으로 삼자는 측과 돌을 기준으로 삼자는 측으로 나뉘어 논란이 있었다. 결국 돌이 나무보다 수명이 길다고 하여 돌고개...
-
경기도 양주시에서 선거권을 가진 지역 주민이 공직에 임할 사람을 투표로 선출하는 일. 현재 한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요 공직 선거로는 외국에 대하여 국가를 대표하고 행정권의 수반이 되는 최고의 통치권자인 공화국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선출하는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국회의 구성원이 되는 국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국회 의원 선거, 「지방 자치법」에 따라 지방 의회 의원 및 지방 자치...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 신천에 있는 바위. 선돌바위는 서 있는 돌이라는 뜻에서 ‘선돌’, 즉 ‘입석(立石)’으로 불리었으며 선돌할머니가 돌을 쌓아 만들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선녀가 이 바위에 내려오는 꿈을 꾸었다는 옛 노인의 말에 따라 선녀바위라고도 불리었으며, 신선이 서 있는 모양과 같다 하여 신선바위라고도 하였다. 선암리라는 마을 이름은 이 선돌바위에서 유래된 것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선암리(仙岩里)는 이 지역에 선돌바위가 있어 붙여진 땅 이름으로, 입석동(立石洞)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신천가에 위치한 아름다운 선돌은 신선바위·선녀바위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신천의 수량이 많이 줄어 선돌의 모습이 예전보다 많이 노출되어 있다. 선암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만 해도 묵은면...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백화암으로 올라가는 불곡산길 옆 계곡에 있는 바위. 선유동천바위의 선유동천(仙遊洞天)은 주위 계곡에 물이 많고 경치가 빼어나 선녀가 내려와 미역을 감고 올라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북쪽에는 불곡산 자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고, 남쪽에는 양주산성이 있는 대모산이 위치하고 있다. 주위 계곡에 물이 많고 경치가 아름답다. 선유동천바위는 유양...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는 섬유 가공업체. 선일섬유는 1986년 10월 12일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 약 1만 5000㎡의 대지에 설립되었다. 2002년 매출액 30억 원을 달성하였다. 화학 섬유 직물인 기모 제품의 염색, 정리, 마무리 가공 등과 관련된 사업을 주 업종으로 하고 있다. 현재 대표는 황의석이다. 1986년에 설립된 선일섬유는 경기도 양주의 초기 섬유 산업을...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에서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로 넘어가는 고개. 설마치고개는 당나라 장수 설인귀(薛仁貴)가 신라의 삼국 통일을 지원하기 위해 말을 타고 달리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혹은 근처에 제단이 있어 설마고개[薛馬峙]라 했다고도 한다. 어룡고개 혹은 어영고개라고도 불리었는데, 임금님이 넘어갔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설마치고개는 『신증동국...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감악산 정상 부근 능선에 있는 동굴. 신라를 도와 고구려를 정벌하러 온 당나라 장수 설인귀(薛仁貴)[613~683]가 이곳에 진을 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일제 초기의 문헌인 『조선지리(朝鮮地理)』[1918]는 봉암사(鳳巖寺)를 소개하면서 봉암사가 바위로 이루어진 굴속에 있으며 설인귀가 살았던 곳으로 전해진다고 하였다. 한편 마을 노인들은 설인귀굴을 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자연 마을. 섬말은 마을 전체가 물로 둘러싸여서 섬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로 율량천과 봇물이 마을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들 한 가운데에 섬처럼 있는 마을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양주시 백석읍에도 같은 지명이 있으며, 홀로 떨어져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유래도 같다. 한자로는 도촌(島村)이라고 한다. 섬말의 형성...
-
경기도 양주시의 섬유 산업 현황. 섬유 산업은 과거 한국 국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었으며, 2011년 현재 경기도 북부 지역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섬유 산업 업체가 입주하고 있다. 경기도 양주와 포천을 포괄하는 경기 북부 지역의 섬유 산업은 2006년 대구·경상북도 지역을 추월하였으며, 이후로도 섬유 관련 업체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양주시는 경기 북부 섬유 산업의 중...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유교 단체. 1945년 8·15 해방 직후 김창숙(金昌淑)을 중심으로 하는 유림(儒林)이 일제 강점기에 성균관을 점유했던 ‘친일 유림’을 축출하고 과거 성균관의 전통을 계승하는 새로운 중앙 집권적 유림 기구를 설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1945년 11월에 성균관 비천당 앞 광장에서 전국 유림 대표 200여 명이 성균관유도회(成均館儒道會) 창립회를 열고 성균...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천주교 신자들이 모여 교리에 따른 예식이 행해지는 건물. 성당(聖堂)은 본당을 말하며, 가톨릭의 경신례를 위해 모든 신자들이 이용하도록 지정된 거룩한 건물이다. 성당은 주임 신부가 상주하며, 공소(公所)는 신부가 방문해야만 미사가 집전될 수 있는 성당보다는 작은 교회의 단위이다. 주교 관구의 중심 교회로서 주교가 직위에 있고 미사를 집전하는 경우 주교좌 성당(...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현악기 제조업체. 성음악기는 세계 일류 품질의 악기 제조업체를 목표로 설립되었다. 1972년 4월 현 박현권 회장이 서울의 자택 지하방에서 창업하여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사업이 번창하여 1978년 경기도 양주로 회사를 이전하였다. 1986년 CRAFTER를 상표로 등록했으며 2004년 미국 버지니아주에 CRAFTER USA INC.를 설립하였다. 2...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에 있는 섬유 회사. 세계섬유는 섬유 염색과 다양한 종류의 직물을 생산 가공하여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6년 대양섬유공업사로 설립되었다가, 1997년 9월 9일 세계섬유로 법인을 전환하였다. 1998년 레이온 의마 가공법 개발과 더불어 텐터(tenter)와 생산케퍼를, 1999년에는 AIRO-1000 2기를 증설했으며 2000년에는 전자동...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었던 병원. 의료법인 영신의료재단 세종병원은 의료법인 영신의료재단에서 주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료 낙후 지역이던 양주시의 주민들에 대한 보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의료법인 영신의료재단 세종병원은 의료법인 영신의료재단에서 2001년 11월 인가를 받아 일반외과, 정형외과, 신경과, 흉부회과, 내과, 피부과, 비뇨기관, 소아과, 가정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응달말에서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소의 귀처럼 길게 늘어져서 소귀고개라 하였다 한다. 응달말에서 소귀고개를 바라보면, 왼편에는 교현리와 서울특별시의 경계가 되는 중방고개가 있고 오른편에는 갈비봉이 위치하고 있어 두 봉우리가 마치 소귀처럼 보인다. 소귀고개는 북한산의 오봉과 도봉산의 상장봉 사이에 있는 큰 고개이다. 주변에 계곡이 어...
-
경기도 양주시의 시목(市木). 소나무의 높고 굳은 절개를 표상하여 양주시 시민의 진취적 기상을 상징하고, 바위틈에서도 살아나는 자생력을 표상하여 시민의 강인함을 상징하고자 소나무를 양주시의 시목으로 지정하게 되었다. 시목의 지정 일자는 정확하지 않은데, 타 시·군의 사례와 같이 시화[개나리] 지정 일자와 같은 것으로 생각된다. 시화와 시목은 1970년대에 지정된 것으로 추정되며,...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용암리·하패리에 걸쳐 있는 산. 소래산(蘇萊山)이라는 이름이 생긴 배경에 대해 몇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제일 그럴듯한 전설은 송라, 즉 소나무겨우살이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이다. 소나무겨우살이는 소나무에 기생하는 식물로 한방에서는 이뇨제 및 거담제로 사용하며 결핵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 이 산에는 소나무가 많았으며 소나무...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서 기산리로 넘어가는 고개. 예로부터 이 근방에 묘지를 쓰면 소새라는 새가 뱀을 찍는 모양이 되므로 가세가 기운다고 하였고, 실제로 허씨 집안이 묘소를 쓰고 망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고개의 이름이 소새고개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인근 마을 사람들이 소새고개가 있는 산자락의 형상을 항상 소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소사고개 혹은 소새고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천문 테마 파크. 송암스페이스센터는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꿈과 희망을 키워 우주 시대의 개척자로 자랄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어른에게는 고향에서 보던 별에 대한 아련한 추억을 되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일철강 회장을 역임한 송암(松岩) 엄춘보(嚴春甫)가 건립을 추진하였다. 계명산 형제봉에 자신이 설립한 송암천문대와 케이블카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사설 천문대. 송암천문대는 국내 기술로 제작된 제1호 600㎜급 주망원경과 각종 보조 망원경을 배치한 관측실, 우주에 대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영상강의실, 휴식 공간인 카페와 도서실 등의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천문대다. 송암천문대의 건립자로 한일철강의 회장을 역임한 송암(松岩) 엄춘보는 우주라는 광활한 공간에서 자신이 미미한 존재라는 것을 깨달...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송추]에서 가공, 판매되는 소갈비. 송추의 소들은 ‘가마골 소’라는 별명으로 불렸는데 그 고기의 질감이 탄탄하고, 큰 뼈대에 붙은 고기 맛이 진하기로 유명하다. 지금의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의 원래 이름은 가마골, 혹은 가막동이었다. ‘가마가 있는 곳’이란 뜻으로, 조선 중기부터 이곳에 도자기를 굽는 큰 가마가 있었기 때문에 붙은 지명이다. 도봉산에서 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2003년 의정부성당 송추공소에서 출발하여 2010년 9월 14일 송추성당으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소속 신자 수가 적고 재정 자립도도 미약한 준본당에 속한다. 미사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10시, 토요 특전은 오후 6시, 주일은 오전 7시, 오전 11시(교중 미사)에 진행된다. 송추성당 관할 구역은 양주시 장흥...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 있는 골프장. 1992년 10월 20일 대한제당이 오리엔탈개발을 인수하면서 보다 많은 체육인을 육성하여 우리나라 체육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목표 아래 1993년 3월 10일 18홀 규모의 골프장 사업 승인을 받았다. 이후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비암리 산23-1번지[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 산23-1] 일대를 매입하여 골프장 공사를 시작하였다. 1995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에 있는 유스호스텔. 유스호스텔은 국제유스호스텔연맹(International Youth Hostel Federation)의 규약과 정신에 입각하여 설립된 청소년 수련 시설로 객실과 대강당 등 각종 부대시설을 갖춘 종합 연수 시설이다. 우리나라의 유스호스텔은 「민법」 제32조에 의거 1967년 4월 17일 사단법인 한국유스호스텔협회가 발족됨으로써 시작되었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 있는 유원지. 산세는 도봉산 북서쪽, 사패산 서쪽이며, 송추역 남쪽 3㎞ 정도 떨어진 곳으로 북한산에서 흘러내리는 약 4㎞의 오염되지 않은 계곡과 삼단 폭포의 자연 경관이 수려하여 1950년대부터 자연 발생적으로 송추유원지가 조성되었다. 1963년 경기도 고양시 능곡동과 의정부시를 연결하는 서울교외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송추계곡 입구부터 2.5㎞ 구간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에 있는 정신 병원. 송추정신병원은 사회복지법인 성람재단 산하의 병원으로서 사회·복지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길의 하나로서 병원을 개원하였다. 1990년 1월 개원하였고, 1991년 6월 77병상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96년 5월 148병상 인가를 받았으며 2006년 6월 300병상 증축 인가를 받았다. 송추정신병원은 운동 요법, 음악 감상, 서예 요법...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이 바르고 협동·봉사하는 어린이, 깊이 생각하며 새로움을 창조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전하고 정서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28년 7월 20일 장흥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1929년 4월 6일 장흥보통학교[2학년 2학급 편성]로 개교하였다. 1938...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 있는 자연 마을. 송추골은 소나무[松]와 가래나무[楸]가 많아 원래 송추(松楸)라고 불리었다. 한자로 ‘송추동(松湫洞)’이라고 쓰면서 가래나무 ‘추(楸)’자 대신 못 ‘추(湫)’자를 사용하였으며 이는 사계절 내내 맑고 시원한 물이 계곡에 흘렀기 때문이다. 울창한 숲과 시원한 계곡이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송추골의 형성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대한 제국...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와 장흥면 삼하리를 잇는 총 연장 10.8㎞의 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는 급증하는 수도권지역의 교통난 해소 및 신도시 건설에 따른 교통 수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지난 1988년 공사가 시작되어 2007년 12월 완공된 고속도로로서, 총 길이 127.6㎞, 왕복 8차선으로 성남 ~ 안양 ~ 안산 ~ 고양 ~ 의정부 ~ 구리 등 경기도내 주요 도시를...
-
1963년부터 1980년까지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수동면(水洞面)은 예로부터 산세가 수려하고 맑은 물이 굽이쳐 흘러 물골안이라고 하였으며, ‘수동’은 이 물골안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측된다. 수동면은 1963년 1월 1일 양주군에 신설된 면으로, 가평군 외서면 입석리·외방리·내방리의 3개 리와 양주군 진접면의 수산리 및 양주군 화도면의 지둔리·운수리·송천리를 병...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거미울에서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오현리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 중국으로 가는 길목이라 수레가 끊임없이 넘나들던 고개라 하여 수레네미고개라 하였다. 또 지세가 험하고 도적이 많아 쉰 명이 모여야 넘을 수 있었으므로 쉰고개 또는 쉰넘이고개라고도 하였다. 혹은 고개가 험해 몇 번을 쉬어야 넘을 수 있다고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도 한다. 차유령(車踰嶺), 수레...
-
경기도 양주시에서 숙박업을 영위하기 위한 관련 시설. 숙박업이란 여관이나 호텔 등과 같이 손님을 숙박시키고 요금을 받는 영업을 가리킨다. 현행 「공중위생관리법」에서는 숙박업을 손님이 잠을 자고 머물 수 있도록 시설 및 설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업을 말하는데, 다만 농어촌에 소재하는 민박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관광진흥법」의 관광 사업의...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초·중·고 통합 학력 인정 기독교 대안 학교.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치는 유태인식 교육으로 영성, 인성, 지성, 그리고 감성을 겸비한 크리스천 리더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유대인식 쉐마(Shema) 교육법은 자녀가 태어날 때부터 『성경』에 따라 하나님을 먼저 배우도록 하는 신앙 중심의 가르침으로, 흔히 ‘고기 잡는 법’으로 많이 비유되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숙박 시설. 스타하우스는 송암스페이스센터의 관람객과 현장 체험 학습 온 학생들, 가족 단위 여행객들에게 숙박과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 2007년 7월 17일 문을 열었다. 총면적은 2,187㎡이고 객실은 단체실과 가족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세미나실과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식당이 있다. 단체실은 약 10~15명이 이용할 수 있으며 총 5...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홍문거리에서 남방동으로 가는 길에 있는 돌다리. 승학교는 예전 ‘승학하양주(乘鶴下楊州)’라는 전설에서 비롯된 이름이라고 한다. 다리 옆에 1733년(영조 9)에 세워진 비석이 있는데, 문헌상으로는 18세기 중반부터 승학교라는 이름이 확인된다. 1842년판 『양주목읍지(楊州牧邑誌)』에 처음 나타나며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양주목읍지』[187...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 시설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각종 채소 특산물.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비가림 재배 시설에서 1년 내내 상추, 시금치, 얼갈이, 오이, 호박, 토마토, 고추, 참나물 등 40여 가지의 다양한 채소류들을 재배하고 있다. 특히 유기농, 친환경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의 안전한 먹을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양주시의 시설 채소는 무농약으로 재배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육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 현재 한국의 식물상은 대략 1만여 년 전쯤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업은 인간이 삼림을 간섭한 최대 사건이었다. 약 3,500년 전에 벼농사와 화전민의 이동 농업으로 삼림은 축소하기 시작하였고, 농경 사회가 산업 사회로 옮겨 가면서 무차별적으로 건설된 도시와 공업 단지는 삼림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도시화는 삼림을 직...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일대의 자연 마을. 신내라는 명칭은 마을 주위를 흐르는 신천에서 비롯되었다. 신내가 형성되던 시기부터 마을의 젖줄 역할을 했던 신천은 유래가 밝혀지지 않은 탓에 ‘신천(莘川)’, ‘신천(新川)’, ‘신천(信川)’ 등 각기 다른 한자로 불려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없으며, 신내라는 마을 명칭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신천 주변에 위치해 신내로 불렸으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각종 정치·경제·문화 등 관련 뉴스를 전하는 정기 간행물. 20세기 및 21세기 시민 사회의 알 권리가 중요시되면서 관련 정보를 취재하고 이를 정리하여 전달하는 시스템이 갖춰지게 되었다. 이를 정기적으로 간행한 것이 신문이라 할 수 있다. 신문은 발행 주기별로 보통 오전이나 오후 매일 발행하는 조간이나 석간 같은 일간 신문, 격주 발행의 주간 신문 형태가 있다...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1900년 굿배미[현 경기도 양주시 남면 구암리]에 사는 정성삼[1874~1952]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집을 기도처로 삼아 신앙생활을 시작하면서 신산감리교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정성삼은 1907년부터 남감리교 초대 순행 교역자 무야곱의 지도하에 세워진 임간리교회[현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서 신앙생...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정기 시장. 신산장은 남면사무소 소재지 근처인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280-10번지의 3,038㎡ 공터에서 2일과 7일에 열리는 장이다. 경기도 양주군 남면 상수리에 있었던 입암시장, 혹은 일명 갓바위장으로 불리던 우시장이 장마당의 잦은 침수로 인해 1950년대 말엽에 폐지되었다. 그 후 이 갓바위장이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로 이전하면서...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산리(莘山里)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세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중국 은나라의 재상인 이윤(伊尹)이 낙향하면서 들에 개나리꽃이 만발하였다는 ‘신유야화(莘有野花)’[신야(莘野)는 이윤이 농사를 지었다는 곳]에서 따왔다는 설이 있다. 둘째, 이 마을의 이름을 정할 때 지청말에 귀신바위, 일명 곳갈바위가 있으므로 귀신 ‘신(神)’자를 써서 신산리(...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세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핵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소나무. 신산리 소나무는 양주시 지정 소나무 보호수 두 그루 중 하나이다. 소나무는 소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35m까지 자란다. 잎은 두 잎이 뭉쳐나며 피침 모양이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이듬해 가을에 맺는다. 육송(陸松)이라고도 한다. 신산리 소나무는 일부 가지의 끝이 고사되어 있으나 상태는...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는 신성델타테크의 LCD 관련 부품 생산 공장. 신성델타테크는 세탁기 등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모바일 부품, LCD, LED 등을 생산하는 제조업체이다. 본사는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웅남동 44-10번지에 있다. 제품 생산 종류에 따라 공장을 별도로 두어 운영하고 있는데, 가전1공장과 가전2공장은 본사와 함께 있고, 모바일 공장은 경기도 평택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라벨 제조업체. 신아상사는 불모지나 다름없던 국내 제조업 관련 라벨 디자인, 제조, 생산, 판매, 관리 등을 선도하고 이를 국내 봉제 공장, 무역 회사 및 중개업체(Buying Office)에 서비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7년 설립된 아성기업을 모태로 1983년 신아상사가 설립되었다. 1988년에는 청아가 설립되어 아성기업·신아상사·청아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에 있는 저수지. 감악산[675m] 남쪽 기슭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막아 신암저수지를 축조하였으며, 입암천의 상류에 해당한다. 신암저수지의 물은 남쪽으로 흘러 구름재[424m]와 백적산[450m] 사이의 계곡을 빠져나가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와 입암리 일대의 농업용수로 쓰인다. 신암저수지는 1977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78년 12월 30일 준공되었...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신암리(神岩里)라는 땅 이름은 이 마을이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감악산 바로 밑에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자세한 유래에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째, 조선 시대에 신을 모신 바위가 있었다는 설이 있다. 둘째, 이곳에 남선굴(南仙窟)로 불리는 신선바위가 있었으며, 여기에서 신선바윗골·신암골·신앙골·신암동이라는 이름이 생겼다는 설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에 있는 수령 약 4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구한말 박해를 피해 모여든 천주교인들이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일대에 옹기를 구우며 교우촌을 형성하여 1907년 개성본당 소속 신암리공소가 설립되었다. 공소는 붉은색 벽돌 2층 건물로 건립되었다. 당시 개성본당 주임 신부는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최창근 신부였으며 1년에 2차례, 즉 성탄절과 부활절에 신암리공소를 방문...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감악산 정상 부근에 있는 바위. 신암바위는 고려 말 공양왕(恭讓王) 때 참지문하부사를 지낸 충신 남을진(南乙珍)이 1392년 조선의 개국 후에 태조(太祖)의 부름에 따르지 않고 감악산 남선굴(南仙窟)에 은거하면서 망국의 한을 풀기 위해 개성을 향하여 통곡하던 바위라고 한다. 충신의 피맺힌 원혼이 얽혀 있다고 하여 신암(神巖)이라 하였으며, 후생들이 남을진...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섬유 임가공 업체. 경기도 양주시는 섬유 염색 및 가공업이 일제 강점기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대도시인 서울 인근에 있고 상대적으로 공장 부지나 노동력 확보 등이 용이하기 때문이었다. 이를 배경으로 양주시는 섬유 패션과 첨단 산업이 어우러지는 도시를 지향하고 있다. 나아가 양주시는 현재 국도 3호선, 지하철 1호선,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등이 정비되...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자연 마을. 복지리에서 으뜸가는 연못인 신지(莘池)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신지라고 불렀다. 호명산과 한강봉 사이에 있는 홍복고개가 불 ‘화(火)’자의 형상을 하고 있어 옛날에 노인들이 화재 발생 예방 차원에서 화기를 누르려고 연못을 팠다고 전해지고 있다. 일제 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년]에는...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를 사랑하고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애국인, 예절을 존중하고 질서를 생활화하는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고 사고하며 창조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전하며 환경을 깨끗이 하는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고 슬기롭고 튼튼하게’이다. 2005년 12월 26일 신지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서 발원하여 동두천시와 연천군 청산면을 거쳐 한탄강에 합류하는 하천. 신천(莘川)라는 이름은 청담천과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앞을 흐르는 내를 신내·신천이라고 한 것에서 유래했다고 보기도 하고,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서 시작한다 하여 붙여졌다고도 한다.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는 초촌천(哨村川)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강화천(江華川)이라고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 있는 생활 체육 공원. 신천생활체육공원은 광역 생활 중심 도시로 성장하고 있는 양주시가 주민들의 생활 체육 활성화 및 건강 증진을 위해 건립한 생활 체육 공원으로서 지역 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신천생활체육공원은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주민들의 원활한 여가 활동과 체력 증진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2006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10년...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실시하는 아름다운 건축물 선정 사업. 아름다운 건축물 선정 사업은 시정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실천 전략의 일환으로 최근 건축되는 주택들이 표준화된 약식 설계도로 지어지는 등 건축물의 형태가 단순해지고 있는 가운데 아름답고 우수한 건축물을 선정하여 널리 알림으로써 우수한 주거 공간의 건축을 장려하기 위한 양주시의 사업이다. 2006년에 양주시가 ‘2025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에 있는 카페식 수석 박물관. 대구에서 섬유 회사를 경영하던 손원익 관장이 우연히 강가에서 발견한 돌들의 신비함에 매료되면서 1988년부터 수석에 전념하여 국내는 물론 중국, 몽골,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국외까지 돌며 돌을 수집하였다. 2000년에는 대한수석인협회 회장을 맡게 되었다. 손원익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험한 땅을...
