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906 |
---|---|
한자 | 慶州李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전민욱 |
세거|집성지 | 경주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상리리 |
---|---|
세거|집성지 | 경주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오룡리 |
세거|집성지 | 경주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당지리 |
세거|집성지 | 경주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
세거|집성지 | 경주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화산리 |
세거|집성지 | 경주 이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사천리 |
성씨 시조 | 이알평 |
입향 시조 | 이옥삼|이응백 |
[정의]
이알평(李謁平)을 시조로 하고 이거명(李居明)을 중시조로 하며, 이옥삼(李玉三)과 이응백(李應伯)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세거 성씨.
[연원]
이옥삼은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 이천(李蒨)을 파조로 하는 국당공파(菊堂公派)로 경상북도 영천의 신녕현(新寧縣) 지역에 입향을 하였으며, 이응백은 이제현(李齊賢)을 파조(派祖)로 하는 익재공파(益齋公派)로 임진왜란 전에 영천에 입향하였다. 경주 이씨로 영천에 세거하는 파는 이 외에도 여러 파가 있으나 대체로 국당공파와 익재공파가 주류를 이룬다.
[입향 경위]
이옥삼과 이응백이 영천에 입향한 이유는 알 수가 없다. 이들이 입향한 후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각각의 아들인 이온수(李蘊秀)와 이희복(李希福)이 의병으로 참전하여 큰 공훈을 세우고 영천 지역에 세거를 한 것으로 보여진다.
[현황]
입향 이후 인물은 향지(鄕誌)인 『영양지(永陽誌)』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면, 임진왜란 때의 전공으로 첨정(僉正)에 제수된 이문석(李文碩)과 증(贈) 참의(參議) 이희복(李希福), 증(贈) 이조판서(吏曹判書) 이준(李俊),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이인(李仁)과 이경호(李景湖), 주부(主簿) 이경한(李景漢),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성관(李聖寬),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이후읍(李後浥), 문과(文科)로 통정대부(通政大夫)인 이의준(李義俊), 첨정(僉正) 이진해(李進海), 부호군(副護軍) 이암(李巖), 현감(縣監) 이영찬(李英讚),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규화(李奎化),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성창(李聖昌), 부호군(副護軍) 이세직(李世稷), 호군(護軍) 이문언(李文彦), 판관(判官) 이귀태(李貴泰),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규화(李圭華), 참봉(參奉) 이대간(李大幹), 부호군(副護軍) 이양백(李陽白), 부호군(副護軍) 이규선(李圭善),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재근(李載根), 철종 때 무과(武科) 급제 이규현(李圭賢), 철종 때 무과(武科) 급제 이규학(李圭鶴), 참봉(參奉) 이여휴(李汝休),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흥만(李興萬),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석화(李錫華), 찰방(察訪) 이호룡(李灝龍),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상우(李相宇), 참봉(參奉) 이규식(李圭植), 사마(司馬) 이건(李健),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정영(李廷榮), 참봉(參奉) 이규성(李圭星), 참봉(參奉) 이용원(李龍元),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록(李相錄),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상봉(李相鳳), 참봉(參奉) 이보관(李甫寬),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규염(李圭琰), 의관(議官) 이종응(李鍾應), 부호군(副護軍) 이주영(李周榮), 부호군(副護軍) 이득영(李得榮), 참봉(參奉) 이규채(李圭彩), 참봉(參奉) 이규빈(李圭斌), 의관(議官) 이종흥(李鍾興)이며, 신녕(新寧) 편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훈련원정(訓練院正)에 오른 이온수(李蘊秀), 음(蔭) 장사랑(將仕郞) 이시손(李時孫),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이막배(李莫培),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이봉우(李鳳雨), 증(贈) 사복시정(司僕寺正) 이실휘(李實輝),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윤종(李潤宗)이 있다.
영천 지역의 세거지는 익재공파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의 상리리와 오룡리,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당지리 등에 세거하고, 국당공파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와 화산면 화산리, 화남면 사천리 등에 세거를 하고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에는 당지리에 이대순(李大順)의 창효각(彰孝閣)과 화산리에 이막배(李莫培)의 화계정(華溪亭)과 효덕재(孝德齋)가 있으며, 화북면에는 자천리에 이정징(李貞徵)의 임강정(林岡亭)과 이원대 열사 추모비(李元大烈士追慕碑), 오산리에 이옥삼(李玉三)의 영사재(永思齋)와 이상업(李相業)의 운강정사(雲岡精舍), 공덕리에 이재영 효자각(李在永孝子閣)이 있다. 화남면에는 대천리에 이온수(李蘊秀)의 학천서당(鶴川書堂)이 있고, 자양면에는 용화리에 이영갑(李英甲)의 야옹정(野翁亭)이 있다.
고경면에는 상리리에 이희복(李希福)의 팔봉정사(八峰精舍), 해선리에 이중노(李仲老)의 동은정(東隱亭)과 이희복(李希福)의 정충각, 이필영(李弼榮)의 효자각, 오룡리에 이암(李巖)의 농와정(農窩亭)과 이혜우(李惠雨)의 처 열녀 김해 김씨 정포비각, 이유화(李裕華)의 묘재인 용재정사(龍齋精舍)가 있다. 대창면에는 신광리에 이종근(李鍾根)의 처 김해 김씨 효열각(金海金氏孝烈閣)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