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500046
한자 烽火山
영어공식명칭 Bonghwasan Mountain
이칭/별칭 광산,광산봉수,광산봉수대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희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봉화산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리~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
해당 지역 소재지 봉화산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리 지도보기
성격
높이 452m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대리와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에 걸쳐 있는 산.

[명칭 유래]

봉화산(烽火山)은 예전에 봉화 또는 봉수대가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시대 지리지와 고지도에 따르면, 영덕과 청송 지역에는 영해의 대소산봉수대와 광산봉수대, 청송 진보의 남각산봉수대가 있었다. 이러한 지역별 봉수대 명칭은 이후 변화 과정에서 대체로 '봉화산'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낙동정맥에 자리한 영해면 대리의 봉화산은 '광산(廣山)', 광산봉수(廣山烽燧), 광산봉수대(廣山烽燧臺)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자연환경]

봉화산은 높이 452m로, 경상북도 영덕의 북서쪽 경계에 자리한 낙동정맥의 산이다. 북쪽은 맹동산[768.2m]으로 이어지고, 남쪽은 명동산[813.1m]과 포도산[748m]으로 이어진다. 동쪽으로는 화림지맥으로 포대산을 거쳐 국사당산화림산으로 연결되는데, 이 지맥은 북쪽의 송천 유역과 남쪽의 영덕 오십천 유역을 가르는 분수계를 이룬다. 기반암은 중생대 초기의 각섬석화강암이며, 서쪽에는 석회암과 각섬석편암으로 구성된 양구동층이 좁게 분포한다. 하천은 남천의 상류가 봉화산 남쪽에서 동남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흐르며, 서쪽으로는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삼의리로 화매천이 흐른다. 식생은 능선부에 소나무가 약간 분포하며, 대부분은 낙엽활엽수림대를 이루고 있다.

[현황]

봉화산은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영양·봉화로 이어지는 태백산 능선이, 동쪽은 백암산 줄기가 영해까지 이어지는 첩첩산중에 속하는 지형이다. 봉수는 산 정상을 판판하게 다지고 돌아가며 방호벽을 둘렀는데, 어림잡아 둘레는 60m, 높이는 1m 정도이다. 봉화를 피우던 연대는 둘레가 약 25m, 높이는 동쪽이 1.3m이고 서쪽은 3.8m 정도이다. 봉수 내부에는 기와 조각이 흩어져 있으며, 연대와 맞붙은 암벽 아래에는 동굴이 있다. 광산봉수가 처음 설치된 시기는 고려시대이며, 봉수 노선은 제2노선 간봉이며, 봉수 제도가 폐지될 때까지 대소산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진보 신법산봉수로 신호를 전달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