-
경기도 양주시와 관련해 인터넷 웹 정보를 제공하는 영향력 있는 블로그(blog). ‘아름다운 변화 양주’ 블로그는 인터넷 검색 창에 ‘양주’를 치면 양주 쇼핑몰이나 주류 백화점 등의 내용이 우선적인 연관 검색어로 뜨는 상황에서 경기도양주의 온라인 지명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양주시가 마련한 블로그이다. 맛집 하나를 찾아도 인터넷 검색창에서 검색하는 시대에, 온라인상에서의 양주시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레스토랑. 아사도 카페는 장흥 카페촌 중간쯤 길가 나지막한 언덕 위에 있는 장흥 카페촌의 대표적인 라이브 레스토랑 중 하나다. 이곳에서는 추억의 팝송과 가요를 라이브로 즐기며 수십 종의 세계적인 와인을 맛볼 수 있다. 1992년 김영석에 의해 올드 팝송과 추억의 가요를 들을 수 있는 라이브 레스토랑으로 문을 열었다. 레스토랑의 이름은 우리 민족...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배관 제품 제조업체. 아세아유니온은 1965년부터 황동 배관 이음쇠류인 CM 어댑터, CF 어댑터, 티, 엘보, CM 유니온, CF 유니온 등 내구 수명 50년이 넘는 우수한 품질의 황동 이음쇠 제품을 생산·판매·수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58년 창업자인 박병우 회장이 기술 보국의 창업 이념으로 경성공업사를 세워 출발하였다. 1...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득성마을과 원터골 남동쪽에 있는 산. 산 정상에 커다란 용바위가 있어서 큰 바위가 많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악대산(岳大山)이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옛날 악대산 북쪽에 사찰이 하나 있었는데 이 절에 약사불(藥師佛)이 있어 약사불이 있는 큰 산이라는 의미에서 약대산(藥大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두 가지 전설 외에 악대산의 발...
-
경기도 양주시 백석면 기산리에 있는 화가 안상철(安相喆)을 기리기 위한 사립 미술관. 안상철[1927~1993]은 1950년대~1960년대에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약칭 국전]에서 특선으로 입상하면서 동양화의 새로운 장르를 열었다고 평가를 받는 화가이다. 안상철미술관은 화가 안상철을 기리기 위해 유족과 제자들이 뜻을 모아 건립한 사립 미술관으로 아들인 건축가 안우성이 아름다운 건물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삼밭들 동쪽 도락산 자락에 있는 바위. 애경바위는 옛날 어떤 장수가 올라가면서 밟은 발자국 혹은 앉은 자리라는 전설이 내려온다. 특히 아기를 못 낳는 사람들이 애경바위에 실을 묶어 놓고 기도하면 아기를 낳는다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애금바위·애군바위·애기암·애기어머니바위라고도 불린다. 애경바위는 도락산의 서쪽 자락에 있다. 서쪽으로 양주시 은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백석읍 기산리와 파주시 광탄면 기산리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봉우리가 꾀꼬리처럼 생겼다고 하여 앵무봉(鸚鵡峰) 또는 앵봉(鸚峰)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혹은 산의 모양이 꾀꼬리처럼 아름답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앵무봉이나 앵봉은 ‘꾀꼬리봉’ 또는 ‘꾀꼴봉’을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다. 이 경우 ‘꾀꼴봉’은 고깔을 닮았다고 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 있는 관광농원. 체험 농장은 2000년대 들어오면서 도시화의 급진전에 따른 자급자족적 먹거리 확보, 가족 나들이와 휴식, 생태 체험 등을 위해 설립이 늘어났다. 양명농원은 특히 양주시를 중심으로 청소년들의 생태 체험을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양명농원은 약용 식물, 물, 환경 등을 주요 테마로 한 농촌 체험 활동과 자연을 통해...
-
경기도 양주시에서 연중 수시로 열리는 예술제. 양주 가면 축제(楊州 假面 術祭)는 예술을 통해 시민들이 서로 소통하고 어울리며 화합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기 위해 기획된 축제다. 추진 방향은 양주 시민이 함께 참여하여 만드는 생활 문화 축제, 예술을 통한 양주시의 명품 브랜드화, 양주의 문화재 및 관광 자원 활성화, 양주 전통 무형 문화재와 한국 예술 문화 단체 총연합회 산하 단체...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양주시 관할 치안 행정 기관. 양주경찰서는 시민 생명·신체 및 재산 보호, 범죄 예방·진압 및 수사, 치안 정보 수집, 교통 단속 등을 통해 경기도 양주 지역의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기 지금의 양주 관아지에 양주군의 주재소가 설치되었다. 1921년 양주군 청사가 의정부로 이전되면서 양주군 주재소도 의정부로 이전되었으며...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기본이 바로 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아름다운 품성과 건강한 체력을 갖춘 건강인, 예의 바르고 공익 질서를 존중하는 도덕인, 문제의식을 갖고 창의적으로 탐구하는 탐구인,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서로 돕고 협력하는 협동인, 국가와 사회를 사랑하고 전통을 계승 발전시키는 애국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
-
2004년 간행된 경기도 양주시의 근대사 관련 자료를 모아 놓은 단행본. 『양주 근대사 자료집』은 양주향토자료총서 제6집으로 발간된 양주 관련 근대사 자료집이다. 양주에서 일어난 의병 항쟁과 3·1 운동 등 민족 운동의 역사 및 양주의 근대사와 관련된 각종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2003년 1월 1일부터 2004년 6월까지 총 1년 6개월에 걸쳐 양주시와 양주시의회의 후원...
-
경기도 양주시에서 김삿갓을 기념하기 위하여 열리는 백일장. 김삿갓[난고(蘭皐) 김병연(金炳淵)]의 문학 업적과 시 정신을 기리고자 (사)한국문인협회 양주지부의 주최로 2006년에 제1회 김삿갓 백일장을 개최하였다. 2007년 제2회 김삿갓 백일장까지 (사)한국문인협회 양주지부의 주관으로 개최되었으나, 2008년에 주관 단체가 양주세계민속극축제추진위원회로 바뀌면...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양주농업협동조합은 농업인이 모여 협동을 통하여 농민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경제 활동과 관련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12월 26일 8개 이동조합이 합병되고, 초대 조합장으로 이규래가 취임하여 이듬해인 1970년 3월 3일 주내농업협동조합으로 설립되었다. 1974년 5월 21일 상호 금융 업무를 시작하였으며, 1977...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움이 즐거운 창의적인 어린이, 언행이 바른 더불어 사는 어린이, 문화 예술을 즐기고 표현하는 교양 있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자주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마음이 따뜻하고, 지혜로우며 건강한 어린이’이다. 1963년 4월 6일 덕정국민학교 덕계분실로 설립되었으며, 1965년 3월 1일 덕정국민학교 덕계...
-
경기도 양주시 고읍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나라와 고장을 사랑하는 바른 어린이, 기초 과학에 충실하게 탐구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소질을 계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전하고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7년 3월 27일 경기도지사 승인을 받아 사립덕현학원으로 개원하였으며, 1946년 9월 7일 유양국민학교 광사분교장으로 승격하였다. 이어 1950년...
-
2001년 간행된 경기도 양주시의 지명에 대한 유래를 수록한 단행본. 『양주 땅이름의 역사』는 양주향토자료총서 제4집으로 발간된 양주 지역의 지명 유래집으로, 양주군 각 읍면의 지명, 즉 땅 이름을 각종 역사 자료와 사전, 현지 주민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연구, 설명하였다. 1999년 1월 양주문화원 향토사연구소에서 양주 땅이름의 역사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2001년 12월 31일...
-
경기도 양주 시민으로 구성된 한국로타리클럽 양주 지역 지부. 양주로타리클럽은 위험에 처한 어린이, 빈곤과 기아, 환경, 문맹, 폭력 등 중요한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업인과 전문 직업인들이 인도적인 봉사에 힘쓰고 나아가 세계의 친선과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1982년 9월 18일 설립하였다. 어려운 이웃을 돕는 봉사 활동과 함께 장학 사업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사회봉사 사업을 전개...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11월에 열리는 문학 행사. 양주골문학회 소속 문인들은 한 해의 문학적 결실을 총정리하면서 문학인 간의 친목을 도모하는 한편, 양주 시민에게 그 성과를 알리며 문학에 대한 이해를 도와 저변을 넓히고자 2007년 제1회 양주 문학의 밤을 개최하였다. 유명 작가 초청 및 문학 강연, 『양주골 문학』 발간 및 출판 기념회, 회원 간의 친목 도모와 작품 낭송, 시화...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에 있는 공연과 전시를 위한 문화 시설. 양주문화예술회관은 1997년 개관한 이래 현재까지 꾸준히 악극 및 연극 등 각종 공연과 전시회가 꾸준히 열려 양주시 시민들의 건전하고 풍부한 여가 생활을 돕고 있다. 또한 양주시의 공식적인 행사를 개최하는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양주시에서는 1993년 5월 7일 132억 63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경기도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양주 지역의 향토 문화 창달을 위해 설립된 지역 문화예술 진흥 기관. 양주문화원은 설립 이래 지속적으로 경기도 양주 지역의 역사를 조사·연구하고 사료를 수집·보존해 왔으며 나아가 향토사연구소를 설치하고 문화학교, 평생학습관, 역사문화대학을 운영하는 등 지역 주민을 위한 사회 교육 활동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며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지역 역사 문화 교...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10월 개최되던 전통 민속놀이 축제. 양주시가 전승되어오는 전통 민속놀이와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해 1994부터 2005년까지 매년 10월에 개최하였던 문화축제이다. 1994년 군민의 뜻을 모아 처음 시작하여 2005년까지 양주문화제로 이어지다가 2006년 양주문화 축제로 변경되어 2007년 제14회 축제까지 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조선 시대 진상되었던 특산 밤. 양주 밤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기록되어 있는 특산물로, 임금님에게 진상되었던 양주의 대표 작물이었다. 양주 밤의 연원은 정확하게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다. 다만 양주 지역에는 산이 많아 자생 밤나무가 많았으며, 달고 맛있는 밤을 맛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 시대 한양 부근인 양주에서 생산되는 밤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기본 생활 습관 정착으로 올바른 사고를 하는 도덕인, 미래 사회를 주도할 실력인, 투철한 민주 의식으로 책임을 다하는 자율인, 창의적인 사고로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창조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창의, 봉사’이다. 2005년 12월 26일 양주백석고등학교[8학급]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6년 3월 1일 초...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2002년 1월 13일 천주교 서울대교구 녹양동본당 소속 백석공소로 설립되었다. 같은 해 9월 4일 본당으로 분립됨에 따라 양주 백석성당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일요일에는 오전 10시 30분에 교중 미사가 있다. 평일에는 월요일 오전 6시, 화요일과 금요일 오후 7시 30분, 수요일과 목요일 오전 10시에 미사가 있...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단정한 학생, 예절 바른 학생, 노력하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0년 10월 7일 양주백석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2년 3월 1일 개교하였으며, 같은 해 동일 초대 정중송 교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3월 4일 제1회 입학식을 통해 5학급에 202명의 학생이 입학하였다. 2003년 12월 30일 후면동...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품성을 지닌 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인, 탐구심이 강한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늘 푸른 꿈과 사랑을 가꾸는 학생’이다. 1932년 10월 30일 백석공립보통학교로 개교[2학급 편성]하였다. 1941년 백석국립학교로 개칭하였고, 1946년 3월 27일 연곡분교장[2학급...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벌꿀 특산물. 양주 벌꿀은 경기도 양주시의 벌꿀 특산물 공동 상표로, 경기도 양주 지역의 벌꿀은 미네랄과 아미노산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진한 향기가 특징이다. 생산 제품에는 아카시아꿀, 밤꿀, 잡화꿀, 프로폴리스, 로열제리 등이 있는데, 특히 양주 밤의 명성을 이어받아 생산된 밤꿀의 맛과 향이 우수하며, 철저한 생산 관리와 엄격한 자체 심사로 생...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양주별산대놀이 육성 및 보존을 위한 시설. 본래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방에서 전래되어 온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하나이다. 양주별산대놀이가 공연되게 된 계기는 18세기 무렵으로 거슬러 간다. 당시 유양리[현 양주시 유양동]에 살던 이을축이 서울 사직골 딱딱이패를 본떠 가면을 만든 뒤 탈춤 공연을 벌이면서 시작되었다. 1964년 12...
-
경기도 양주시에 전승되고 있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정기 공연. 1964년 12월 7일 국가 무형 문화재 제2호로 지정된 양주별산대놀이는 춤과 무언극, 덕담과 익살이 어우러진 민중 놀이이다. 양주별산대놀이는 중부 지방 탈춤을 대표하며 연극적 볼거리가 풍부한 가면극이다. 서울 중심의 경기 지방에서 연희되어 온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분파로 대략 200년 전에 양주에 유입되었다. 원래...
-
경기도 양주 지역에 전래되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체험 학습. (사)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는 양주 시민은 물론 양주시를 찾는 관광객에게 고유의 전통문화 유산이자 양주를 대표하는 문화 상품인 양주별산대놀이를 올바르게 알리고 체계적으로 전승하고자 2004년에 양주별산대놀이 체험을 시작하였다. 양주별산대놀이 체험은 3월에서 10월 사이에 열리며, 우선 양주별산대놀이 공연을 보고 양주별산대놀이전수...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10월 9일 열리는 책 축제. 양주 북 페스티벌은 양주시 관내 공공 도서관 및 작은 도서관이 모두 참가하여 한 해 동안의 독서 운동 성과를 지역 주민들과 나누고 책과 함께 화합할 수 있는 한바탕 책 축제의 장이다. 양주시는 ‘책 읽는 도시, 양주’를 표방하고 관내 시민들은 물론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독서 습관을 길러 주는 한편, 소통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2...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전수 회관.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는 경기도 양주 지방에 전해오는 장례 문화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소리이다. 전체적으로는 발인 단계에서부터 봉분을 만드는 데까지 장례 절차마다 부르는 선소리와 「긴 달고 소리」, 「꽃방아 타령」, 「어러러 소리」 등이 있다. 이를 합쳐 ‘회다지 소리’라 한다.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 초록지기 정보화마을 안에 있는 생태 습지 공원. 초록지기 정보화마을은 대보름쥐불놀이, 짚풀 공예, 전통 한과인 강정 만들기, 된장 담그기, 두부 만들기 등 시골에서만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농촌 체험 마을이다. 어린이들이 동식물과 공존하며 정서적으로 생명을 존중하는 따뜻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우리의 소중한 자연환경을 그대로 보...
-
2008년에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양주별산대놀이마당에서 개최된 축제. 양주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 양주별산대놀이,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7-1호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국가무형문화재 제70호 양주소놀이굿, 「양주 들노래」 등 중요 민속 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도시이다. 양주 세계 민속극 축제는 양주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 발전하고 시민에게 참여와 놀이의 마당을 제공하고자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 있는 양주소놀이굿 전수 회관. 양주소놀이굿은 옛날 우마 숭배와 농경의례인 소먹이놀이에 기원을 두고 있다. 소놀이굿은 무속의 제석거리와 마마배송굿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양주소놀이굿은 그 원형성과 전통성, 보존 가치 등을 인정받아 1980년 11월 17일 국가무형문화재 제70호로 지정받았다. 양주소놀이굿전수회관은 문화의 보존과 전승 차원에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양주시 관할 소방 행정 기관. 양주소방서는 각종 재난·재해로부터 경기도 양주 지역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7년 7월 9일 회천소방파출소가 개소되었으며, 1995년 12월 11일 광적소방파출소가 개소되었다. 2004년 3월 12일 양주소방파출소가 개소되었으며, 2006년 3월 16일 남면소방파출소가 개소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립 교향악단. 양주시립교향악단은 양주 시민의 문화에 대한 향수와 자긍심을 불러일으키고 양주시가 문화의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양주시립교향악단의 전신은 2005년 설립된 양주필하모닉오케스트라로, 단장은 남궁주용이었고 사무국장은 김영준이었다. 이후 시립 교향악단을 창단하기 위해 단원을 공개 모집하여 오디션을 통해 연주자들을...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에 있는 시립 미술관. 양주시립 장욱진 미술관은 서양화가 장욱진(張旭鎭)[1918~1990]을 기리기 위한 미술관이다. 장욱진은 이중섭(李仲燮), 박수근(朴壽根), 김환기(金煥基) 등과 함께 한국 미술계를 대표하는 화가로,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역임하고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약칭 국전] 심사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현대 미술사에서...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양주 시립 혼성 합창단. 2003년 양주시에서는 양주시 승격과 함께 본격적으로 양주시를 대표하는 남녀 혼성 합창단을 재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운영되어 왔던 합창단이 본격적으로 다양한 음악을 전문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합창단으로 거듭날 수 있게 되었다. 즉, 2007년 단원 전체에 대한 재 오디션을 통하여 음악학부 졸업 이상의 전문...
