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308
한자 龍仁市
영어음역 Yongin-si
영어의미역 Yongin City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춘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구역
면적 591.33㎢
총인구(남, 여) 87만 4104명[남자 43만 6053명, 여자 43만 8051명]
가구수 31만 2,815가구

[정의]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시.

[명칭유래]

용구현(龍駒縣)처인현(處仁縣)의 두 고을을 합쳐 용구에서의 ‘용’자와 처인에서의 ‘인’자를 따서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용인현(龍仁縣)·양지현(陽智縣)과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진 시이다. 용인현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멸오현(滅烏縣)이었다가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거서현(巨黍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한주(漢州)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 초인 940년(태조 23)에 용구현(龍駒縣)으로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 9)에 광주(廣州)의 속현으로 병합되었으나 1172년(명종 2)에 광주목에서 분리되어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다가 뒤에 현으로 승격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용구현처인현(處仁縣)을 병합, 두 고을의 이름을 따 용인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지방제도 개편에 의해 1895년에 충주부 용인군이, 1896년에는 경기도 용인군이 되었다.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양지군 일원과 죽산군 일부가 편입됨으로써 면적이 넓어졌다.

용인군수여면·포곡면·모현면은 그대로 두고, 동변면, 서변면과 읍내면이 읍삼면으로, 수진면과 지내면이 수지면으로, 기곡면·구흥면이 기흥면으로, 서촌면·도촌면·남촌면·현내면이 남사면으로, 상동면과 하동면이 이동면으로 각각 통합되었다.

이때 양지군이 폐지되고 양지군의 주동면·주북면·주내면·주서면이 내사면으로, 고북면·고동면·고사면이 고삼면으로, 죽산군의 근삼면과 근일이면, 양지군의 박곡면과 고안면이 외사면으로, 죽산군의 원삼면과 원일면이 원삼면으로 각각 통폐합되었다.

1931년 4월 1일 읍삼면구성면으로, 1937년 4월 1일 수여면은 용인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63년 고삼면이 안성군에 편입되었다. 1979년 5월 1일 용인면이 용인읍으로, 1985년 10월 1일 기흥면기흥읍으로 각각 승격되었다.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용인시로 승격되면서 수지면수지읍으로 승격되고 용인읍은 폐지되고, 중앙동·유림동·역삼동·동부동 등의 4개 행정동으로 분할되어 10개 법정동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때 내사면양지면으로, 외사면백암면으로 각각 명칭이 바뀌었다. 2000년 9월 1일 구성면이 구성읍으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2월 24일에는 수지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구의 신설로 기흥구, 수지구, 처인구의 3개 구가 설치되었다.

[자연환경]

광주산맥 지맥의 기복이 심하여 구릉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산간 계곡이 많다. 대부분의 지역에는 선캄브리아대의 호상편마암을 비롯하여 화강암질편마암과 서산층군에 속하는 편암 등이 나타난다.

동쪽의 노고봉[574m]·오봉산[418m], 서쪽의 광교산[582m]·함봉산[306m], 남쪽의 시궁산[515m]·구봉산[465m] 등 높은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산 유역에서 발원한 여러 줄기의 물이 모여 탄천경안천·금어천 등을 이루면서 북류하고 있다.

또한 여러 하천의 지류에는 평야가 전개되어 있어 논농사를 경작하고 있다. 해발고도가 평균 85.7m이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기온이 2~3℃ 가량 높고, 겨울에는 기온이 2~3℃ 가량 낮다. 평균 기온은 11.2℃ 이며, 연 강수량은 1,623㎜ 정도이다.

[현황]

2007년 10월 현재 면적은 591.33㎢이며, 총 29만 5,791세대에 80만 7556명(남자 40만 4223명, 여자 40만 3333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동쪽은 이천시와 광주시, 서쪽은 수원시와 화성시, 남쪽은 평택시와 안성시, 북쪽은 성남시와 광주시에 각각 접하고 있다. 총 면적 591.33㎢ 중 경지 면적은 124.1㎢이며, 밭이 46.28㎢, 논이 78.06㎢, 과수원이 0.19㎢, 임야가 330.11㎢이다.

용인시는 2020년까지 120만 명을 목표로 관할 지역을 5개 생활권으로 개발할 예정인데, 수지권은 수도권 배후 신도시 생활권, 기흥·구성권은 신도시 자족생활권, 용인권은 전원형 문화생활권, 남이권은 남부복합 자족생활권, 백원권은 관광휴양 복합 생활권으로 각각 개발할 예정이다.

