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0899
한자 永川李氏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집필자 전민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경주시 일대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대구광역시 일대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함경남도 신흥군 영고면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강원도 평창군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돌목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포항시 장기면 일대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의성군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대구광역시 군위군 일대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북 안동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매호리 지도보기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가질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면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강원도 삼척
세거|집성지 영천 이씨 - 경산 하양
성씨 시조 이문한

[정의]

경상북도 영천을 관향으로 하며, 이문한(李文漢)을 시조로 하는 성씨.

[연원]

영천 이씨(永川李氏)는 알평공계(謁平公系) 이씨에서 분종된 것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문헌상 기록을 찾지 못하여, 고려 초기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내고 고울군(高鬱君)[영천의 옛 이름]에 봉해진 이문한을 시조로 하여 10개 파로 나누어 세계(世系)를 이어오고 있다.

분파를 살펴보면 서승공파(署丞公派)는 영천 이씨 장파(長派)로 파조(派祖)는 고려 때 선관서승(膳官署丞) 이약(李約), 판서공파(判書公派)의 파조(派祖)는 공조판서(工曹判書) 이백(李伯),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의 파조(派祖)는 고려 때 상장군 이수춘(李守椿), 남곡공파(南谷公派)의 파조(派祖)는 용인(龍仁)의 남곡(南谷)으로 물러난 충정공(忠貞公) 이석지(李釋之), 영동정공파(領同正公派)의 파조(派祖)는 고려 때 영동정(領同正) 이박이다.

소윤공파(少尹公派)의 파조(派祖)는 고려 때 군기시소윤(軍器寺小尹) 이헌(李軒), 울산군파(鬱山君派)의 파조(派祖)는 원나라에 들어가 벼슬이 봉승랑(奉承郞) 겸 권농방어사(勸農防禦使)에 이르고 자금어대(紫金魚帶)를 하사받고 고려로 돌아와 지울주사(知蔚州事)가 되어 울산군(鬱山君)에 봉군된 이중영(李仲榮), 감사공파(監司公派)의 파조(派祖)는 고려 때 경상감사 이은(李殷), 소감공파(少監公派)의 파조(派祖)는 고려 때 소감(少監) 이백고(李伯古), 생원공파(生員公派)의 파조(派祖)는 생원(生員) 이안방(李安邦)이다.

[현황]

입향 이후의 인물을 향지(鄕誌)인 『영양지(永陽誌)』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면, 시조인 이문한(李文漢)을 비롯하여 익양군(益陽君) 이극인(李克仁), 상장군(上將軍) 이수춘(李守椿), 영양군(永陽君) 이대영(李大榮), 전공판서(典工判書) 이득분(李得芬), 선공서승(繕工署丞) 이약(李約), 영양군(永陽君) 이호(李瑚), 보승장군(保勝將軍) 이문경(李文卿), 문하시랑(門下侍郞) 이송계(李松桂),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송현(李松賢), 중랑장(中郞將) 이윤무(李允茂), 추봉(追封) 판도판서(版圖判書) 이흡(李洽), 소감(少監) 이백고(李伯古), 판도판서(版圖判書) 이석지(李釋之), 밀직부사(密直副使) 이자용(李子庸), 판서(判書) 이후룡(李厚龍), 병조참의(兵曹參議) 이선(李宣), 경상도도찰사(慶尙道都察使) 이은(李殷), 공조판서(工曹判書) 이응(李膺), 영중추원사(領中樞院事) 이순몽(李順蒙), 문과(文科)로 전랑(銓郞)을 지낸 이안유(李安柔), 문과(文科)로 현감(縣監)을 지낸 이종양(李宗讓), 문과(文科)로 우찬성(右贊成)에 이른 이종손(李終孫), 충장(忠莊)의 시호를 받은 이보흠(李甫欽), 문과(文科)로 대사간(大司諫)에 이른 이종검(李宗儉), 문과(文科)로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인 이추(李樞), 부장(部將) 이부(李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수천(李壽千), 문과(文科)로 참의(參議)인 이사옥(李思沃),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이은해(李銀海), 임란의 공훈으로 증(贈) 한성부판관(漢城府判官)인 이영근(李榮根), 달성판관(達城判官) 이안방(李安邦), 상호군(上護軍) 이진손(李振孫), 예빈시주부(禮賓寺主簿) 이응삼(李應參), 무과(武科)로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 이온(李馧), 도사(都事) 이상옥(李相玉), 증(贈) 공조참의(工曹參議) 이희절(李希節),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시삼(李時參), 증(贈) 공조참의(工曹參議) 이용운(李龍雲), 증(贈) 공조참의(工曹參議) 이덕구(李德龜), 수직(壽職)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이명신(李命新),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성화(李聖化),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봉담(李鳳潭),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이효징(李孝徵),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덕륭(李德隆),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달양(李達陽),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우천(李羽天), 참봉(參奉) 이영엽(李榮葉), 절충장군(折衝將軍) 이인주(李寅柱), 참봉(參奉) 이근채(李根埰), 찰방(察訪) 이현생(李現生),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 이석채(李錫埰), 종사랑(從仕郞) 이시협(李時莢), 참봉(參奉) 이성수(李聖洙), 호군(護軍) 이덕망(李德望), 참봉(參奉) 이한연(李漢淵), 감찰(監察) 이태호(李泰浩), 부사과(副司果) 이봉조(李鳳朝), 주사(主事) 이태규(李泰圭), 참봉(參奉) 이인호(李寅浩),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우정(李佑禎),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인혼(李寅渾), 참봉(參奉) 이성록(李成祿), 참봉(參奉) 이희계(李羲啓)가 있으며, 울산군파(鬱山君派)는 따로 표기 되어 있으니, 울산군(鬱山君) 이중영(李仲榮), 문과(文科)로 우부승지(右副承旨)인 이승길(李承吉), 한림(翰林) 이수명(李受明), 영동정(令同正) 이손(李遜), 문과(文科)로 습독(習讀)인 이웅(李雄), 문과(文科)로 이조정랑(吏曹正郞)인 이호(李豪), 장사랑(將仕郞) 이염(李濂), 무과(武科)에 급제한 이경천(李敬天), 판관(判官) 이효남(李孝男), 부호군(副護軍) 이종신(李宗信), 직장(直長) 이운(李雲) 등이 있다.