-
경기도 양주시에서 시민의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매년 열리는 달리기 대회. 2003년 양주시 관내 마라톤 클럽인 양주마라톤클럽, 백석임꺽정마라톤클럽, 양주시청 마라톤동호회, 장흥마라톤클럽이 주축이 되어 양주시 육상연합회[초대 회장 이상원]를 설립하였다. 이후 양주시 승격을 기념하고 양주시민의 건강을 증진하며 양주시 마라톤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2003년 10월 1일 제1회 시 승격 기...
-
경기도 양주시가 제정·제시하고 있는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양주 시민의 주요 덕목을 담은 헌장. 양주 시민 헌장은 2003년 10월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하면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주요 덕목을 담은 새로운 시민 헌장을 통해, 양주 시민에게 시민 의식의 향상과 함께 나아가야 할 바를 제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양주 시민 헌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 양주고을은 유구한 역사 속에...
-
2003년 10월 19일 양주시 승격을 기념하여 지정한 기념일. 2003년 10월 19일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며 10월 19일을 양주시민의 날로 지정하였다. 시민의 친목과 단합을 도모하며 전래의 미풍양속을 숭상하고 애향심을 고취시키고자 양주시민의 날에 기념식과 각종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매년 10월 19일에 양주시민의 날 기념식이 정기적으로 열린다. 국악 공연단...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시민 봉사 및 친목 단체. 양주시민회는 양주 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수여하고 노인 및 탈북자 등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지원하며 지역 주민이 행한 선행을 표창하는 등 향토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시민 단체이다. 양주시민회는 양주 지역 주민인 회원들의 애향심 고취 및 회원들 상호간의 친선과 유대 강화, 지역 인재 발굴 육성 등을 통하여 지역 발전에 기여하...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11월에 개최되는 양주시장기 궁도 대회. 양주시의 승격을 기념하고 국궁(國弓)의 저변 확대를 통해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대한궁도협회 양주시지부 임원진이 주축이 되어 2003년 11월 1일 제1회 양주시장기 경기도 남녀 궁도 대회를 개최하였다. 2010년 11월 6일~7일에는 제8회 양주시장기 경기도 남녀 궁도 대회가 개최되었다. 경기도 31개 시·군에서 1,...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양주시장기 볼링 대회. 1996년 남상칠 당시 양주시 볼링협회 사무국장 등이 중심이 되어 동호인들의 친목 도모와 기량 향상을 위해 양주군수배 볼링 대회를 처음 개최하였다. 2004년 양주시 승격 1주년을 기념하여 양주시장기 볼링 대회로 명칭을 바꾸고 대회의 회차를 제1회로 변경하였다. 제1회 양주시장기 볼링 대회는 2004년 10월 21일부터 24일...
-
경기도 양주시에서 클럽 대항전으로 매년 개최되는 야구 대회 양주시 야구협회 한동수 회장과 양주의 8개 야구 클럽 감독이 모여 동호인의 친목 도모와 체력 증진을 위해 시장기 대회를 개최할 것을 합의하고 2006년 11월 19일 제1회 양주시장기 야구 대회를 개최하였다. 양주시 체육회가 주최하고 양주시 야구협회가 주관하여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양주시 관내 야구 클럽이 참가해 토너먼트...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양주시장기 태권도 대회. 2004년 양주시 태권도협회[1991년 12월 설립]의 회장 정강용과 임원들은 양주시 태권도 동호인들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고 국기(國技)인 태권도의 정신을 구현하며 생활 체육의 활성화에 기여할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이에 따라 양주시 태권도장 관장들과 양주시 태권도협회 임원진은 태권도 대회를 개최하기로 뜻을 모으고 의견을 조...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양주시장기 테니스 대회. 2003년 양주시 테니스연합회는 양주시 승격을 기념하고 테니스 저변 확대와 건전한 사회 기풍을 조성하기 위해 대회를 열기로 의견을 모아 대회 요강과 규칙 등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2003년 11월 2일 양주시청 테니스장과 보조 경기장에서 제1회 양주시장기 테니스 대회를 개최하였다. 경기 종목은 참가자 실력에 따라 편성되며 금...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주)양주신문사에서 발행하는 지역 주간 신문. 1993년부터 한국 사회에서는 지방 자치 시대가 열렸다. 이에 따라 지역의 정치, 행정, 경제, 문화, 스포츠 등의 뉴스를 빠르게 취재하고 이를 시민들에게 제공하여 지방 자치 단체의 소통을 돕는 지역 신문 등이 늘어나게 되었다. 『양주신문』은 이 같은 배경에서 시작된 양주시 최초의 지역 신문이다. 1993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신용 협동조합. 신용 협동조합은 서민 생계 관련 금융을 담당하기 위해서 운영하는 금융 서비스 기관이다. 양주신용협동조합은 신협중앙회 산하 980개 조합 중의 하나이며 복지 사회 건설을 지상 목표로 하면서 잘살기 위한 경제 운동, 사회를 밝힐 교육 운동, 더불어 사는 윤리 운동 등을 추진하며 모두가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양주...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종합 병원. 양주예쓰병원은 경기 북부의 중심 도시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으나 대형 의료 기관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양주시의 의료 수요를 책임지는 지역 사회 병원으로서 주민들의 보건 증진과 의료 봉사에 힘을 쏟기 위해 건립되었다. 2002년 5월 21일 ‘양주중앙병원’이라는 개인 병원으로 개원하였다. 2006년 2월 암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편안한...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지구 환경 보전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민관 협력 단체. 양주의제21실천협의회는 양주시 주민과 함께 경제·사회·환경 조직을 구성·운영·유지하면서 중앙 정부의 환경 정책을 수행하는 단체이다. 양주의제21실천협의회는 양주시민, 정부, 기업, NGO가 양주시의 지속 가능하고 환경 친화적인 21세기형 도시 비전을 함께 제시하고 실천하여 시민의 삶의 질 향상...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소속 성당. 양주2동성당은 2000년 11월 18일 덕정성당에서 세운 만송리공소로 출발하여, 2003년 9월 4일 양주시 만송동 268-4번지에 만송리성당으로 분립되었다. 제1대 신부로 김우성[비오]이 부임하였다. 2004년 11월 만송리성당에서 양주2동성당으로 개칭되었으며, 2005년 3월 양주시 만송동에서 삼숭동 산36-1번지로 이...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인삼.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57만㎡의 재배 면적에 약 45농가가 인삼을 재배하고 있다. 양주 인삼은 양주시 인삼 특산물의 공동 상표로, 양주 지역은 배수가 잘 되어 인삼 재배에 적합한 토양이며, 병해에 강한 우량한 인삼이 생산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종자로 쓰이는 인삼과 종삼을 좀 더 기른 대근포 역시 계약 재배로 좋은 제품을 생산해 높은 가격에 거래되...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자동차 전용 극장. 설립자 배산에 의해 공연장업으로 등록 허가 받아 2010년 10월에 개관하였다. 양주자동차극장은 총면적 4,000㎡에 편의 시설과 음향 시설, 대형 스크린을 갖추고 있으며, 승용차 기준 1, 2관 각각 50대씩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 야간에 1, 2관으로 나누어 총 3회 상영하며, 폭우나 폭설을 제외하고 연중무휴이다. 첫 상영은 2...
-
경기도 양주시와 자매결연이나 우호 결연을 맺은 외국의 도시 또는 지방 자치 단체. 양주시는 2008년 9월 9일 미국 버지니아주 헨라이코 카운티(Henrico County)와 자매결연 했으며, 2009년 8월 24일에는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藤枝市]와, 2010년 10월 8일에는 중국 산둥성 동영시(東營市)와 각각 우호 결연하였다. 헨라이코 카운티는 미국 동부 대서양 연안 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자연 생태관. 외래종 야생 동물에 관해서는 관심이 커지는 데 비해 우리나라 야생 동물에 대해서는 무관심하여 멸종 및 멸종 위기에 놓인 동물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우리나라 야생 동물에 관해 관람·체험·교육·홍보하는 동시에 보전 및 보호에 이바지하려는 목적으로 건립하였다. 양주 자연 생태관은 우리나라 최초 한국 야생 동물을 중점으로 한 자연...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지역 자활 서비스센터. 양주지역자활센터는 지속가능한 자활 공동체의 육성과 활성화를 통하여 사회적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사회와 함께하는 자활사업 전개하고 있는 사회 복지 기관이다. 양주지역자활센터는 근로 능력이 있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집중적·체계적인 자활지원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활 의욕 고취와 함께 자립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고 더불어 함께...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 천보산에 있는 산림욕장. 천보산(天寶山)[337m]은 경기도 의정부·양주·포천 지역에 걸쳐 있는 산이다. 서쪽으로는 중랑천·호명산이 있고, 남쪽으로는 경기도 제2 청사, 동쪽으로는 용암산, 동남쪽으로는 부용산, 서남쪽으로는 사패산·도봉산이 있다. 양주 천보 삼림욕장(楊州天寶山林浴場)은 산림욕장 조성을 통해 숲을 찾는 도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숲 체험 서비스를 제...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한국청년회의소의 양주 지역 지부. 양주청년회의소는 국제청년회의소의 한국 지역 단체 중 하나이다. 국제청년회의소는 1915년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발족된 지역 봉사를 위한 청년 단체가 1944년 국제적인 단체로 발전한 것이며 흔히 JC라고 약칭한다. 한국에서는 1951년 6·25 전쟁 당시 평택에 주둔중인 미 제5공군 정훈장교 매닝 스포츠우드 중...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양주축산업협동조합의 지점. 양주축산업협동조합 회천지점은 현재의 양주축산업협동조합이 1957년 양주군 축산동업조합으로 창립 및 성장하여 사업을 확장하던 1990년대에 개점한 축산물 판매장이자 금융 기관으로, 주로 양주시 회천동 지역 조합원들의 이익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양주축산업협동조합 회천지점은 양주시 회천동 지역 조합원의 이익을 위해 축산 농가의 협...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콩.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285만㎡에 약 850 농가가 콩을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되는 콩의 종류는 서리태콩, 얼룩콩, 선비콩, 백태, 개구리팥 등 다양하다.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양주 콩은 밥밑콩[서리태콩, 얼룩콩, 선비콩], 장류콩[백태], 팥[개구리팥]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서리태콩은 노화 방지와 항암 효과가 탁월하고, 피...
-
경기도 양주 지역에 있는 막걸리 양조장. 막걸리는 우리나라 고유 술의 하나이다. 보통 빛깔이 흐리고 맛이 텁텁한데 그 이유는 그대로 걸러 짜 맑은 술을 떠내지 않기 때문이다. 양주의 막걸리는 불곡산 막걸리가 명성이 높으며 생쌀 막걸리는 최고의 쌀과 최고의 발효 기술로 만들어 일본에 수출까지 하고 있다. 그러한 막걸리를 생산하는 회사가 바로 양주탁주약주제조로 구양주권인 의정부, 동두...
-
2002년 간행된 경기도 양주시의 항일 운동에 대한 자료를 모은 단행본. 『양주 항일민족운동사』는 양주군과 양주군의회의 후원 아래 양주문화원에서 편찬한 단행본 책자로, 양주 지역에서 일어난 의병 운동과 3·1 운동, 그리고 대표적인 항일 독립운동가에 대한 논문과 항일 운동 연표 및 항일 운동가의 묘비문을 정리한 책이다. 2001년 1월 양주군의회 김완수 의장의 제안에 따라 양주군의...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양주향교에서 노인들을 예우하여 베푸는 잔치. 본래 기로연(耆老宴)은 전통 시대에 나라에서 70세 이상의 관리들에게 봄가을에 베풀던 잔치였다. 기로연에서는 투호 놀이를 하였으며 청려장(靑藜杖)이라는 지팡이가 하사되었다. 청려장을 하사하는 것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청려장을 짚고 다니면 중풍에 걸리지 않는다”라는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병이 없이 건강하기...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양주향교에서 행하던, 성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는 통과 의례. 전통적인 성년식에 해당하는 관례(冠禮)와 계례(筓禮)는 고려 시대 이전부터 발달해 널리 실시되었다. 생활 방식이 바뀐 현재도 성년의 날을 정해 만 19세가 된 날을 축하하는 성년식을 열고 있다. 성년의 날은 1973년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6615호]에 의거 4월 20일로 정하였...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열리는 향토 특색 음식 요리 경연 대회. 양주시는 양주 지역의 다양한 향토 음식을 발굴하고 현대 감각에 어울리는 새로운 음식을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2006년 10월 13일 열린 양주 음식 문화 축제의 일환으로 제1회 향토 전통 음식 요리 경연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후 매년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제2회 향토 전통 음식 요리 경연 대회는 2007년 10월 2...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 있는 수령 약 8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양주 황방리 느티나무는 수령이 오래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2015년 3월 26일 개관하였다. 도서관은 총 면적 2,299㎡이며, 지상 3층 건물로 되어 있다. 1층에는 희망 극장[공연장]과 어울림실[휴게실]이 있으며, 2층에는 사무실, 디지털 자료실, 배움실, 나눔실, 동아리실, 상설 전시장이 있다. 3층에는 일반 자료실, 어린이 자료실[수유실], 학습실이 있다. 매달 다양한 문화 강좌 프로그램...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양주 1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 남면, 광적면, 장흥면], 6개 행정동[양주 1동, 양주 2동, 회천 1동, 회천 2동, 회천 3동, 회천 4동] 중 양주 1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양주 1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양주시 양주 1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양주 2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 남면, 광적면, 장흥면], 6개 행정동[양주 1동, 양주 2동, 회천 1동, 회천 2동, 회천 3동, 회천 4동] 중 양주 2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경기도 양주시 양주 2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쌀.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1949만㎡의 재배 면적에 약 3,748농가가 쌀을 재배하고 있다. 오리 농법 및 쌀겨 농법 등의 친환경 농법으로 생산되는 쌀로서, ‘양주골 눈부신 햇쌀’이 상품명이다. 양주골 눈부신 햇쌀은 양주시의 쌀 특산물 공동 상표로, 일교차가 크고 일조량이 많으며 풍수해가 적어 쌀농사에 적합한 양주 지역의 기후를 바탕으로 생산되어 밥을 지...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딸기.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12만 5000㎡의 재배 면적에 약 35농가가 딸기를 재배하고 있다. 양주골 딸기는 양주시의 딸기 특산물의 공동 상표인 ‘양주골 참 새벽딸기’의 다른 이름이며, 친환경 재배 기술과 건조·난방 등의 핵심 재배 기술로 생산하여 당도가 높고 영양이 풍부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양주골 딸기는 오전에 딸기를 수확한 뒤 선별 등의 과정을...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문학 동호인 단체. 경기도 양주시는 김삿갓을 비롯한 많은 문인을 배출한 고장 중 하나며 지금도 많은 문인이 창작 활동을 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양주골 문학회는 시, 소설, 수필 부분을 중심으로 순수 문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양주골 문학회는 양주 지역의 문학 의식 고취와 함께 회원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양주시를 문학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산물 배. 경기도 양주 지역은 일교차가 크고, 배 성장에 알맞은 온도와 토양을 갖추고 있어 당도가 높고 과즙이 많은 우수한 맛과 품질의 배가 생산된다. 경기도 양주에서 재배되는 배는 신고, 장십랑, 황금, 원황 등이 있다. 특히 양주시 농업기술센터에서 만든 배 특산물 공동 상표인 ‘양주골 배’는 과수원의 토질 검사와 과목의 생육 진단을 통해 적절한...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토마토.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9만 5000㎡의 재배 면적에 약 28농가가 토마토를 생산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토마토 중 양주시 농업기술센터의 토마토 연구회에서 재배되는 토마토를 ‘양주골 찰토마토’라는 브랜드로 만든 것이다. 양주골 찰토마토는 낮과 밤의 큰 일교차와 풍부한 일조량이 특성인 양주 지역의 기후를 바탕으로, 깨끗한 물과 농약을 사...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한우.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218호의 한우 농가에서 7,305두의 한우를 사육하고 있다. 양주시는 1997년부터 한우의 고급화를 표방하고 대외 경쟁력 증진 및 한우 사육 농가의 소득 증대를 위하여 ‘양주골 한우’라는 브랜드를 개발하여 1999년 2월 특허 출원하였다. 2005년에는 양주시에 있는 장흥관광지 부근에 한우 전문 음식점 마을인 양주골 한우마을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기산유원지 일대에 조성된 음식 테마 거리. 양주골 한우 브랜드는 경기도 양주시의 대표적 문화재인 국가 무형 문화재 제70호 양주소놀이굿에 나오는 소를 형상화한 것으로 양주골 한우 이미지 정립을 위해 젊은 층의 시대감각에 맞추어 캐릭터를 디자인하였다. 양주골 한우는 생후 5~6개월 된 송아지를 거세한 후 사료와 볏짚 위주로 28~30개월, 적정 체중 60...
-
해방 직후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설립된 민간 자치 기구. 인민위원회는 해방 직후 설립된 건국준비위원회가 미군의 진주 직전 조선인민공화국으로 개편되자 1945년 11월까지 건국준비위원회 지방 조직들과 자생적 조직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인민위원회는 미군정의 통치 기구가 자리 잡을 때까지 민간 자치 활동을 전개하였다. 양주 지역에서는 양주군 인민위원회가 그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
1998년 간행된 경기도 양주군의 역사, 민속, 고고 유적 및 문화재를 조사, 수록한 단행본. 『양주군의 역사와 문화유적』은 『토지박물관 학술 조사 총서』 제1집으로 1998년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과 양주군이 간행하였다. 양주군의 역사, 민속, 고고 유적 및 지정 문화재와 매장 문화재를 포함한 모든 부동산 문화재를 조사하여 그 내용을 수록하였다. 1997년 12월 19일부터 19...
-
1992년 경기도 양주군의 역사와 정치, 경제, 사회, 산업, 민속, 문화, 인물 등을 총망라하여 수록한 향토지. 1989년 3월 양주문화원에서 양주군지편찬위원회가 구성되어 1991년 2월부터 본격적인 발간 작업이 시작되었다. 1992년 8월 책자가 발간되기까지 총 3년 6개월 여에 걸쳐 작업이 진행되었다. 1992년 당시 전임 양주군수 하영수, 현임 양주군수 우종오, 전임 군지편...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지역 사회 봉사 단체. 양주라이온스클럽은 국제라이온스협회 354-H지구 소속의 지역 사회 봉사 단체이다. 국제라이온스협회는 국제 봉사 단체 중에서도 규모와 역사를 자랑하는 단체이며 한국에는 복합 지구 3개, 지구 20개, 클럽 2,103개가 있으며 회원 8만 7563명이 활동하고 있다. 양주라이온스클럽도 명성에 걸맞게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양주 지역 봉...
-
경기도 양주시의 사회단체장들로 구성된 협의회. 양주를 생각하는 사회단체장협의회는 양주시 관내 사회단체장들이 지역 현안 사항에 대하여 주민의 소리를 듣고 공동으로 협력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사회단체장의 리더십은 사회단체의 발전과 활성화 및 구성원들의 의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2005년 양주시 희망장학재단 이흥일 이사장이 지역 사회에 대한...
-
1938년부터 1942년까지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1922년 10월 1일 양주군의 청사를 당시 주내면 유양리에서 시둔면 의정부리로 이전하면서 시둔면은 양주군의 중심지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군청사가 위치한 시둔면을 양주면(楊州面)으로 변경하게 되었다. 삼한 시대 진한에 속하던 지역으로 475년 고구려 매성현에 속하였다가 757년 통일 신라 내소군에 속하...