이들 권역들의 균형 발전을 위하여 2013년까지 기흥저수지 주변에 81만 평 규모의 기흥호수공원, 2015년까지 처인구 삼가동 일대에 11만 4,000평 규모의 용인시민체육공원을 각각 조성할 계획이다.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과 아파트, 빌라, 연립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처인구보다는 기흥구수지구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앞으로도 기흥구 흥덕지구, 서천지구에는 아파트 등 많은 주택이 들어설 예정이어서 주택과 인구의 유입이 예상된다.

본래 농업이 활발하여 쌀을 비롯한 농산물의 생산이 많았으나 도농복합 도시로 바뀌면서 면 지역 외에는 농사를 경작하는 논과 밭의 면적이 도시화로 인하여 점차 줄어들고 있다.

주요 농산물로는 벼·고추·콩·감자·고구마·참깨 등이 재배되고 있으며, 여러 작목반에서는 복숭아·배·포도·상추·오이·쑥갓 등을 생산한다. 가축으로는 한우·젖소·닭·돼지 등의 사육이 많고 사슴도 사육되고 있다. 주요 특산품으로는 백암면에서 생산되는 백암막걸리·백암순대·옥로주가 유명하며, 원삼면에서 생산된 쌀은 백옥이라는 브랜드로 상품화하여 각광을 받고 있다.

2007년 현재 화훼 면적은 44㏊로 원삼면남사면에서 주로 재배하며, 용인시 처인구 관내에서 재배되고 있다. 주로 장미·국화·양란류(호접란)·바이올렛 등이 재배되고 있다. 그리고 원삼면, 남사면, 이동면[현 이동읍]에는 제조업 중심의 회사와 기업체를 비롯하여 연구소가 많이 있다.

도로 포장률은 76%이며, 주택 보급률은 108.6%, 상수도 보급률은 92.5%이다. 기흥구 상갈동에는 한국민속촌이 있으며, 처인구 포곡읍에는 전체 면적 148만 8,000㎡(약 45만 평) 규모로 1976년 4월에 개장된 국내 최초의 가족 공원인 에버랜드가 자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양지파인리조트를 비롯하여 4개의 콘도와 26개의 골프장 등의 위락 시설이 있다. 기업체는 1,518개 소, 연구소와 연수원은 약 80개 소, 박물관 및 미술관은 15개 소가 있다. 2007년 7월 현재 주요 교육 기관으로는 유치원 78개 소, 초등학교 87개 교, 중학교 42개 교, 고등학교 20개 교와 대학(대학)교 10개 교가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용인시청, 기흥구청, 수지구청, 처인구청, 용인시 교육청, 용인우체국, 용인시 디지털산업진흥원, 용인세무서, 용인예술인총연합회,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용인시 선거관리위원회, 용인지방공사, 재향군인회를 비롯한 각종 기관, 단체, 금융 기관 및 병·의원 등이 있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보물로 지정된 수지구 신봉동서봉사현오국사탑비를 비롯하여 기흥구 상갈동에 있는 경기도박물관에 보물로 지정된 영정과 교서 등이 있다. 이 외에도 경기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심곡서원, 충렬서원, 채제공 선생 뇌문비, 문수산 마애보살상, 정몽주 묘, 민영환 묘 등과 경기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양지향교주북리 지석묘, 그리고 향토 유적인 용인향교 등의 많은 문화재가 있다.

주요 도로로는 서쪽으로 경부고속국도가 남북 방향으로 지나며, 용인시의 중앙을 영동고속국도가 동서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또한 국도 45호선이 광주시 오포읍을 지나 포곡읍에서 남북 방향으로 이동읍을 지나고 있다.

국도 42호선은 수원시를 지나 기흥구 신갈에서 양지면을 지나 이천시로 이어지는 등 모두 용인대로를 통과하고 있다. 북쪽에 있는 용인IC를 이용하면 영동고속국도와도 쉽게 접할 수 있어 교통은 아주 편리하다.

이밖에도 직행버스와 좌석버스가 서울 중심지와 모두 연결되어 있으며, 지하철로는 강남구 수서에서 연결된 분당선 전철이 기흥구 보정동까지 운행되고 있지만, 앞으로 상갈동하갈동을 거쳐 수원으로 연장될 것이다. 또 분당선과 연결예정인 용인경전철 및 용인~서울 간 고속도로가 개통되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15 행정지명 현행화 이동면에서 이동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2012.04.03 [현황] 숫자 표기 오류 <변경 전>밭이 46.28㎢, 논이 78,06㎢, 과수원이 0.19㎢, / 11만 4000평 규모의 용인 <변경 후>밭이 46.28㎢, 논이 78.06㎢, 과수원이 0.19㎢, / 11만 4,000평 규모의 용인
2011.03.10 현황 수정 본문내 2010년 현황을 반영하여 내용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