서승공파(署丞公派)는 경상북도 경주와 대구광역시 일대에 집성촌이 있으며, 판서공파(判書公派)는 함경남도 신흥군 영고면과 강원도 평창에 집성촌이 있다.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는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양항리 돌목,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금척리, 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과 장기면 일대에 집성촌이 있으며, 남곡공파(南谷公派)의 자손은 10파 문중에서 가장 많으며 전국의 40여 곳에 집성촌이 있다.

영동정공파(領同正公派)는 경상북도 의성과 대구광역시 군위 지역 일대에 집성촌이 있으며, 소윤공파(少尹公派)는 경북 안동과 영남 일대에 집성촌이 있다. 울산군파(鬱山君派)는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매호리 우내,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가질,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면과 강원도 삼척에 집성촌이 있으며, 감사공파(監司公派)는 경상북도 경주와 울산광역시에 많이 살고 있으나 수효는 적은 편이다.

소감공파(少監公派)는 경상북도 영천을 비롯하여 영남 일대에 집성촌이 있으며, 생원공파(生員公派)는 경산 하양에 집성촌이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영천시 오미동에 시조인 이문한·이극인·이대영을 제향하는 석현재사(石峴齋舍)와 시조공 단소(壇所) 및 이지형·이석봉의 묘재인 자계정(紫溪亭)이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쌍계동에는 이석지(李釋之)·이안유(李安柔)·이영근(李永根)을 제향하는 구인사(求仁祠)와 이영근(李榮根)의 쌍전당(雙全堂) 그리고 열녀 학생 이수징(李洙徵)의 처 박씨지려가 있다.

영천시 임고면에는 양항리이수춘의 고려평장사영천이공유허비(高麗平章事永川李公遺墟碑)와 이감(李敢)의 문한당(文閒堂)·효자각, 이부(李桴)와 그의 아들인 이안국(李安國)·이안방(李安邦)·이안우(李安雨) 등 4부자의 묘재인 도일재(道日齋)가 있으며, 덕연리에는 이보흠의 대전정사(大田精舍)가 있고, 매호리이중영모원당(慕遠堂)·운천서사(雲川書社) 유허비, 이감심곡재(心谷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자양면에는 성곡리에 이시삼(李時參)의 용천재(龍川齋)가 있고, 이찬의 묘재인 자천재(紫泉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당리이혐의 혐산정(馦山亭)이 남아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