-
경기도의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 동쪽으로 포천군, 서쪽으로 파주시 및 고양시, 남쪽으로 서울특별시 및 의정부시, 북쪽으로 동두천시 및 연천군과 각각 접해 있으며, 동서의 거리는 20㎞, 남북의 거리는 30㎞이다. 대체로 산지가 많이 발달해 있으며, 평지는 적은 편이다. 대표적인 산으로는 수많은 전설이 깃들어 있어 영산이라고 일컬어지는 감악산(紺嶽山)[675m], 양주시의 주산...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5월 5일에 열리는 가족 축제. 1999년 양주군청 사회복지과는 양주 지역 어린이들을 위하여 제1회 양주 어린이 축제를 개최하였으며, 2003년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된 이후에도 매년 어린이날에 행사를 열고 있다. 2011년부터는 어린이는 물론 유아부터 노인과 다문화 가족 등이 함께 즐기고 어울릴 수 있는 축제로 탈바꿈하고자 양주 어린이 축제에서 양주시 가족...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양주시 관할 건강가정지원센터. 양주시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가족 문제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 교육, 가족 상담, 지역 사회 네트워크 등의 통합적인 가족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이다. 2004년 제정되어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건강가정기본법」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2004년의 시범 사업 운영을 시작으로...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교파를 초월한 기독교회 교역자와 평신도 대표들의 연합 단체. 1981년 12월 양주군 기독교교역자연합회로 발족하였으며, 제1대 회장은 민정웅 목사였다. 1989년 경기도 양주 지역 기독교 교역자와 평신도 대표를 포괄하여 양주군 기독교연합회로 출발하였으며, 2003년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됨에 따라 양주시 기독교연합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9년 초에는 회원...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에 있는 농업 행정 및 기술 지원 기관. 양주시 농업기술센터는 변화하는 농업 환경에 적극 대응하는 과학 영농 기술 보급, 농업 경영 개선 지도, 농업 전문 인력의 체계적 육성 등을 통하여 양주 지역 농업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양주시 농업기술센터는 1957년 2월 양주군 농사교도소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1962년 3월 양주군 농촌지도소...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다문화 가족 관련 사회복지 기관. 양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양주시의 다문화 가족을 위한 교육, 상담, 문화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결혼 이민자의 한국 사회 조기 적응 및 다문화 가족의 안정적인 가족생활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 양주시 다문화가족지원센터는 2010년 3월 3일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 2-22번지에서 문을 열었다. 2014년 3월...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가업리에 본사가 있는 양주 지역 인터넷 포털 사이트. 양주시는 본래 경기 북부의 중심 도시로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인터넷 기반이 매우 열악함에 따라 정보통신 및 IT 분야에서 소외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2000년대 들어와 교통 통신망이 정비되면서 양주시 관련 온라인상의 커뮤니티 구축이 가능해졌다. 『양주시닷컴』은 바로 이러한 IT 환경의 변화...
-
경기도 양주시에서 향토 문화 발전과 민족 문화 향상에 기여한 주민에게 수여하는 상. 양주시 향토 문화 발전과 민족 문화 향상에 기여한 공적이 현저한 주민에게 양주시 문화상을 수여할 목적으로 2003년 10월 19일 양주시 조례 제 45호와 시행 규칙 제34호 3호를 제정하였다. 조례 제정 이후 행정 기구 설치 변경 조례에 따라 2008년 3월 17일 조례 제353호로 개정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공공 의료 기관. 양주시 보건소는 질병 예방 활동, 예방 접종, 보건 민원 처리와 진료, 방문 보건 등의 사업 수행을 통해 양주 시민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12월 31일 의정부시 의정부1동 205-1번지에서 82.6㎡ 규모의 보건소 건물이 신축되어 1963년 1월 1일부터 운영을 시작하였다. 1973년 12월 31일 사무실...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양주시 관할 상하수도 행정 기관. 양주시 상하수도사업소는 양주시의 상하수도 행정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1년 2월 조직 개편을 통하여 양주시 상하수도사업소는 양주시청 산업복지국 상하수도과로 편입되었다. 상하수도 행정 업무 총괄, 계약 및 지방 상수도 효율화 사업, 하수도 특별 회계, 공기업 특별 회계 자금 운영 및 지출, 지하...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새마을 운동 단체. 양주시 새마을회는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 정신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참다운 가치 창조 및 혁신을 위한 국민운동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를 만들고 지역 사회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4년 3월 1일 새마을 운동 중앙회 양주군 지회가 설립되었다. 2003년 경기도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되면서 새마...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었던 경기도 생활체육회 산하 양주시 지부. 1986년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후 정부에서는 1989년 국민 생활 체육 진흥 종합 계획인 ‘호돌이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 목적은 생활체육 진흥을 통한 국민 건강과 체력 증진, 국민의 건전한 여가 선용과 선진 체육 문화 창달, 세계 한민족의 동질성과 조국애 함양을 통한 통일 기반...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양주시 관할 선거 관리 기관. 양주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양주 지역의 공정한 선거 관리와 정당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여 민주주의 실현에 기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양주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양주시가 군이었던 시절인 1963년에 발족되어 경기도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5명의 위원이 위촉되었다. 이어 양주군 일원 1읍 15개 면을 관할 구역으로 한 59개의 투표구 선...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에 있는 양주시 시설물 관리 기관. 양주시 시설관리공단은 양주 시민들의 생활 기반 시설인 문화예술회관, 체육 시설물, 공영 주차장 등을 보다 쾌적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리하고 경영하는 지방 공기업이다. 양주시 시설관리공단은 양주시민들이 생활 기반 시설을 쾌적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을 관리하고 경영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양주시 연합회장기 그라운드 골프 대회. 그라운드 골프는 골프를 응용해서 만들어진 경기로 전용 골프 클럽, 볼, 홀 포스트, 스타트 매트를 사용해 골프처럼 클럽으로 볼을 치고 골프 구멍에 해당하는 홀 포스트에 몇 번에 쳐서 홀인하는지를 겨루는 경기이다. 고 김우화 대한노인회 양주시지회 전 회장은 평택 등 많은 도시에서 노인들이 생애 스포츠로 즐기는 놀...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청소년 예술제. 경기도는 청소년의 건전한 놀이 문화 정착과 문화 욕구 충족을 위해 매년 9월에 경기도 청소년 종합 예술제를 개최한다. 이에 앞서서 경기도의 31개 시·군은 예선 대회를 열어 각 분야별 최우수 팀을 선정하여 경기도 청소년 종합 예술제에 참가할 자격을 준다. 음악, 무용, 사물놀이, 문학으로 나뉘어 열리는 경기도 청소년 종합 예술제는 청...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었던 경기도 체육회 산하 양주시 지부. 1920년 7월 13일 한국 체육의 모태가 되는 조선체육회가 ‘건민(健民)’과 ‘저항’을 이념으로 창립되었다. 이후 조선체육회는 1938년 7월 4일 일제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으나 1945년 11월 26일 다시 조직되었다. 1954년 3월 16일 사단 법인 대한체육회가 결성되었으며, 1968년 체육 단체 일원화 시책에...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양주 지역 방위를 위한 협의회. 양주시 통합방위협의회는 양주시의 국군·향토예비군·민방위대 등의 각종 국가 방위 요소를 통합하고 지휘 체계를 일원화하여 양주시에 대한 적의 침투·도발이나 위협에 대비하는 지역 방위 협의회이다. 양주시 통합방위협의회는 양주시의 통합 방위 태세 확립과 지역 주민 안보 의식 함양을 위해 설치되었다. 2003년 10월 19일 양주시 통합...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의 계명산 형제봉 자락에 위치하고 있는 송암스페이스센터는 한일철강 회장을 역임한 송암(松岩) 엄춘보(嚴春甫)가 사재를 들여 설립한 사설 천문대이며, 경기도 양주시 장흥유원지 주변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세워진 국내 최대 규모의 우주 테마 파크로, 어린이와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성인에게도 천체와 우주에 관한 꿈을 키워주는 경기도 양주의 대표적인 시설이...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지방 자치 단체의 사무를 심의·의결하는 기구. 양주시의회는 「헌법」 제118조와 「지방자치법」 제330조의 규정에 의하여 양주 시민에 의해 선출된 의원을 구성원으로 하는 시민의 대표 기관으로 양주시의 의사를 결정하고 집행 기관을 감시하는 최고 의사 결정 기관이다. 1991년 3월 26일 제1대 양주군의회 의원 선거를 통해 임기 4년의 의원 8명이 선출되...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6월에 개최되는 양주시장기 배드민턴 대회. 2004년 양주시 8개 배드민턴 클럽 임원진이 모여 배드민턴 동호인의 저변 확대와 친목 도모를 위하여 대회를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2004년 5월 23일 400여 명의 선수가 참여한 가운데 제1회 양주시장기 배드민턴 대회를 개최하였다. 양주시 배드민턴연합회 임원진과 소속 클럽 관계자들이 모여 대회 요강을 결정하며,...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양주시 관할 행정 기관. 2011년 현재 양주시는 매력적인 자족 도시를 비전(vision)으로 선포하고 교육 도시, 기업 도시, 문화 복지 도시를 전략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공무원의 생각이 바뀌어야 양주시가 변화한다’를 시정 방침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양주시의 상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 브랜드인 ‘아름다운 변화 양주’는 양주시의 미래 비전과 삶이...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경원선의 수도권 복선 구간 전철역. 경원선은 서울에서 원산을 잇는 길이 223.7㎞의 철도 노선으로, 1914년 9월 16일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현재는 국토 분단으로 인해 용산역에서 신탄리역까지 89㎞ 구간만 운행되고 있다. 1914년 경원선의 철도 부설 이후 경기도 양주군 인근 철도역은 창동역~의정부역~덕정역~동두천역~전곡역으로 이어졌는데, 의정...
-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양주읍이란 명칭은 옛 양주의 읍치가 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양주목의 중심지로서, 동헌·사직단·여단[돌림병 예방을 위해 나라에서 외로운 혼령을 제사지내주던 제단]·객사 등 주요 시설이 밀집되어 있었다. 삼한 시대 마한에 속하던 지역으로 475년 고구려 매성현에 속하였다가, 757년 통일...
-
경기도 양주시는 2003년 이전까지만 해도 농업 위주의 1차 산업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소외되고 낙후된 지역이었으나 2003년 시로 승격한 뒤, 산업 인프라 구축과 적극적 기업 유치를 통해 LCD 반도체 부품의 생산 기지와 섬유 소재의 가공과 유통 산업이 들어서면서 첨단 산업의 기틀을 확고히 다져 가고 있는 상태이다. 경기도 양주시는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농업과 축산업과 같...
-
경기도 양주 지역 산주와 임업인의 협동조합. 양주지역산림조합은 경기도 양주 지역의 산주와 임업인을 조합원으로 하는 자주적인 협동 조직으로 산림업 경영 지도 및 기술 보급, 자금 융통 등을 통해 조합원들의 경제 활동을 돕고 양주 지역 산림 자원을 관리·활용하여 산림업 발전을 도모하는 비영리 공공 법인이다. 양주지역산림조합은 경기도 양주 지역의 산주, 임업인, 조합원에게 임업 기술과...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법무부 산하 출입국 관리 행정 기관. 양주출입국·외국인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한 경기 북부와 강원도 철원군 지역 내외국인의 출입국 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2년 법무부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의정부출장소로 신설되었으며 2006년 2월 법무부 의정부출입국관리사무소로 승격되었다. 그러나 장소가 협소하여 이전이 결정되면서 경기도...
-
경기도 양주시 양주1동에 속하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어둔동(於屯洞)이라는 땅 이름은 서쪽에 우뚝 솟아 있는 호명산(虎鳴山) 기슭에 위치하고 있어 해지는 시각이 빨라 쉽게 어두워지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혹은 임진왜란 당시 왜병들이 주둔했던 곳이라 하여 애둔지·왜둔치·왜벌이라고도 하며, 조선 시대 기와를 굽던 곳이라 하여 와평동(瓦坪洞)·와평·왓벌이 변한 것이라고도 한다. 어둔동의 옛...
-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에서 발원하여 남방동에서 중랑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발원지인 어둔동(於屯洞)의 이름을 따서 어둔천(於屯川)이 되었다. 어둔동은 임진왜란 때 왜병이 주둔하였으므로 왜둔리·왜둔치·왜벌 또는 어둔·와평이라 하였다고 한다. 어둔천을 아구천(牙口川), 아구내라고도 한다. 어둔천은 호명산[428m] 산줄기의 동쪽 기슭에서 발원하는데, 호명산과 가까워서 규모에 비해 비탈면...
-
경기도 양주시 삼숭동에서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로 넘어가는 고개. 조선 태조가 무악대사와 회암사(檜巖寺)를 찾았을 때 산세를 보려고 봉양리의 칠봉산[당시 어등산이라 했음]을 올랐다가 천보산맥을 따라 남쪽으로 20리쯤 되는 이 고개로 내려와서 어하고개라 하였다고 전한다. 일설에는 원바위고개라고 하는데, 이는 미군이 전략상 필요에 의해 표시한 ‘1Y[원와이]’를 그대로 읽으면서 변한...
-
경기도 양주시의 친환경 농·특산물 공동 브랜드. ‘어하둥둥’이라는 이름은 한때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무학대사가 회암사에 머물러 왕이 내린 마을이라는 뜻의 ‘어하(御下)’와 양주별산대놀이 등 전통문화의 멋과 흥을 상징하는 ‘둥둥’의 합성어로, 임금에게 진상되는 최고의 청정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여 신뢰를 얻겠다는 취지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현재 공식적으로 폐지된 것은 아니나 사...
-
경기도 양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방송·신문·잡지 등의 매체를 통하여 사실을 전달하고 여론을 형성하는 활동. 양주시의 언론 기관은 지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치·경제·사회·문화·생활 등의 소식이나 사건을 조사하고 취재를 통해 사실을 전달하거나 의견을 첨가하여 일반 대중에게 제공하는 공적 기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신문사·잡지사·방송국 등이 있다. 출판은 문서나 그림·사진 등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라이터 제조업체. 에이스산업사는 고품질의 일회용 가스라이터를 생산하여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7년 6월 11일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 594-4번지에 에이스산업사를 최초로 설립하고 ACE라이터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89년 10월 6일 SPACE라이터를 개발해 상표를 등록했고, 1990년 2월 경기도 포천군 포천읍 설운리 53...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에 있는 오염 토양 복원 전문 기업. 에코필(ECOphile)이란 Ecology와 ‘선호하다’라는 접미어인 ‘-phile’을 합성한 ‘환경친화’라는 의미이며, ‘깨끗한 환경을 후손에’라는 이념을 담고 있다. 산업 발달과 더불어 크게 늘고 있는 오염된 토양을 복원시키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주)에코필은 2000년 3월에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12월에 벤...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LCD 부품 제조업체. 에프엠에스는 끊임없는 기술 개발과 고객 만족의 경쟁력 있는 가격, 신속한 공급 능력, 전문화된 기술 지원과 핵심 인력 육성 등을 통해 앞서가는 기업으로서 미래를 선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11월 2일 동광디스플레이 법인이 설립되었으며 12월 경기도 양주시로부터 공장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6년 2월 건축 허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여울농장은 높은 산과 공릉천이 흐르는 뛰어난 전원 환경을 갖추고 있어 자연 속에서 농사를 지으며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농장이다. 봄에는 싱그러움과 생동감이 살아나고 여름에는 여름의 푸르름과 개울가의 물놀이, 고기 잡기, 다슬기 잡기, 가을에는 풍성함과 단풍이 마음을 설레게 하고, 겨울에는 인적이 드문 고요한 마을에 내린 새하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연곡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르고 남을 배려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꿈을 키우는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멋있게, 즐겁게, 새롭게’이다. 1947년 12월 30일 백석국민학교 연곡분교장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분교장으로 운영되다가 1958년 4월 1일 연곡국민학교...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법정리. 연곡리(蓮谷里)는 연평리(蓮坪里)와 난곡리(蘭谷里)에서 ‘연’자와 ‘곡’자를 따서 지었다. 연평리라는 땅 이름은 연못이 있는 들판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유래하였고, 난곡리라는 땅 이름은 임진왜란 당시에 있었던 피난말에서 변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연곡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 구역 개편 이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연곡리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
-
경기도 양주시 관내에서 예술인들이 행하는 연극 등의 활동. 1990년대까지만 해도 양주에는 연극을 상연할 수 있는 전용 소극장이 없었으나 2000년대 들어오면서 양주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등이 생겼고, 각종 공연 시설 등도 만들어졌다. 현재 양주 지역 연극이 명맥을 형성하게 된 것은 경기도에서 소인극 연극제를 개최하고 난 후부터였다. 양주시 연극과 관련하여 이를 공연할 수 있는 시설...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지청말에 있는 연못. 연지(蓮池)는 여름이면 연못에 연꽃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룬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북쪽에 사리산 자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고, 남쪽에 넓은 벌판이 있으며, 입암천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있다. 2011년 현재 연지는 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준(李準)을 모신 이준 사당 바로 옆에 있으며 여름이면 연꽃이 활짝 피어 장관을 이룬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대한불교 영산법화종 소속의 사찰. 대한불교 영산법화종은 승려 이법화(李法華)를 종조로 하며, 본존불은 석가모니불, 소의 경전은 『법화삼부경(法華三部經)』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영산법화사 개창 조사 이법화가 1977년 7월 6일 열반함에 따라 같은 해 8월 2대 종정으로 승려 행산이 추대되었다. 1984년 9월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으로 본사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경신리에 있는 섬유 염색 가공 및 스포츠웨어 생산업체.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섬유 염색 가공 및 스포츠웨어 제조 등의 섬유 산업은 값싼 노동력을 중심으로 한 원가 절감 때문에 베트남이나 중국 등의 후발 국가들로 중심 이동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 전까지 수출 주요 업종이었던 한국의 섬유 산업도 점차 사양길로 들어섰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
경기도 양주시 관내 영화 관련 인물 및 시설. 양주시에는 전용 영화 상영관이 없었다. 다만 양주시 시설관리공단 등에서 이를 대신한 바 있다. 한편, 야외 자동차 극장인 장흥영화사랑이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생겨 2008년까지 운영된 것이 확인된다. 또한 양주 출신 영화배우로는 문숙[본명 오경숙]이 있으며, 양주시 장흥면에 거주하는 영화배우 이원종은 2010년 양주시 홍보대사로 위촉...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예원 예술 대학교의 양주 캠퍼스. 예원대학교는 학술 연구, 덕성 함양, 도의 실천, 사회 봉사의 건학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창의력과 진취적 사고방식을 가진 인재를 배출하고 예술을 통해 국가와 인류 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문화예술인 양성을 교육 목표로 한다. 1999년 12월 17일 예원 대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2000년 3월 1일 개교하였...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섬유 임가공 제조업체. 예진텍스타일은 2001년 6월 1일 설립되었으며, 2003년 상시 종업원 수 12명에서 2010년 40명에 이를 정도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06년 2월 6일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의 공장 건물 화재로 인해 부동산과 동산 등 1억 2000만 원 상당의 재산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주요 사업은 섬유 제품의 염색과 섬유의 임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와 교현리의 응달말 동쪽 도봉산 자락에 걸쳐 있는 산. 본래 봉우리가 다섯 개여서 오봉산(五峰山)이라 부르게 되었다. 오봉산이 다섯 봉우리로 만들어지게 된 데 대해 여러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오봉산 아래에 아들 다섯을 둔 어느 부자가 살았는데 고을에 원님이 새로 부임해 왔다. 원님에게 고명딸이 하나 있었는데 부자의 다섯 아들이 모두 원님의 딸에게 장가들...
-
경기도 양주시에서 열리는 지역 음악제. 오봉산 석굴암 단풍 음악제(五峰山石窟庵丹楓音樂祭)는 대한 불교 조계종 오봉산 석굴암에서 지역 주민과 소외받는 이웃들에게 전통 문화의 향기를 함께 나누는 동시에 오봉산 석굴암이 사랑받는 명소로 거듭나도록 하려는 목적으로 개최하는 산사 음악회이다. 2007년 제1회 행사를 시작으로 매년 10월에 개최되었는데, 2009년과 2015년에는 열리지 못...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법정리. 오산리(梧山里)라는 땅 이름은 홍복산의 큰 줄기에서 복지리를 거쳐 오산리까지 뻗은 둥근 산에서 나왔다. 이 산이 외롭게 떨어져 긴 꼬리를 늘어뜨리고 있어 마을 사람들에게 외로운 산이라는 뜻의 ‘고뫼’라고 불리다가 점차 변하여 ‘고미’와 ‘오미’를 거쳐 오산이 되었다. 그 중 큰 것은 대오산, 작은 것은 소오산으로 불리었다. 오산리라는 땅 이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수령 약 5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오산리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향나무. 오산리 향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유일한 향나무이다. 향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20m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비늘 조각 또는 바늘 모양이다. 4월에 단성화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이듬해 10월에 익는다. 오산리 향나무는 높이 10m, 가슴높이 둘레 1.9m이다...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옥정고등학교의 교훈은 ‘꿈, 열정, 도전’이다. 교육 목표는 자율인[자주적이고 자율적인 인재 육성], 개척인[진취적 정신과 탐구적 사고력으로 미래를 개척하는 인재 육성], 행복인[행복을 추구하는 인재 육성], 조화인[따뜻한 가슴으로 더불어 사는 인재 육성]을 기르는 것이다. 2013년 8월 29일 보통과 10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2...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옥정 중학교의 교육 지표는 ‘함께 꿈꾸고 더불어 성장하는 행복 공동체’이며 교육 목표는 꿈을 가진 사람, 심신이 건강한 사람, 배움에 힘쓰는 사람, 소통과 배려를 실천하는 사람’이다. 2015년 3월 1일 개교하였고 3월 2일 제1회 입학식에서 5학급 96명이 입학하였다. 2016년 1월 7일 제1회 졸업식에서 15명이 졸업하였고 3월 2일 제2...
-
경기도 양주시 회천4동에 속하는 법정동. 옥정동(玉井洞)이라는 땅 이름은 통합 이전의 마을 이름인 옥동리(玉洞里)의 ‘옥’자와 냉정리(冷井里)의 ‘정’자를 합쳐 만든 것이다. 옥동리는 옥같이 아름다운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냉정리는 맑고 찬 우물물이 나온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옥정동의 옛 이름은 옥정리이다. 옥정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 있는 주말농장. 옹달샘은 일상에서 벗어나 지친 삶을 돌아보고 재충전하며, 가족과 함께 채소를 직접 가꾸며 자연의 소중함을 배우고 옛 추억의 향수를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008년에 건립되었다. 총면적은 3만 3000㎡이다. 텃밭은 16.5㎡ 단위로 개인 분양하고 있다. 매년 11월부터 2월까지 분양 신청 및 접수를 받고 있으며, 3월 마지막 주...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들판으로, 대한 제국 시기 의병과 왜병이 접전을 벌인 유적지. 대한 제국 시기에 의병과 왜병이 접전을 벌인 곳으로, 왜군이 주둔하던 곳이라는 뜻에서 왜둔지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왜둔지를 왜군들이라고도 한다. 북쪽에 칠봉산 자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고, 남쪽에 넓은 벌판이 있으며 신천이 흐른다. 대한 제국 시기에 선조들이 의병을 조직해 왜군과 싸움...
-
경기도 양주시의 산업체에서 근로하고 있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 1993년 11월 정부가 국내 중소기업 인력난 완화와 노동자 개인의 기술 습득 및 소득 창출을 목적으로 「외국인 산업연수생 제도」를 도입한 이후 국내에 외국인 노동자가 대거 유입되었다. 특히 수도권 내에 위치하며 서울과 교통이 편리하다는 지리적 이점으로 일찍이 제조업체가 많았던 경기도 양주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이 유입...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연곡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요셉의 집은 사회 적응 능력 프로그램을 통하여 장애인의 잠재 능력 개발 및 사회성 발달을 도모하는 등 지역 사회와 연계하여 장애인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중중 장애인 요양 시설이다. 요셉의 집은 장애인들의 복지와 재활을 위해 설립되었다. 1985년 12월 황화자 전도사가 장애인 공동체 건설을 위한 모금 운동을 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의 흥복저수지에서 장흥면 울대리로 내려가는 계곡에 있는 연못. 용못은 용이 살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용은 승천하였다고 전해지며, 용못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왔다고 한다. 이와 달리 용이 승천하지 못하고 이무기가 되어 폭포수에서 살았으며, 연못 주변에 소를 매어 놓으면 잡아먹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용못골, 용무골, 용연동(龍淵洞)과 연관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암리(龍岩里)라는 땅 이름은 악대산[일명 약대산]에 용이 승천하는 모습을 한 둘레 15m, 폭 6m, 높이 3m의 용바위가 있어 용바위·용암이라 불리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용암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묵은면 일패리와 일패하리를 병합하여 만들어졌다. 원래 묵은 논이 많아 묵은논이·진답(陳畓)·묵은동(默隱洞)이라 불렸으며, 옛 묵은...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 있는 수령 약 200~30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행정리이자 법정리. 우고리(遇古里)라는 땅 이름은 여러 개의 골짜기가 이곳에서 만난다는 뜻의 우곡리(遇谷里)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호구총수(戶口總數)』[1789]에는 광석면에 소재한 우곡리(牛谷里)라는 마을이 등장하는데, 이곳이 지금의 우고리를 말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일설에는 연산군의 폭정 당시 삼각산 북쪽 자락에서 약 100리에 이르는 소...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서 발원하여 광석리를 지나 가납리에서 신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발원지인 우고리의 이름을 따서 우고천(遇古川)이 되었다. 우고리라는 이름은 여러 개의 골짜기가 이곳에서 만난다는 뜻의 우곡리(遇谷里)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우고천을 아우르는 신천은 한탄강의 지류이고, 한탄강은 임진강의 지류이다. 임진강을 본류라 하면 제3지류에 해당한다. 양주시 광적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을 잇는 우이령을 통하는 길. 소의 귀처럼 길게 늘어져 있는 모습에서 소귀고개[쇠귀고개], 즉 우이령(牛耳嶺)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오봉과 상장봉 사이에 있는 이 소귀고개를 아래 응달말에서 올려다보면 두 봉우리가 마치 소의 귀처럼 보이는 데서 유래되었다. 6·25 전쟁 이전 이 우이령길은 양주와 서울을 연결하는 소로였으나, 6·...
-
경기도 양주시의 우편 및 금융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 기관. 우체국은 국장의 지위에 따라 4급[서기관국], 5급[사무관국], 6급[주사국], 7급[주사보국]으로 분류되거나 기능에 따라 우정청, 우편집중국, 집배국, 무집배국으로도 분류된다. 또한 설립 주체에 따라 일반우체국, 별정우체국, 우편취급국 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급과 5급우체국은 총괄국으로서 기초 자치 단체 단위로 1국씩...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운암리(雲岩里)라는 땅 이름은 발운리(發雲里)의 ‘운’자와 입암리(笠巖里)의 ‘암’자를 합해 만든 것이다. 혹은 구름바위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운암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대한 제국 시기까지만 해도 양주군 묵은면·현내면 및 적성군 남면에 속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에서 경기도 의정부시 가능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울대고개는 고개가 높고 험하여 넘을 때 매우 답답함을 느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근처에 있는 마을인 울대리(鬱垈里)의 이름도 울대고개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에 울대현(鬱岱峴)이라 나오며, 양주 읍치에서 서남쪽으로 20리 되는 거리에 있으며 고양(高陽)으로 가는...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울대리(鬱垈里)라는 땅 이름의 유래에 여러 이야기가 전해진다. 첫째, 울대고개 밑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둘째, 오봉산이 이 마을의 뒤쪽을, 삼각산이 남쪽을, 일영산맥이 서쪽을 감싸 사방이 막혀 있어 답답한 마을이라는 데에서 유래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셋째, 옛날부터 숲이 우거진 땅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사패산 자락에 있는 한국불교 법륜종 소속 사찰. 한국불교 법륜종은 종조를 고려 말의 승려인 태고(太古)보우(普愚)로 하고 있으며, 소의 경전은 『금강경(金剛經)』과 『화엄경(華嚴經)』이다. 연례 주요 행사로 부처님오신날과 우란분절, 성도절, 열반절, 출가일 등이 있다. 원각사에서는 현재의 절 위쪽에 원각사 절터가 있어 창건 시기를 고려 시대라고 전하고...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었던 자연 마을. 원골은 고을 원님인 양주목사가 있는 읍내로 들어가는 길목의 골짜기이었다. 흔히 양주시 유양동 중심부에 위치한 관아터 부근이 원골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관아터 부근을 원골이라 부른 적이 한 번도 없었으며, 북서쪽의 외지에서 관아터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이곳을 원골로 불렀다고 한다. 원골은 양주시 유양동에서 백석읍 방성리로 넘어가는 골...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 원골마을에서 실시하였던 체험 학습.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경기도 기념물 제167호 양주 관아지,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82호 어사대 비(御射臺碑), 금화정(金華亭), 양주향교 등을 아울러 원골마을이라고 한다. 2005년 양주시 문화유산 해설사가 본격적으로 활동하면서 양주시 유양동 소재 원골마을에서 양주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체험 활동을 시작하였다. 아울러 양주...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혼합 석재 가로(街路) 시설물 및 레미콘 생산업체. 1960년대 초까지 전봇대는 대체로 벌목한 나무를 가공하여 세웠다. 전봇대용 목재를 구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을 파괴해야만 하였고, 이에 대신할 소재를 찾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1964년에 설립된 삼원산업이 그 해결책을 제시했는데, 바로 콘크리트 전봇대의 개발이었으며 국내 최초의 시도였다. 이후...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 있는 저수지. 감악산[675m] 남쪽 기슭에서 내려오는 물을 막아 만든 저수지이다. 이 지역의 옛 이름이 원당리였기 때문에 원당저수지가 되었다. 원당저수지의 물은 남쪽으로 흘러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 못 미쳐 봉암저수지 물과 합쳐 상패천을 이룬 후 동두천시 상패동을 경유하여 신천으로 흘러들어 간다. 원당저수지는 1978년 1월 1일에 착공하여 19...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전통 장(醬). 양주시 농업기술센터는 웰빙양주 전통장이라는 특산품 브랜드와 전통 장류의 기본이 되는 메주 만드는 방법부터 된장과 간장 등의 장 담그기 교육을 실시하여 한국의 우수한 발효 음식 문화를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웰빙양주 전통장은 양주시의 특산물인 양주 콩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양주의 햇볕과 신선한 바람을 쐬어 숙성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깊...
-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한 전국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한 마을 복지 사업. We Start 운동이란 저소득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복지·교육·건강을 3대 축으로 해당 가정과 아동에 대한 개별 사례 관리를 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문 인력 및 지역 사회의 자원봉사 네트워크와 자치 단체의 지원 등으로 가난의 대물림이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나게 하고자 시작된 사회운동의...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마음이 따뜻한 어린이, 생각이 다양한 어린이, 최선을 다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 똑똑, 씩씩, 깔끔, 명랑’이다. 1923년 4월 27일 유양공립보통학교[4년제]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27일 양주향교(楊州鄕校)에서 1·2학년으로 개교하였다. 1937년 4월 1일 6년제로 학년 연장이 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양주1동에 속하는 법정동. 유양동(維楊洞)의 옛 이름은 유양리이다. 땅 이름 유래에 여러 설이 있다. 첫째, 양주에서 제일인 곳이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둘째, 조선 초기 이 마을 출신 인물이 사신으로 가서 중국의 유양리에 들렀는데 그곳이 흡사 고향과 비슷하다고 느껴서 자신의 고향을 유양리로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1922년까지는 이곳에 군청이 있어서 구읍(舊...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세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핵과(核果...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유양동 은...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수령 약 300년의 향나무. 향나무는 측백나뭇과의 상록 침엽 교목으로, 높이는 20m까지 자란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비늘 조각 또는 바늘 모양이다. 4월에 단성화가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구과(毬果)로 이듬해 10월에 익는다. 유양동 향나무는 전체적으로 가지 끝이 고사되고 있다. 높이는 13m, 가슴높이 둘레는 1.9m이다. 유양동 향나무는 마...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유아 교육 담당 기관. 유치원은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목적으로 알맞은 교육 환경을 제공하여 만 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전 연령의 유아를 교육하는 기관이다. 양주시에는 1981년 3월 1일 상패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처음으로 개설된 이후부터 2011년 4월 현재에 이르기까지 모두 28개 공립 병설 유치원이 개원 운영되고 있다. 한편 2010년 3월 1일에는 공...
-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경기도 양주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일어난 전쟁. 6·25 전쟁은 1948년 남북한에 이념이 다른 정권이 들어서고 양측에 대한 우방국의 지원이 갈라지게 되자 정치적 긴장감이 높아지면서 북한군의 남침으로 벌어진 전쟁이다. 전쟁은 1953년 7월 23일 당시까지의 전선을 군사 분계선으로 정하고 포로 자유 송환을 골자로 하는 휴전 협정이...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율정 초등학교는 ‘바른 인성과 행복한 꿈을 가꾸는 학교’를 교육 비전으로 삼고 있다. 아울러 교육 목표는 자주인[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찾아 가꾸는 어린이], 창의인[스스로 탐구하며 창의롭게 생각하는 어린이], 문화인[문화적 소양을 키우고 삶을 즐기는 어린이], 세계인[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소통하는 어린이]을 육성하는 것이다. 2015년...
-
경기도 양주시 회천4동에 속하는 법정동. 율정동(栗亭洞)이라는 땅 이름은 귀율리(貴栗里)의 ‘율’자와 모정리(茅亭里)의 ‘정’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귀율리는 밤나무가 많은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모정리는 마을 입구에 초모(草茅)로 만든 정자가 있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진다. 율정동의 옛 이름은 율정리이다. 율정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 있는 수령 약 550년과 약 4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 있는 수령 약 4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웅장한 기상을 자랑하는 율정동 은행나무는 줄기가 사방으로 뻗어 있다. 암나무로 높이는 16m,...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와 남면 상수리에 조성 중인 일반 산업 단지. 산업 단지는 지방 자치 단체에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주민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 국가적 차원 수출 증대를 위해 일정한 기업체의 입주를 기대하며 조성하는 단지로 국가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 농공 단지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중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예절 바른 도덕인, 슬기롭게 생각하고 스스로 공부하는 자율인, 새로움을 추구하며 탐구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정직하고 성실하며 지혜로운 어린이’이다. 1998년 1월 15일 은봉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9년 9월 1일 개교하였다. 같은 해 1...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홍죽리·가업리에 걸쳐 있는 산. 은봉산(隱鳳山)은 은이 나오고 봉황이 숨어 있던 산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그러나 한자명은 은봉산(銀鳳山)이 아니라 은봉산(隱鳳山)으로 전해 오고 있어 봉황이 숨어 있던 산이라는 말이 맞을 것 같다. 은봉산이라는 이름은 『양주목읍지(楊州牧邑誌)』[1842]에 처음 나오며 이후 『양주목읍지』[1871], 『양주군...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가업리·홍죽리·기산리에 걸쳐 있는 은봉산에 있는 등산로. 은봉산[397.8m]은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뒤편으로 병풍처럼 펼쳐진 산으로 정상을 오르내릴 수 있는 여러 갈래의 등산 코스를 갖추고 있다. 별로 높지 않아 동네 뒷산쯤에 해당하지만 풍광이 좋으며 숲길이 한적하고 조용히 걸을 수 있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특히 은봉산 약수터를 오르는 20~30분 거리...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가업리 은봉산에 있는 패러글라이딩 활공장. 패러글라이딩(paragliding)은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로 활공하는 스포츠이다. 패러글라이더는 낙하산과 행글라이더의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 낙하산의 안정성, 분해, 조립, 운반의 용이성과 행글라이더의 활공성, 속도성을 장점으로 가지고 있다. 패러글라이딩 활공장은 별도의 동력 장치 없는 패러글라이더로 사람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 바르게 행동하는 어린이, 탐구하며 미래를 개척하는 어린이, 스스로 판단하고 실천하는 어린이, 몸과 마음이 깨끗하고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5년 7월 31일 은현공립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9월 1일 6학급을 편성하여 개교하였다. 1996년 3월 1일 은현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
-
경기도 양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기존의 묵은면(默隱面)과 현내면(縣內面)의 대부분 지역을 합치면서, 묵은면의 ‘은’자와 현내면의 ‘현’자를 따서 은현면(隱縣面)이라고 하였다. 은현면이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지만 해도 묵은면과 현내면에 속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은현면은 삼국 시대부터 별도의...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에 있는 은현면 관할 행정 기관. 은현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남면·광적면·장흥면], 6개 동[양주1동·양주2동·회천1동·회천2동·회천3동·회천4동] 중 은현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은현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식을 조리 및 가공하여 파는 업체. 최근 양주시를 문화관광도시로 육성하면서 음식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양주 지역의 음식점의 종류는 한식부터 일식, 중식, 양식 등 다양하고 주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한식점이 많다. 양주의 특산품이 한우이므로 한우 음식점이 대다수를 이룬다. 이중 양주 특산품인 양주골 한우 판매 지정 업체는 12군데이다. 또 다른 특산품은...
-
경기도 양주시 관내에서 악기와 소리를 소재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 양주시의 음악인들은 양주시 음악 발전과 회원 간의 화합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단체는 2005년 7월 21일 설립된 한국음악협회 양주시지부이다. 양주시의 문화 발전을 도모하고 회원 상호 간의 유대를 강화하며, 음악인의 지위 향상과 권익 신장은 물론 음악 인구 저변 확대를 위하여 활동함...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와 일영리의 경계에 걸쳐 있는 산. 응봉(鷹峰)은 산봉우리가 마치 매의 부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응봉 주변으로 도봉산과 우이령·상장봉 사이에서 발원한 공릉천(恭陵川)이 송추와 일영을 지나며, 장흥면 북쪽 석현리 형제봉에서 시작된 석현천(石峴川)이 일영리에서 합류하여 파주시 봉일천으로 내려간다. 동쪽으로 사패산~오봉산·도봉산, 그리고 남쪽으...
-
경기도 양주시를 관할하는 세무 행정 기관. 의정부세무서는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하여 의정부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강원도 철원군 지역의 소득세, 부가가치세, 재산세, 법인세 등의 부과·감면 및 징수와 갹출료의 징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의정부세무서는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한 관할 구역의 공정하고 엄정한 세정을 통해 시민, 기업체들의 성실 납세를 유도하고 효율적이고...
-
경기도 양주시를 관할하는 지방 검찰청. 의정부지방검찰청은 경기도 북부 지역의 6개 시[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동두천시, 구리시, 남양주시]와 3개 군[강원도 철원군, 경기도 가평군, 경기도 연천군]의 검찰 사무를 수행하는 공공 기관이다. 의정부지방검찰청은 경기도 양주시 등 경기 북부 지역과 강원도 철원 지역이 법과 질서가 확립된 공정하고 안전한 사회로 가꾸어지는 데 기여하기...
-
경기도 양주시를 관할하는 지방 법원. 의정부지방법원은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남양주시, 구리시,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 동두천시, 강원도 철원군을 관할 구역으로 하여 민사와 형사 재판 업무를 주재하고 있는 사법 기관이다. 의정부지방법원은 관할 구역 내 민사상의 분쟁과 형사 문제에 대한 공정하고 깨끗한 사법적 해결을 위해 설립되었다. 1962년 경기도 양주군 의정부읍[현 경기...
-
경기도 양주, 의정부, 동두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환경 단체. 의정부·양주·동두천환경운동연합은 인간에 의해 오염되고 파괴된 자연환경을 생활개선과 환경 운동을 통해 안전하고 평화로운 삶터로 다시 회복시켜 후손들에게 물려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4년 10월 22일 경기북부환경운동연합으로 창립되었으며 2000년 2월 의정부·양주·동두천환경운동연합으로 단체명을 변경하였다. 주민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에 있는 전통형 관광농원. 이고을은 감악산 자락에 있는 한국 전통형 관광농원으로, 자연과 하나됨을 배우고 도시 생활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전통 한옥형 펜션이 생태적 건축 방식으로 지어져 있고, 족구장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제별, 계절별, 대상별 체험 학습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제별 학습 프로그램으로 한옥 집짓기 체...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농촌 체험 학습장. 209 FARM은 일곱 개의 봉우리가 병풍처럼 둘러싸인 칠봉산 아래에서 배를 공부하는 농장이다. ‘209 FARM’이라는 농장 명칭에서 209는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 209-1번지인 농장 주소의 번지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리고 209는 한자 ‘이공구(梨工區)’로 바꾸면 ‘배를 공부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209 FARM은 봄...
-
경기도 양주 출신의 법조인. 본관은 전의. 아버지는 이상익이고 동생은 이웅섭이다. 아버지 이상익은 남면사무소에서 초대 남면장을 지냈다. 부인은 평택국민학교 교사로 재직 중이던 권태옥(權泰玉)이며, 슬하에 2남 3녀를 두었다. 이영섭(李英燮)[1919~2000]은 1919년 11월 5일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서 출생하였다. 당시 아버지 이상익이 광주법원에서 근무하였기 때문에 1...
-
경기도 양주에서 활동한 교육자이자 정치인. 부인 손영선과의 사이에 학교법인 호정학원 이사장인 이영준과 이은지·이성림·이지현 등 1남 3녀를 두었다. 이윤학(李允學)[1928~2007]은 1928년 4월 3일 경기도 장단군(長湍郡)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양주에서 보냈다. 경복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생산성본부 훈련 부장을 거쳤고, 중소기업 실무자 국...
-
경기도 양주에서 활동한 정치인. 이진용(李珍鎔)[1920~1991]은 보성전문학교와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였다. 민주공화당 중앙 상임 위원과 민주공화당 경기 제4지구당 위원장을 지냈으며, 대한빙상협회장, 제2경제위원 동남아시아 시찰 단장, KOC 상임 위원, 한일의원연맹 간사, 무소속 의원 원내 총무를 역임하였다. 1967년 6월 8일 실시된 제7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
-
경기도 양주시에 분포하고 있는 인문 지리적 요소. 인문 지리는 자연 지리의 바탕 위에서 펼쳐지는 인간 활동의 집합적 총체와 그 결과로서의 문화적 지리 경관을 일컫는다. 인간 활동 중에 가장 기본적인 것은 경제 활동이며, 인간은 집단을 이루어 취락[도시와 농촌]을 형성한다. 양주시는 한반도 중부에서 남쪽으로는 의정부시와 수도 서울에 접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동두천시 및 연천군에 접...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 있는 화학 섬유 제조 및 임가공 업체인 인성하이텍의 공장. 과거 섬유 산업은 한국 현대 산업 중 주력 산업으로 손꼽혀 온 분야였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지원과 다수의 회사 창립을 통해 섬유 가공 및 디자인 산업 등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와 점차 중국이나 베트남 등 생산 원가가 상대적으로 월등히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섬유...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각종 인터넷 신문. 2011년 현재 인터넷은 전국 어디에나 네트워크망이 형성되어 있어 수많은 정보의 생성, 전달 및 소통의 수단이 되고 있다. 급속한 정보 통신 사회가 시작된 것이다. 양주시에서도 인터넷 보급과 네트워크 구축은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양주 지역의 구체적 정보를 파악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면서 지역 인터넷...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음향 및 영상 관련 전자 제품 제조업체. 현대 사회에서 음향, 영상, 통신은 컴퓨터, 인터넷, 어쿠스틱 음향 등이 발달하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단순한 하나의 제품만이 아니라 이를 시스템화하고 설비를 갖춰 가장 좋은 소리와 영상을 전달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인터엠은 바로 이러한 음향, 영상, 통신 관련 제품과 시스템 설비를 집중적으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와 삼상리에 있는 유원지. 일영유원지는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일대 공릉천 유역에 1970년대 초반부터 장포골 주변 야산을 배경으로 물놀이 관광객이 늘고 음식점이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1980년대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1990년대에는 주말 행락객이 늘면서 전성기를 이루었다. 향토 음식점을 중심으로 운동과 게임을 할 수 있는 운동장을 갖춘 숙...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허브 정원. 1998년 9월 김택수가 유럽풍의 이태리식당인 솔베이지를 개장하였다. 2001년 3월 식당 주변 약 9,900㎡의 면적에 허브 정원, 허브 식물원, 허브샵과 부대시설을 갖춘 일영허브랜드를 개관하였다. 2011년 6월 105종의 허브 식물을 갖춘 허브 박물관을 개관하였으며, 면적은 1만 6500㎡로 확장되었다. 일영허브랜드는 야외 정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에 속하는 법정리. 일영리(日迎里)라는 땅 이름은 일영봉 밑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일영리 동쪽에 있는 일영봉은 일영리 사람들이 일출 광경을 볼 수 있는 봉우리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마을에는 일영봉에서 해 뜨는 광경을 제일 먼저 보면 장가를 든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일영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에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다섯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와 일영리에 걸쳐 있는 산. 일영봉(日迎峰)은 일영리의 동쪽에 있어서 마을 사람들이 아침 해가 솟아오르는 모습을 가장 먼저 볼 수 있는 봉우리라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전해지며 여러 유래 중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다른 이야기도 전해진다. 중종(中宗)의 비 신씨(愼氏)가 폐출된 뒤에 친정이 있는 일영리의 절골에 들어가 살면서 절을 짓고...
-
경기도 양주 출신의 임꺽정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홍명희(洪命熹)의 대하 역사 소설. 홍명희의 소설 『임꺽정』은 한국 근대 역사 소설의 초창기인 1928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된 이후, 몇 차례 연재 중단을 거듭하다가 1940년 『조선일보』가 폐간되자 『조광』으로 발표 지면을 옮겼으나, 결국은 완결되지 못한 채 끝나고 말았다. 소설 『임꺽정』은 연재된 시기와 내용상 세 부분으로 나...
-
경기도 양주 출신으로 추정되는 임꺽정이 주인공인 소설 『임꺽정』을 원작으로 한 대하드라마. 「임꺽정」은 1996년 11월 10일부터 1997년 4월 6일까지 SBS 주말 특별 기획 드라마로 토요일 오후에 방영되었다. 제작 기간은 3년이었으며, 본래 36부작으로 계획되었으나 44부작으로 종영하였다. 임꺽정의 고향으로 추정되는 양주에서 드라마의 일부가 촬영되었다. 1995년 양주군 백...
-
경기도 양주 출신의 행정가이자 정치인. 본관은 풍천. 아버지는 임태순(任泰淳)이고 어머니는 윤순녀(尹順女)이다. 6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동생으로 임우빈, 임좌빈, 양주시장을 역임한 임충빈, 임운빈, 임능빈 등과 평생을 교직에 몸담았던 임희빈이 있다. 부인은 이종배이고 자녀로는 건축 공학 박사인 장남 임창일, 임창화, 미국에 체류 중인 임창범 등 3남이 있다. 임사빈(任...
-
경기도 양주시에서 이루어지는 산림을 가꾸고 관련 생산물을 경제적으로 이용하는 산업. 임업의 개념은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임업은 기본적으로 천연림(天然林)을 벌채하여 갖게 된 목재를 이용하는 원시적인 생업 행위를 의미하였다. 더 나아가서는 산림을 인공적으로 가꾸어 임산물 수확을 꾀하는 토지 생산 활동의 의미를 갖기도 하였다. 현재의 경우 임업은 산림을 합리적으로 취급함으로써 생...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입암(笠岩) 혹은 갓바위라는 땅 이름은 망당산 북쪽 기슭[산14번지 북쪽]에 인형 모양의 큰 바위가 있는데, 마치 관을 쓰고 있는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갓바위로 불리는 지역의 북쪽에 흔터라는 빈터가 있는데, 옛날 이곳에 어느 욕심 많은 부자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어느 늙은 승려가 시주를 하러 오자 부자는...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입암리에 있는 두 그루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핵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입암리에 있는 수령 약 45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입암...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감악산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남면 입암리에서 신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하천이 통과하는 중심 마을인 입암리의 이름을 따서 입암천(笠岩川)이 되었다. 입암리는 망당산 북쪽 기슭에 인형 모양의 큰 바위가 있는데 마치 관을 쓰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입암 또는 갓바위라 불리었다. 입암천은 양주시 남면 신암리 및 매곡리 상류 지역에서 좁은 계곡을 흐르다가 매곡리...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지형, 지질, 토양, 기후 등의 지리적 조건. 양주시는 한반도 중앙부 서울 북쪽에서 서울과 접해 있으며, 동쪽에는 의정부시와 포천시, 북쪽에는 동두천시와 연천군, 서쪽에는 파주시와 고양시가 있다. 양주는 크게 세 하천의 유역군으로 구분되는데, 신천 유역권, 공릉천 유역권, 중랑천 유역권이 그것이다. 세 유역권을 나누는 분수계는 양주시 지세의 기저를 이룬다. 백석...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산. 장군봉(將軍峰)은 권율(權慄) 장군의 묘가 있는 석현리를 내려다보고 있는 봉우리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장군봉은 파주시 광탄면, 양주시 백석읍, 장흥면이 만나는 산간 지대에 있어서 주변이 온통 산으로 에워싸여 있다. 장군봉은 앵무봉[621m]에서 꾀꼬리봉~한강봉~호명산 등으로 이어진 여러 개의 연봉 가운데 하나이다. 동북쪽에 꾀꼬리봉이 있...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장애인 자립 작업장. 장애인자립작업장은 양주시에 거주하는 장애인에 대한 일자리 제공, 장애인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장애인의 자립 능력 향상, 장애인의 사회 참여 확대 및 권익 도모 등을 통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2003년 10월 19일에 개관하였다. 장애인자립작업장은 근로 능력이 있는 장애인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자립할 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국민 관광지. 국민들의 건전한 여가 생활을 위한 휴식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1985년 교통부에서 국민 관광지 기본 계획을 수립하고, 1986년 12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일대 39만㎡를 국민 관광지로 지정하여 개발하였다. 급증하는 여가 수요에 따라 1992년 3월 양주시는 조성 면적 변경을 추진하였다. 인근 일영유원지, 송추유원지와 함께...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장흥교회는 ‘하나님께 영광을! 이웃에게 복음을’ 영구 표어로 지향하며 활동하고 있다. 1958년 5월 11일 장흥교회가 설립되어 5월 18일 서울 장충교회 여전도회 후원으로 천막 교회에서 첫 주일 예배를 보았다. 초대 교역자로 주창수 전도사가 시무하였다. 1960년 11월 50㎡ 규모의 목조 기와 교회당을 건축...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체육 회관. 2000년대에 선진국 반열에 들어서면서 생활 체육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크게 늘어났다. 복지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고, 양주시에서도 이 같은 면을 고려하면서 생활 체육 시설을 조성하기 시작하였다. 장흥생활체육관 역시 같은 배경에서 설립되었다. 장흥생활체육관은 장흥면 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을 위한 체육 및 여가 활동...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복합 예술 문화 공간. 1984년 국내 최초의 사립 미술관으로 설립된 토탈미술관이 2002년 12월 예술가 국제 레지던스 운영을 목표로 지하 1층, 지상 10층의 토탈스튜디오시티(Total Studio City)의 조성을 추진하던 중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05년 4월 가나아트센터의 토탈미술관 사업권을 아트파크가 넘겨받아 별도 법인...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자연 생태 수목원. 이종우가 도시민에게는 자연 속의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학생들에게는 체험 학습 공간을 제공하여 사회에 봉사하고자 2002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5년 후인 2007년 5월 장흥자생수목원을 개장하였다. 2008년 11월 장흥자생수목원을 이용한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면서 체험 학습관이 신축되었고, 2009년 4월 허브 온실이 완공...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조각 작품 창작 공간이자 전시 공간. 양주시는 낙후된 관광 시설을 개조하여 작가들을 위한 작업장과 시민들의 감상과 휴식을 위한 조각 공원으로 재탄생시키고 작가 개인 미술관을 유치하는 등 양주 지역의 문화·예술을 진흥시키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실행 중인데 장흥조각아카데미도 그러한 시설 중 하나이다. 장흥조각아카데미는 인근의 문화 시설과 연계하여 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장흥관광지 내에 형성되어 있는 카페촌. 장흥관광지를 가로 지르는 지방도 371호선을 따라 1990년대 초부터 경관이 아름다운 곳에 이국적인 분위기의 카페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장흥 카페촌이 형성되었다. 장흥 카페촌은 수려한 자연 경관과 이국적인 분위기의 카페와 음식점, 그리고 주변의 볼거리와 체험 공간이 어우러지며 1990년대 중반·후반까지...
-
경기도 양주시에 속하는 행정면이자 법정면. 장흥(長興)이라는 땅 이름은 조선 시대 후기부터 사용된 것으로 기록에 전하고 있다. 따라서 장흥면(長興面)은 백석읍과 더불어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원래 이름이 변하지 않고 남아 있는 지역이다. ‘장흥’이라는 이름을 우리말로 풀면 ‘오래도록 길이 흥한다’가 된다. 땅 이름이 같은 전라남도 장흥군의 경우 고려 인종(仁宗) 때에 인종의 비인...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장흥면 관할 행정 기관. 장흥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남면·광적면·장흥면], 6개 동[양주1동·양주2동·회천1동·회천2동·회천3동·회천4동] 중 장흥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장흥면사무소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장학 재단. 재단법인 양주시 희망장학재단은 교육 환경 개선과 더불어 양주시의 우수한 인재를 양주시에서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장학 지원을 통해 다양한 자질의 유능한 인재가 배움의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힘쓰며, 또한 교육자들의 창조적인 활동을 독려하고자 연구 지원 사업을 펼치는 등 지역 사회와 국가의 미래를 이끌어갈 최고의 인재 육성에...
-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부추. 경기도 양주시에서는 103만㎡의 재배 면적에 약 186농가가 부추를 재배하고 있다. 경기도 양주시에서 재배되는 부추는 회암동 솔부추[일명 영양 부추 또는 양주 부추]와 재래 부추 두 가지이다. 회암동 솔부추는 솔잎처럼 잎이 좁지만, 재래 부추는 잎이 넓으며 길이가 25㎝ 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신선하고 영양이 많은 재래 부추는 매운맛을 내는...
-
경기도 양주시의 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경제적 활동. 양주시는 원활한 행정 운영을 위해 연도별로 예산을 기획하고 재정 계획 및 기금 운용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결산 후에는 주민들에게 재정을 공시한다. 양주시는 무계획적이고 즉흥적인 예산과 투자 계획의 잦은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정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이를 중기 재정 계획이라고 부른다. 2010년 양...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는 열네 개의 저수지를 관할하는데 그 중 일곱 개인 기산저수지, 남방저수지, 덕계저수지, 신암저수지, 봉암저수지, 원당저수지, 효촌저수지가 경기도 양주시에 있다. 저수지가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 양주시 남면으로 신산리에 신암저수지, 황방리에 원당저수지, 두곡리에 효촌저수지가 있고, 원당저수지 바로 옆 은현면 봉암리에 봉암...
-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하여 도시 이름에 ‘주(州)’자가 들어가는 14개 지방 자치 단체장들의 모임. 전국동주도시교류협의회는 세계화·지방화·정보화 추세에 따라 회원 도시 상호 간의 효율적이고 조직적인 교류 협력 사업의 추진을 통한 공동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3년 6월 24일 경기도 광주시·파주시·양주시, 경상남도 진주시, 강원도 원주시, 충청북도 청주시·충주시, 충청남도...
-
경기도 양주시 남면 구암리에 있는 동관 이음쇠 제조업체. 1979년 2월 부광금속으로 설립되어 1983년 3월 정우금속공업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1986년 12월 다시 정우금속공업으로 법인을 전환했으며, 1987년 4월에 정우센터를 흡수·합병하였다. 1998년 1월 수출 라인의 공장 증축 및 기계 시설을 완공했으며, 2008년 11월 경기도 양주시 남면으로 공장 확장 이전을 발표...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에 열리는 민속놀이 축제. 음력 정월 대보름은 1년 중 보름달이 가장 클 때이다. 조상들은 이때를 기하여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쳐 풍년을 기원하였으며 다양한 계층이 어우러지는 각종 놀이를 통하여 화합을 다졌다. 동시에 재액을 물리치고 건강하며 만복이 깃들기를 빌었다. 농경이 비로소 시작되는 때라 여겼으며 한 해의 소원을 빌기도 하였다. 양주...
-
경기도 양주시에서 지역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지방 자치제에 의해 경기도 양주 지역은 1956년부터 읍장과 면장을 직접 선출하는 등 자치적인 정치 활동을 수행하고 있었다. 1991년 개원한 양주군의회를 중심으로 지방 자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3년 양주군에서 양주시로 승격하면서 양주군의회는 양주시의회로 명칭이 바뀌었다. 2010년 7...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가업리에 있는 스타킹 및 양말 제조업체. 정환무역은 다양한 품질의 스타킹과 양말의 제조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5년 9월 1일 정환무역이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양말, 스타킹, 메리야스 등의 생산 및 판매와 관련된 사업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011년 현재 대표는 이정숙이며, 종업원 수는 50명 정도이다....
-
경기도 양주시 관내에서 원료를 가공하여 제품을 만들어 내는 산업. 제품 생산에는 원자재·기술·자본 등 생산 3요소가 있다. 제조업은 이를 바탕으로 제품을 만드는 것을 전업으로 하고 이를 통해 영리를 추구하는 하나의 기업 행위이다. 한국 표준 산업 분류에 의하면 제조업을 1. 음식료품 및 담배 제조업, 2. 섬유·의복 및 가죽 산업, 3. 목재 및 나무 제품 제조업, 4. 종이 및...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소속 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신산교회는 삶의 행복을 주는 교회를 지향하며 활동하고 있다. 1961년 5월 고덕부, 황주영[황중옥] 소유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 285번지 목조 건물 2층[약 83㎡]에서 가정안식일학교로 집회를 시작하였다. 1961년 11월 1일부터 경기 북부 지역장 김관호 전도사의 사역을 시작으로, 1...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조명 전문 박물관. 조명박물관은 필룩스에서 설립한 기업 박물관이다. 세계 최초, 국내 유일의 조명 전문 박물관으로서 빛이나 조명과 관련된 전문적이고도 독창적인 전시로 일반인들에게 조명 문화를 알리고 있다. 관람객들에게는 인류 생활양식과 조명의 밀접한 관계를 소개하고 우리 문화를 빛으로 보다 풍성하게 하며 건강한 빛의 문화를...
-
1945년 해방 직후 재결성된 조선공산당의 경기도 양주 지역 지구당. 조선공산당은 1925년 서울에서 결성되었으나 일제에 의해 몇 차례 와해되는 등 굴곡을 겪었다. 그러다 국내 사회주의자들 중 경성콤그룹 세력을 중심으로 조선공산당 재건 운동이 전개되어 1945년 9월 11일 다시 결성되었으며 여운형(呂運亨), 박헌영(朴憲永), 허헌(許憲), 김원봉(金元鳳) 등이 의장단에 포함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적극적인 사고로 학문을 탐구하고 익히는 지혜로운 자주인, 예의 바르고 성실한 성실인, 자신과 타인을 사랑하는 건전한 마음과 튼튼한 몸을 지닌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배우자, 일하자, 돕자’이다. 1965년 12월 21일 조양농림기술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66년 3월 3일 개교하였다. 1967년 12월...
-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주내장로교회의 표어는 ‘영혼 구원의 열정을 갖는 교회’이며, 사역 방향은 지역 사회를 섬기는 교회로 삼고 있다. 1959년 3월 9일 양주군 주내면 마전리 산 145번지[현 양주시 마전동 산 145번지]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 주내교회 창립 예배를 보았다. 주내장로교회는 서울 한양교회의 개척사업으로, 한양교회에서 파견한 조인택...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주내제일교회는 ‘신앙과 생활이 일치하는 교회’를 목회 지침으로 삼고 있다. 1956년부터 1958년 8월까지 김삼관 목사가 6·25 전쟁으로 폐쇄된 유양리교회를 교회 건물 없이 노방(路傍) 전도하다 1958년 9월 8일 현 주내제일교회 뒷동산에서 주내교회로 재창립하였다. 1959년 동양선교회[O.M.S]의 지원을 받아 경기...
-
경기도 양주시의 각 읍·면·동사무소에 설치된 지역 주민을 위한 문화·복지 편익 시설 및 공간. 경기도 양주시는 읍·면·동 단위로 주민자치센터가 위치한다. 주민자치센터에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있어 주민 민원과 복지, 문화생활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는 건강 관리면에서 에어로빅·헬스·배드민턴 등의 체육 프로그램, 미술과 음악 등의 예능을 배울 수 있는 문화 강좌가 있으며 컴퓨...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행복을 열어 가는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바른 인성을 지닌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 자주적이고 새로움을 찾아 공부하는 어린이, 신바람 나게 소질을 기르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마음은 즐겁게, 생각은 새롭게, 행동은 예의 바르게’이다. 2007년 1월 8일 주원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그해 8월 27일 6학급...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자연 마을. 지명의 유래에 여러 설이 있다. 고을의 원(院)이 있던 마을이라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역로(驛路)를 따라 지어진 주막(酒幕)이 있던 마을이라는 뜻에서 주원동(酒院洞)으로 불리다가 ‘주(酒)’자가 ‘주(朱)’자로 변하였다는 설도 있다. 일설에는 ‘좋은 터’가 시간이 흐르면서 주원터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주원터의 정확한 형...
-
2002년 6월 13일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에서 주한 미군 장갑차에 의해 여중생 두 명이 압사당한 사건. 6·25 전쟁이 종료되고 남북한 간 휴전 협정이 체결되자 주한 미군은 1958년 2개 사단만 남기고 점차 철수를 시작하였다. 1953년 10월 1일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이 체결됨에 따라 한·미 동맹이 강화되었고, 미군은 휴전 상태인 정전 체제를 관리하기 위해 한국에 계속...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 샘내고개 남쪽에서 발원하여 의정부시를 관류한 후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에서 한강에 합류하는 하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대부분의 조선 시대 지리지와 고지도 등에는 중량포(中梁浦)로 기록되어 있다. 이에 근거하여 당초 중량천이라 하였다가 뒤에 중랑천(中浪川)으로 고쳤다. 지역에 따라 서원천, 새내, 샛강, 한천(漢川), 속계(涑溪) 등...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중학교는 초등학교에서 배운 초등 보통 교육의 기초 위에 3년 동안 중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이다. 1951년 9월 1일을 기하여 6·3·3·4의 기간 학제에 따른 3년제 중학교가 제도적으로 확정되었고, 1969년부터 중학교 무시험 입학제가 실시되어 1971년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1980년 12월의 개정 헌법에서는 중학교 교육...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피혁 염료 제조업체. 진웅산업은 국제적 경쟁력 확보, 초일류 기업 지향, 고객 감동 경영 실현 등을 경영 방침으로 삼아 피혁 염료를 전문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0년 동두천시 동안동에서 김진웅이 피혁 염료 제조를 위해 회사를 열었으며, 1984년 현 위치인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로 공장을 이전하였다. 1989년 국산화 개발을 통한 수...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서 찢어지게 어렵다는 말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2005년 강진옥 등이 집필하고 박이정에서 간행한 『양주의 구비문학』2-자료편에 실려 있다. 「찢어지게 어렵다는 말의 유래」는 2004년 1월 15일 강진옥·조현설·김종군·김광욱·유호철 등이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김병옥[남, 74]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6·25 전쟁 당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섬유 날염 업체. 창진은 섬유 관련 모든 제품에 대한 날염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2년 당시 경기도 양주군 회천면 덕계리[현 양주시 덕계동]에 창진섬유를 설립하여, 손동후가 대표 이사로 취임하였다. 1992년 주식회사 창진섬유로 법인 전환하였다. 2010년 8월에 주식회사 창진으로 상호를 변경했으며, 약 200억 원을 투자하여 경기도 양...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우주 과학 교육 센터. 챌린저러닝센터는 우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에 대처하는 미션을 미리 수행해 봄으로써 승무원들이 실제적인 상황 대처 능력을 배양하고 지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우주 비행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있는 곳이다. 1986년 1월 28일 미국 우주 왕복선 챌린저호가 발사 73초 만에 1만 4,020m 상공에서 폭발...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석현리, 백석읍 복지리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챌봉 또는 채일봉이라고 불린다. 봉우리의 생김새가 마치 차일(遮日)을 친 것처럼 생겼다 해서 일부 기록에는 차일봉(遮日峰)으로 나와 있다. 산이 높아 해를 가리는 봉우리라는 의미에서 차일봉이라 부르다가 챌봉으로 변했다고 보는 설이 그럴듯하다. 그러나 원래 제일 높은 봉우리라 하여 제일봉이라고 불렀는데 미군이...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천도교 양주 지역 교구. 천도교의 조직은 지역 단위로 조직된 교구 조직이면서도 전도인(傳道人)과 수도인(受道人)의 인맥 관계로 연계되는 연원 조직의 성격을 지닌 이원적 구조를 갖고 있다. 천도교 양주교구는 양주, 의정부, 동두천을 포괄하여 지도하는 도정 김광욱이 있고 교구 조직은 교구장, 교화부장, 교무부장, 경리의 직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줄기차게 노력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 이웃과 함께하는 예절 바른 어린이, 새로운 생각으로 미래를 열어 가는 어린이, 즐거운 생활로 건강한 몸을 기르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을 가꾸어 가는 천보 어린이’이다. 1947년 3월 1일 덕정국민학교 옥정분교로 개교하였고, 1955년 4월 1일 천보국민학교로 승격하여...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과 동두천시 탑동동·송내동에 걸쳐 있는 산. 양주시에는 천보산(天寶山)이라는 이름을 가진 산이 여러 개이다. 첫째, 양주시 봉양동과 동두천시 탑동동·송내동의 경계에 있는 칠봉산의 다른 이름이 천보산이다. 둘째, 양주시 회암동의 회암사(檜巖寺)와 양주 회암사지를 중턱에 품고 있는 산도 천보산이다. 셋째, 의정부시 금오동과 양주시 마전동의 경계에도 천보산이 있다....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에 조성되어 있는 등산로. 천보산 등산로는 회암사로부터 천보산[423m] 정상까지의 등산로이다. 인위적으로 다듬은 코스는 아니며 조선 시대의 유명한 사찰 터인 양주 회암사지와 천보산을 하나의 코스로 설정하여 천보산 등산로로 구분하고 있다. 찾는 이들을 위해 안내판을 비롯한 등산에 편리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천보산에서 서북 방향으로 직선거리 약 4㎞ 어...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 있는 정보화마을.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는 농림부, 정보통신부 등과 함께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은 농촌, 어촌, 산촌 등 정보화 시대에 소외된 지역에 인터넷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전자 상거래 등 정보 콘텐츠를 구축하여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
-
경기도 양주시에서 철로 위에 차량을 운전하여 여객과 화물을 운송하는 설비 및 수송 체제. 양주시를 통과하는 철도 노선으로는 경원선과 교외선이 있다. 경원선은 서울 용산역에서 원산까지 이어지는 연장 223.7㎞의 철도이다. 1910년 10월에 착공하여 1914년 9월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11년 10월 용산역에서 의정부역까지, 이듬해에 연천까지, 그리고 1914년에 원산까지...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 천보산 북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양주시 회정동 지역에서 신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청담천(淸潭川)은 수량이 많아 곳곳에 맑은 소(沼)와 담(潭)을 많이 만들어 내서 생긴 이름이라 한다. 청담천은 신천의 지류이다. 신천은 한탄강의 지류이고, 한탄강은 임진강의 지류이다. 청담천은 이른바 천보산맥의 동북쪽에서 발원하여 합류점까지 북류한다. 청담천 연안에는 범람원과 낮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라벨 및 스티커 제조업체. 청아는 모든 종류의 라벨 및 스티커를 생산, 수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88년 당시 양주군 회천읍 덕계리 399-2번지[현 양주시 덕계동]에 신아상사의 계열사로 청아가 설립되었다. 1999년 ISO 9002 인증 획득과 함께 GAP의 공식 공급업자로 지정되었다. 후에 청아는 양주시 광적면 광적로 235-40[석우리...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민속 박물관. 청암민속박물관은 선조들의 삶의 자취와 흔적을 느낄 수 있고, 중장년층에게는 지나간 시간의 편린을 되새김할 수 있는 생활의 흔적들을 볼 수 있으며, 자라는 청소년들에게는 교육과 배움의 장이며 또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고, 느끼며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청암민속박물관은 생활에 지친 도시민들에게 쉼터로서 역할을 다하고 지나간 삶을 되...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던 자연 마을. ‘청풍(淸風)’은 바람이 많이 부는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청풍동의 형성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 제국 시기에는 양주군 어등산면 4리·5리, 이담면 송라리, 회암면 송현리 일부에 속한 지역이었다. 1914년 일제의 지방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양주군 회천면 봉양리 산18-15번지 일대가 되었다. 1985년 회천면이 회천읍으로...
-
경기도 양주시에서 신체를 단련하고 운동 능력을 기르는 일에 관련된 제반 활동 및 시설. 체육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신체적 활동, 특히 근육 활동을 통한 신체의 교육이며, 이를 수단으로 지(知)·정(情)·의(意) 및 신체 각 측면의 조화를 꾀하여 이상적으로 완성된 인격을 가진 인간을 만드는 교육적 작용이다. 교육에 있어 지(智)·덕(德)·체(體)의 겸비를 이상적으로 보는 것과 연관된다...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담당 기관. 초등학교는 국가에 따라 초등학교·보통학교·기초학교·소학교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교육 제도상 가장 먼저 취학하는 학교로서 국민 생활에 필요한 초보적인 일반 교육을 실시하는 곳이다. 근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국민 교육이 국가의 기본 기능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제도적 확립과 확충·강화책이 강구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48년 헌법...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에 열리는 달집태우기 행사. 달집태우기는 달집 사르기라고도 부른다. 매년 음력 정월 대보름날 농악대와 함께 망우리를 돌리며 달맞이를 할 때 주위를 밝게 하기 위해 아이들이 대나무로 기둥을 세우고 짚·솔가지·땔감 등으로 덮고 달이 뜨는 동쪽에 문을 내서 만든 것을 달집이라 한다. 달집 속에는 짚으로 달을 만들어 걸고 달이 뜰 때 풍물을...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 있는 정보화마을. 2001년부터 행정자치부[현 행정안전부]는 농림부, 정보통신부 등과 함께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을 추진하였다. 정보화마을 조성 사업은 농촌, 어촌, 산촌 등 정보화 시대에 소외된 지역에 인터넷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전자 상거래 등 정보 콘텐츠를 구축하여 정보 생활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수익 창출 구조를 만들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
-
경기도 양주시에서 이루어지는 가축 관련 산업. 축산업에는 좁은 뜻의 축산업과 넓은 뜻의 축산업이 있는데, 전자는 축산물을 생산하기까지를 말하고, 후자는 생산물은 물론 축산물을 가공 처리하여 유통할 때까지의 전 과정을 말한다. 양주시에서 많이 기르는 것은 닭, 돼지, 한육우, 젖소, 말, 산양 등이며, 이를 통해 축산 농가들은 많은 수익을 올리고 있다. 2009년 기준 양주시 내 가...
-
경기도 양주시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는 축제. 양주는 과거부터 서울과 인접하고 있어 문화적·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유형·무형의 놀이 문화를 전승·발전시켜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농 복합 도시로서 원주민과 이주민 간의 문화적 정체성이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양주의 축제는 원지역 주민이 중심이 된 전통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중점을 둔 축제와 이주민이 중심이 된 동호인과 시민들 간의 친목...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예절 바르며 따뜻한 품성을 지닌 어린이, 스스로 학습하며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 자신의 소질을 계발하고 꿈을 가꾸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1년 1월 5일 칠봉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 개교하였다. 같은 해 5월 31일 학교 신축 공사를 완료하였고, 6월 5일 개교...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과 동두천시 탑동동·송내동, 포천시 설운동에 걸쳐 있는 산. 양주시 봉양동의 내촌동 뒷산에서 보면 일곱 봉우리가 뚜렷하게 보인다 해서 칠봉산(七峰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옛날에는 특히 10~11월이면 단풍나무 사이로 기암괴석이 펼쳐진 모습이 한 폭의 비단 병풍과 같다고 하여 금병산(錦屛山)으로도 불렀다. 조선 시대에는 어등산(於等山) 또는 어등산(於登山...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칠봉산의 상봉을 중심으로 조성된 등산로. 칠봉산[406.1m]은 양주시의 대표적인 명산으로, 일곱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칠봉산(七峰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칠봉(七峰)은 구체적으로 발리봉·응봉[매봉]·깃대봉·석봉·투구봉·돌봉[칠봉산 정상]·솔리봉이다. 조선 시대에는 임금의 강무장(講武場)으로 이용되었으며 이웃에 천보산과 양주 회암사지가 있어 역사...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는 전자저울 제조회사. 카스는 다양한 전자저울을 중심으로 산업용, 상업용, 계량 시스템의 표준을 선도해 가는 대한민국 기업이다. “We Weigh the world”라는 슬로건으로 1983년 창립한 이래 각국의 기술적 문화적 특성을 뛰어 넘어 주요 계량 규격을 획득하고 해외 10개의 현지 법인을 통해 전 세계 113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19...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농촌 체험 농장. 농촌 지역은 농산물 수입 개방과 전체적인 경기 불황으로 인한 인구 감소 및 노령화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 농촌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친환경 농업과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 및 농촌 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각도에서 농촌 개발이 조명되고 있다. 농촌 체험 농장 또한 농촌 경제를...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와 은현면 도하리·운암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1869년(고종 6)에 공주에 있던 숙종(肅宗)의 태를 이곳으로 옮겨와 묻은 뒤로 태봉이 되었다고 한다. 그 이후로 마을 사람들은 태봉을 소중하게 여겼다. 태봉 동쪽으로 2㎞ 지점에 신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있다. 건너편에는 남북 방향으로 신천을 따라가며 동두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태봉의 동북쪽...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과 산북동의 경계에 걸쳐 있는 산. 마치 투구를 엎어놓은 것처럼 생겼다 하여 투구봉이라고 불린다. 칠봉산에도 투구봉이라는 산봉우리가 있어 등산객들이 혼란스러워 한다. 투구봉은 양주시의 진산인 불곡산[468.7m]과 나란히 있다. 천보산맥 줄기와 한북정맥이 도봉산으로 이어진다. 산이 낮고 완만한 편이지만 사방으로 탁 트인 전망이 좋으며 도봉산의 연봉과 북한산과 수...
-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에 있는 천연 염색 및 도자기 체험 농장. 경기도 파주시에서 도자기 카페를 운영하던 김진덕과 부인 임승옥이 고향인 양주시에서 문화 사업을 펼치기 위해 2001년 어둔동에 천연 염색 및 도자기 등의 체험 학습을 할 수 있는 테마 농원을 열었다. 농장의 이름은 강렬한 이미지와 느낌을 주기 위해 호메로스(Homeros)가 지었다고 하는 영웅 서사시(敍事詩) 「일리아드...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특색 있는 물품. 특산물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과 차별되는 크기나 품질, 맛, 향기 등을 갖고 있는 생산물을 말하는데, 그 종류로는 곡물류·과물류·채소류·화초류·조수류(鳥獸類)·어패류(魚貝類)·약재류·광물류·공예품류 등이 있다. 지방 자치제가 시행되면서 지방 자치 단체에서는 지역 주민의 경제 활력과 수입을 증대시키기 위해 지방 특산물을 연구개발하기 시작...
-
경기도 양주시에서 특수한 교육적 요구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교육 일반이라는 보편성은 물론 특수 아동 및 청소년이 가진 특수성을 고려하여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교육시켜 이들이 각자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사회생활에 기여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 특수 교육의 목적이다. 양주 지역의 특수 교육은 경기도 동두천양주...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와 백석읍 홍죽리 및 파주시 광탄면 기산리에 걸쳐 있는 산. 여덟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산을 통해 해를 맞는다 하여 팔일봉(八日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전해 온다. 또 다른 이야기로는 조선 21대 왕인 영조(英祖)와 생모 최씨에 관련된 이름이라는 이야기도 전해 온다. 영조의 생모 최씨는 무수리였는데, 최씨가 죽자 아들 영조는 살아서 천대를...
-
경기도 양주시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학교 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 양주시의 평생 교육은 크게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 교육과 지방 자치 단체에서 실시하는 평생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학교의 평생 교육은 기존의 학교 시설을 이용하여 주민을 위시하여 학생과 교사를 위해 마련한 여러 교육 활동을 의미하고, 지방 자치 단체의 평생 교육은 양주시 평생학습센터와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에 있는 조명 전문업체. 필룩스는 국내 조명, 부품 소재 산업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감성적인 조명 제품을 생산하여 인류의 미래를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설립되었다. 1975년에 보암전기전자연구소로 설립되었다. 1978년 Ni-Zn Ferrite Core의 개발에 성공했으며, 1979년 고주파 인덕터(Inductor)를 생산하기 시작하였다. 1988년 기업...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에 속하는 법정리. 하패리(下牌里)라는 땅 이름은 고려 시대의 은현면 지역, 즉 사천현(沙川縣)에서 아래쪽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하패리는 적어도 대한 제국 시기부터 이곳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사용되었다. 이곳은 1914년 이전까지는 현내면 하패리와 이담면 송라리에 속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두 지역에서 일부를 떼어 내어...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 있는 두 그루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은행나무는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높이는 40m까지 자라며, 잎은 부채 모양으로 한 군데서 여러 개가 난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고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은행이며,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하패리...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가업리, 장흥면 부곡리에 걸쳐 있는 산봉우리. 맑은 날 올라 남쪽을 내려다보면 한강이 보인다 하여 한강봉(漢江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산 정상에 오르면 한강이 내려다보인다. 또한 이 봉우리에 비가 내려 빗물이 남쪽으로 흐르면 한강으로 들어가고 북으로 흐르면 신천과 덕계천을 흘러내려가 임진강이 된다 해서 한강봉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도 한다...
-
경기도 양주시를 관할하는 한국농어촌공사 경기지역본부의 지사.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는 관할 지역의 경제 활성화, 농어업 경쟁력 강화 및 지속적인 발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한국농어촌공사 파주지사는 경기도 양주시를 비롯한 파주시·고양시·동두천시·연천군 등의 물 관리 및 시설 개보수 사업과 공사 시행 사업, 양주시를 비롯한 경기도 북부 지역의 시·군 수탁 사업 등을 시행하고 있다....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한국문인협회 산하 양주 지역 지부. 경기도 양주시는 김삿갓을 비롯한 많은 문인을 배출한 고장 중 하나이며 지금도 많은 문인이 창작 활동을 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설립된 한국문인협회 양주지부는 시, 소설, 수필 부분을 중심으로 순수 문학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동인지로 『양주 김삿갓 문학』을 매년 발간해 오고 있다. 한국문인협회 양주지부...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KBS의 방송망 관리 중계소. 라디오 및 TV 중계소를 두는 이유는 산악 지형이 많은 우리나라 지형과도 관련이 있다. 방송국에서는 지방에 중계 지점을 정하고 중계소를 설립하여 더 선명한 라디오 및 TV 방송을 송출하고자 한다. 한국방송공사 방송망관리국 양주중계소는 한국방송공사 뉴미디어·테크놀로지본부 네트워크관리국에 속해 있다. 한국방송공사 방송망관리국...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한국보육원은 원불교 재단인 창필재단의 허가로 설립되어 60년이 넘는 세월 동안 3,000여 명의 4세~18세 무의무탁한 원생들을 맡아 교육하고 직업을 갖도록 도와 온 양육 시설이다. 한국보육원은 원불교 기본 이념인 무자력자 보호의 정신에 입각하여 4세부터 18세까지의 부모 없는 아동들과 결손 가정의 아이들이 자유로운 환경 속에...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섬유 소재 연구소. 한국섬유소재연구원은 국내 섬유 산업 기술의 기술 경쟁력 강화라는 목표 아래 섬유 산업의 미래를 선도하는 국내 최고의 섬유 소재 종합 연구 기관이다. 연구원의 전문화, 성과 중심 조직, 효율적인 연구 기반, 기술 개발 체계화, 서비스 우선 정신, 창의적 직장 문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 기관으로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 검준...
-
경기도 양주시 남방동에 있는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산하 양주 지역 지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는 1961년 12월 건축가협회·국악협회·무용협회·문인협회·미술협회·사진작가협회·연예협회·영화인협회·음악협회 등이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결성을 위한 창립 준비 위원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초대 회장으로 유치진(柳致眞)을 선출하였다. 양주 지역 예술인들은 지역 예술 문화 발전과 예술...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사립 특성화 고등학교. 창의적 인재, 미래 사회의 주인공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서로 돕고 사랑하며 예의 바르게’이다. 1955년 3월 29일 이사장 정병국을 중심으로 설립된 재단법인 남문학원에 의하여 1961년 3월 31일 당시 양주군 최초의 고등학교인 남문농업고등학교로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이후 1979년 11월 20일 남...
-
경기도 양주시 어둔동에 있는 청소년 수련원. 한마음청소년수련원은 천주교 의정부교구에서 운영하는 수련 시설로서 고요한 산속에 위치하여 자연과 함께 할 수 있는 최고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한마음청소년수련원은 도심의 복잡함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과 청소년이 자연 속에서 수련하며 몸과 마음을 다스려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1984년 경기도 양주시 어둔...
-
경기도 양주시를 포함하는 경기 북부 5개 권역을 대상으로 발행하는 지역 신문. 『한북신문』은 1988년 민주화 선언으로 신문 간행 규정이 해제되자 1989년 9월 25일 문화공보부에 등록 신청하여 경기 북부의 지역 뉴스의 선두 주자로 출발하였다. 현재 경기도의 정책을 알리는 것은 물론 양주시, 의정부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의 시정(市政) 방향과 성과 및 시민의 소리를 다루는...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한산리(閑山里)라는 땅 이름은 마을이 한가한 뱀의 꼬리 모양[한사미(閑蛇尾)]을 닮아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혹은 앞산이 한새[황새]처럼 생겨 한새미·한사미·한산이라 불리었다고도 한다. 이 마을에 한산거사(閑山居士)가 살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한산리라는 땅 이름은 18세기 후반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호구총수(戶口總數)』에서는 적성...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 있는 일곱 그루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느티나무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은행나뭇과의 낙엽 교목으로, 잎은 부채 모양이며 한군데에서 여러 개의 잎이 난다. 높이는 40m까지 자란다. 암수딴그루로 5월에 꽃이 피는데, 암꽃은 녹색이며 수꽃은 연한 노란색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10월에 노랗게 익는다. 한산리 은행...
-
경기도 양주시 양주시청에서 발행하는 시정 소식지. 21세기로 접어들면서 교통 통신망의 구축과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은 현대인들의 생활을 크게 바꾸었다. 정보의 바다가 열린 동시에 실시간 쌍방향 소통도 가능해졌다. 더구나 시민 사회가 성숙해지면서 지역 사회에서 자발적인 참여가 늘어났다. 양주시에서도 시정을 시민들에게 알림과 동시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시민을 위한 올바른 시정을...
-
경기도 양주시에서 홍보하고 있는 관광 서비스. 함께 그린(Green) 양주 투어란 양주의 문화 유적지와 체험 학습장, 장흥 문화 예술 특구를 관광객들이 보다 저렴하고 편리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경기도 양주시에서 홍보하고 있는 관광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정기 투어와 일반 투어로 나누어 시행되고 있는 양주 시티 투어는 양주의 역사가 숨 쉬고 있는 문화 도시의 면모를 갖추고 있는 양...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있는 장애인 지역 사회 재활 시설. 함께랑은 지적 장애인들을 위하여 설립된 지역 사회 거주 시설이다. 시설에 입주한 장애인들은 공동생활을 통해 일상생활의 기술과 지역 사회의 적응력을 기르는 훈련을 하고 있다. 함께랑은 지적 장애인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 적응력을 길러주고 지역 사회로의 통합을 도모하며, 공동생활 가정이라는...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에 있는 도자기 체험 학습장. 행원도예(行圓陶藝)는 도자기 제작 도예원으로, 아이들의 동심을 자극하고 어른들의 순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정신 수양의 장으로 도자기 체험 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1990년 3월 1일에 창립했으며 1998년 10월 1일부터 도예가 이창걸, 김선희 부부가 행원도예 체험 학습관을 개관하고 도자기 체험 학습을 실시하고 있다. 20...
-
경기도 양주시 지방 자치 단체의 제반 활동. 행정은 실질적인 의미에서 국가 작용 중 입법 작용과 사법 작용을 제외한 것을 말하며, 형식적인 의미에서는 행정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용 전체를 말한다. 입법권, 사법권과 대등한 통치권의 하나로서 행정을 행하는 권능을 행정권이라 한다. 양주시가 공익상 필요한 결과를 실현할 목적으로 행하는 기술적·정신적·법률적 사무 전체라고 볼 수 있으며,...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황방리에 있는 허브 농장. 음악가였던 최혜경이 우리나라에 허브를 도입하고 개척한 그의 아버지 최영전 박사의 뜻을 이어받아 2002년에 착공하여 2007년 자연 정원인 허브힐을 완공, 개관하였다. 2009년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고 지원을 받아 농촌 체험 교육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하우스 온실과 허브 육종과 관련된 각종 부대시설이 마련되었다....
-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한국사 속에서 전개된 경기도 양주 지역의 역사. 역사는 기본적으로 사회 구조와 계층, 생산력 등을 바탕으로 시대 구분을 하며 그에 따라 고대나 중세, 근세, 근대, 현대 등의 구분을 하기 마련이다. 시대 구분을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시대의 전환점, 즉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를 제시할 필요가 있게 된다. 그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사에서 특히 남한 학...
-
경기도 양주시 마전동에 있는 현충탑(顯忠塔). 현충탑은 6·25 전쟁 참전 등 조국 수호와 국토방위를 위해 공헌하거나 장렬히 산화한 호국 영령들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 주민들의 호국 보훈 정신 함양에 기여하며, 더불어 민(民)·관(官)·군(軍)의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기 위해 2001년 12월에 건립되었다. 현충탑은 양주시청 북쪽에 위치한 테니스장 옆에 자리하고 있다. 천지인(...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와 파주시 광탄면의 경계 지역에 있는 산봉우리. 개명산과 나란히 서 있는 봉우리라 형제봉(兄弟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개명산은 북쪽에 있고, 형제봉은 남쪽에 있다. 그러나 형제봉이라는 이름이 옛날 이 일대에 살았던 의좋은 형제에서 비롯되었다는 전설도 있다. 옛날 이 봉우리 양쪽에 있는 돌고개와 자그나골에 의좋은 형제가 살았는데, 이 봉우리를 지나...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 남쪽 지역과 방성리 및 어둔동 일대에 걸쳐 있는 산. 산에 바위가 많으며 범[호랑이]이 많이 울어 대던 산이라 해서 범울산이라 부르다가 호명산(虎鳴山)으로 굳어졌다. 옛날에는 각종 산짐승이 많이 살았으며 특히 호랑이가 밤마다 사납게 울어 대어 사람들이 잠을 못 이룰 정도였다고 한다. 조선 세조대에 김질이 녹양평 일대[현재 양주시 어둔동, 의정부 일대]에...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사회 복지 시설. 호산나의 집은 30명 미만의 장애인들을 수용하여 생활과 자립을 돕고 있는 중증 장애인 요양 시설이다. 호산나의 집은 장애인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행복을 추구하며 그들이 사회와 함께하는 참여 복지를 성취하고 교육과 재활 훈련을 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0년 1월 1일 설립되었으며 20...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에 있는 자연 마을. 홍복(洪福)은 큰 복을 받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895년 일본이 제작한 군사 지도[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에 홍북(弘北)이라고 나와 있으나, 일제 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舊韓國地方行政區域名稱一覽)』[1912]에는 백석면의 홍복리(弘福里)로 소개되어 있다. 홍복이라는 명칭은 2011년 현재도 사용되고 있...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과 어둔동 및 의정부시 녹양동 일대에 걸쳐 있는 산. 홍복산(弘福山)과 관련하여 여러 설화가 전해 오고 있다. 먼저 서울의 주산이 되어 백성들의 복을 누리게 하는 산이라는 데서 홍복산이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이 외에 종루(鐘樓)처럼 생겨서 온 겨레를 깨우치는 산이라는 이야기나 부처 모양으로 생겨서 산이 보이는 지역에서 문장가나 명필가가 많이 난다는...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홍죽리에 조성된 일반 산업 단지. 일반 산업 단지는 산업의 적정한 지방 분산을 촉진하고 지역 경제의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되는 산업 단지로, 시·도지사 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장이 지정한다. 홍죽일반산업단지는 2006년 3월 20일 산업 단지 공업 물량을 확보하여 2008년 3월 31일 경기도 제2청사 고시 제2008-5050호에 의해 산업 단지 지정 고시가...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속하는 법정리. 홍죽리(弘竹里)라는 땅 이름은 홍동리(弘洞里)와 천죽리(川竹里)에서 ‘홍’자와 ‘죽’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홍동리라는 땅 이름은 큰 마을이라는 뜻을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생겼고, 천죽리라는 땅 이름은 마을을 흐르는 시냇가에 있었던 대나무와 관련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홍죽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의 행정 구역 개편 이후 처음...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관광농원. 삶의 질이 향상되었지만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흙과 농사는 사람들에게서 멀어져갔다. 이에 따라 자급적 먹거리 마련과 아이들을 위한 농사 및 전통 놀이 체험 등을 통해 자연의 모습을 가진 시골과 가까워지기 위한 노력이 일어나게 되었다. 나아가 자연의 풍취를 느끼며 휴식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찾기에 이르렀다. 이런 면에서 홍화농원은 옛날 시...
-
경기도 양주시에서 생산되는 화훼. 경기도 양주시에는 양주화훼단지를 비롯해 양주화원, 늘봄화원 등 대략 100여 개가 넘는 화훼 업체가 있다. 양주 지역에서 재배되는 화훼는 시설 재배지의 환경을 개선하여 작목에 맞는 최적의 환경에서 꽃을 재배하여 꽃 색깔이 밝고 진하며, 잎과 줄기가 튼튼하여 병충해가 적다는 특징이 있다. 주로 생산되는 작물은 장미, 시클라멘, 심비디움, 호접란, 글...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환경실천연합회 산하 양주 지역 지회. 환경실천연합회 양주지회는 환경 보호 실천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양주 주민이 주축이 되어 “맑은 물 맑은 공기 깨끗한 환경”을 회훈으로 환경 사랑 실천과 함께 생태계 파괴 및 환경오염을 감시하고, 환경 현실의 실태 파악 및 환경 계몽 교육 홍보 사업 등을 통해 환경 개선에 전력하여 건강한 자연 생태계를 보존 발전...
-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황방리(篁芳里)라는 땅 이름은 원래 감악산 아래 대나무가 무성하였고 그 모습이 흡사 꽃과 같아 황방·황뱅이·황방동이라 한 데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기록에 적혀 있는 황방리의 한자를 통해서 볼 때에는, 감악산 남쪽에 위치한 이곳에 무수히 많은 골짜기가 있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추측된다. 1914년 이전에는 적성 무녀촌이라고...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에서 우고리로 넘어가는 고개. 황새등고개는 황새들이 많이 있는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이곳에 아름드리 소나무가 있어 황새들의 서식처가 되었다고 한다. 일설에는 황새 등처럼 쉽게 넘어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물안재고개라고도 한다. 황새등고개는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 음지말에서 우고리 한걸음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조선 정종의 15남인...
-
경기도 양주시 만송동에 있는 자연 마을. 회만동(回晩洞)은 회만이를 한자로 바꾼 이름이다. 마을 중앙에 야산이 자리 잡고 있어, 한 동네에서 다른 동네를 갈 때 돌아서 가는 곳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일설에는 신라와 당나라의 싸움이 벌어진 매초성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가 대패하고 말을 돌린 곳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일제초기의 문헌인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
-
경기도 양주시 회천4동에 속하는 법정동. 회암동(檜岩洞)의 옛 이름인 회암리의 땅 이름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옛 회암면 지역에 회암사(檜巖寺)가 있어 회암골·회암동·회암으로 불렸다는 설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문헌에 따르면 ‘회암’이라는 땅 이름은 회암사라는 사찰의 이름에서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회암사의 창건 시기가 분명하지 않아 연대를 확정하기 힘들다. 다만 적어...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서 전통적으로 재배되는 토종 부추. 양주의 회암동 솔부추는 양주시 회암동 일대에서 자생하던 부추였다. 지역 농민들의 말에 따르면 30여 년 전 개울의 둑에서 자라는 자생 부추를 캐어 와서 재배한 것이 시초였다고 한다. 칼슘·철분·비타민 등의 영양 성분이 일반 재래 부추보다 뛰어나다 하여 한때 영양(營養) 부추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영양(英陽)이라는 지명 때문...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서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으로 넘어가는 고개. 회암령은 회암사(檜巖寺) 인근에 있는 고개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회암사는 고려 후기에 건립된 절로 지공선사·나옹선사·무학대사의 부도(浮屠)와 비가 있어 유명하다. 회암령이라는 이름은 19세기 중반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1861]에서 확인된다. 일명 투바위고개라고도 불린다. ‘투바위’는 6·25 전쟁 후 미...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 있는 박물관. 양주시에서 회암사지를 경기 북부 최고의 관광지와 역사 교육의 장으로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종합 정비 계획을 수립하여 연차적으로 회암사지 발굴 조사, 유적 및 단지 정비 등 회암사지 종합 정비 계획[총 사업비 580억 원] 중 하나로 2012년 10월 19일 회암사지 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총 사업비는 127억 원이 투입되었다. 회암사지 종합 정비...
-
경기도 양주시 율정동에서 발원하여 회암동을 지나 봉양동에서 청담천에 합류하는 하천. 회암동에 있는 회암사(檜巖寺)의 이름을 따서 회암천(檜岩川)으로 불린 듯하다. 회암동의 이전 명칭인 회암리도 회암사가 있어서 회암골·회암동·회암으로 불리다가 정착된 것이다. 회암사의 창건 시기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최소한 고려 후기로 추정된다. 회암천은 공식적으로 청담천의 지류로 분류된다. 그런데 회...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회정1리 평촌 산신제는 매년 음력 11월 초순[5일 이내] 과거 양주군 회천읍 회정1리[현 양주시 회정동] 평촌마을로부터 약 1.5㎞ 떨어진 과골안 산등성이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년을 기원하며 마을 공동으로 지내는 제사이다. 회정1리는 벌말과 과골, 새골 등 세 개의 자연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예전에는 이...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을 배려할 줄 아는 민주인, 스스로 공부하며 개성을 키우는 개성인, 꾸준히 소질을 키워 가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고운 마음, 바른 행동, 미래의 꿈’이다. 1999년 12월 6일 회정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2001년 9월 1일 8학급 2,007명으로 개교하였다. 2003...
-
경기도 양주시 회천2동에 속하는 법정동. 회정동(檜亭洞)의 옛 이름인 회정리라는 땅 이름은 과회리(寡悔里)에서 ‘회’자와 덕정리(德亭里)에서 ‘정’자를 따서 만들었다. 과회리는 과일나무가 많았던 과골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덕정리는 독을 굽던 사람들이 살아서 붙여진 이름 혹은 덕을 숭상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정자가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회정리라는 땅 이름은 일제 초기의 문헌에...
-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에 있는 수령 약 350년의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양주시의 보호수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느티나무는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는 20~30m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꼴이며, 잎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굵은 가지가 갈라지고 회갈색의 나무껍질이 비늘처럼 갈라진다. 5월에 푸른색을 띤 누런 꽃이 피고, 열매는 작고 동글납작한...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예의 바르고 시민 의식이 투철한 도덕인, 근면 성실한 지성인,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탐구하는 창조인, 심신이 건강한 건강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이다. 2005년 12월 26일 회천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2006년 3월 1일 입학생 231명[6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06년 3월 1일 초대 신현우 교장이 취임하...
-
경기도 양주시 고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즐겁게 생활하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예의 바른 어린이,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꿈은 크게, 행동은 바르게’이다. 2002년 9월 1일 19학급을 편성하여 회천초등학교로 개교하였으며, 초대 도기종 교장이 취임하였다. 2004년 3월 1일 제2대 조용...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회천 1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 남면, 광적면, 장흥면], 6개 행정동[양주 1동, 양주 2동, 회천 1동, 회천 2동, 회천 3동, 회천 4동] 중 회천 1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회천 1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양주시 회천 1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 있는 회천 2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 남면, 광적면, 장흥면], 6개 행정동[양주 1동, 양주 2동, 회천 1동, 회천 2동, 회천 3동, 회천 4동] 중 회천 2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회천 2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양주시 회천 2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
-
경기도 양주시 덕정동에 있는 회천 3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 남면, 광적면, 장흥면], 6개 행정동[양주 1동, 양주 2동, 회천 1동, 회천 2동, 회천 3동, 회천 4동] 중 회천 3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회천 3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양주시 회천 3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에 있는 회천 4동 관할 행정 기관. 경기도 양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백석읍], 4개 면[은현면, 남면, 광적면, 장흥면], 6개 행정동[양주 1동, 양주 2동, 회천 1동, 회천 2동, 회천 3동, 회천 4동] 중 회천 4동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회천 4동 주민 센터는 경기도 양주시 회천 4동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
-
1985년부터 2003년까지 경기도 양주 지역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회천읍(檜泉邑)은 회천면에서 왔으며, 회천면은 천천면·어등산면·회암면 등이 합쳐질 때 회암면의 ‘회(檜)’자와 천천면의 ‘천(泉)’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삼한 시대 마한에 속하던 지역으로 475년 고구려 매성현에 속하였다가 757년 통일 신라 내소군에 속하게 되었다. 940년 고려 견주에 속하였다가 983년...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 득성마을에 있는 관광농원. 효미원 전통체험장이 자리한 곳은 마을의 지형이 호리병처럼 생긴 득성(得聖)이란 곳이다. ‘득성’이란 ‘성인이 나오는 마을’이란 뜻으로 살고 있는 여섯 집이 모두 여산 송씨인 씨족 공동체이다. 고려 말부터 600여 년을 한 곳을 지키며 살고 있는 여산 송씨 13대 종갓집 며느리 이영순은 시아버지 송수근으로부터 전통장과 전통술 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와 남면 두곡리·구암리에 있는 저수지. 경기도 양주시에서 제일 큰 저수지로 효촌지 또는 두곡지라고도 하며, 노고산[401m] 바로 아래 북쪽 기슭에서 내려오는 비암천과 광적면 효촌리에서 흘러내리는 효촌천의 상류 계곡 물을 막아 만든 저수지이다. 효촌리는 저수지의 상류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혜택이 적으며, 남면 두곡리, 경신리, 상수리 지역을 관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이웃과 더불어 사는 도덕인, 늘 생각하며 문제를 찾아 해결하는 창조인,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씩씩한 건강인, 스스로 즐겁게 공부하는 자주인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1937년 7월 1일 가납공립보통학교 부설 효촌간이학교로 설립되었다. 이후 1944년 4월 1일 가납국민학교 효촌분교장으로 승격되었고, 1958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에 속하는 법정리. 효촌리(孝村里)라는 땅 이름은 효가동(孝佳洞)에서 ‘효’자와 회촌리(檜村里)에서 ‘촌’자를 한자씩 따서 만들어졌다. 효가동은 옛날 효자가 있었던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회촌리는 전나무 숲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한다. 효촌리라는 땅 이름은 1914년 일제에 의한 행정 구역 개편 이후 처음 문헌에 등장한다. 이곳은 대한 제국 시기까...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발원하여 남면 두곡리와 상수리를 지나 신천으로 흘러드는 하천. 발원지인 효촌리의 이름을 따서 효촌천(孝村川)이 되었다. 효촌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당시 석적면 효가동의 ‘효’자와 회촌리의 ‘촌’자를 조합하여 만든 이름이다. 효촌천은 파주시 법원읍과의 경계에 있는 노고산[401m]의 북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남면 두곡리·...
-
장흥관광지는 서울의 북서쪽 약 17㎞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의정부시, 서쪽으로 고양시, 파주시와 인접하고 있다.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연결되면서 서울과 더욱 가까워졌다. 잠깐 마실 나왔다가 차 한 잔의 대화를 나누고 귀가해도 충분해질 만큼이나 가깝다. 여유가 있다면 북한산 국립공원의 산과 계곡, 아름다운 예술 문화를 즐길 수 있는 1일 휴양지로 찾을 수 있다. 양주시...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던 다리 또는 그 다리가 있던 자연 마을. 신산리를 관통하는 시내인 입암천(立巖川)을 건너기 위해 흙으로 다리를 만들었는데 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마을과 장이 형성되어 마을 이름을 흙다리, 시장 이름을 토교장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한편 일설에는 구 남면사무소 부근의 길 양쪽에 집이 들어선 모습이 마치 장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한다. 원래 흙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