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1260 |
---|---|
한자 | 泗川睦氏 |
영어음역 | Sacheon Mokssi |
영어의미역 | Sacheon Mok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이동읍 덕성리 |
집필자 | 정양화 |
세거지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
---|---|
집성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삼배울 |
입향시기/연도 | 1600년대 |
성씨시조 | 목효기(睦孝基) |
입향시조 | 목종화(睦宗和) |
[정의]
목효기를 시조로 하고 목종화를 입향조로 하는 경기도 용인시 세거 성씨.
[연원]
시조는 고려 때 낭장(郞將)을 지낸 목효기(睦孝基)이다. 고려시대에는 목충(睦忠)·목인길(睦仁吉)·목자안(睦子安) 등이 왜구를 격퇴하는데 공을 세웠다. 조선 중종 때의 학자 목세칭(睦世秤)과 그 자손들이 목씨를 중흥시켰다. 아들 목첨(睦詹)은 선조 때 도승지를 역임하였고, 목첨의 아들 3형제가 문과에 급제함으로써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첫째인 목서흠(睦敍欽)은 예조참판과 중추부동지사를 지냈고, 둘째인 목장흠(睦長欽)은 인조반정 후 호조참판과 도승지를 지냈으며, 셋째인 목대흠(睦大欽)은 예조참의를 거쳐 강릉부사를 지냈다. 다른 후손으로 숙종 때 남인의 중진으로서 파란을 겪은 목내선(睦來善)과 부제학 및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갑술옥사에 연루된 목창명(睦昌明)이 있다. 목씨는 갑술옥사를 고비로 남인의 몰락과 함께 세력이 약화되고 희성이 되었다.
[입향경위]
시조 목효기의 대종손인 16세손 목종화(睦宗和)가 조선 숙종 때 중추부첨지사(中樞府僉知事)를 역임하고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삼배울로 낙향하여 세거하게 되었다.
[현황]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 삼배울에는 한때 3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으나 현재는 여덟 집만 남아 있다. 1957년 발행된 『경기도지』에 원삼면 두창리에 22호가 살고 있다고 되어 있으나 지금은 5~6호가 남아 있다.
[관련유적]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에 입향조 목종화의 묘소를 비롯하여 역대 선영이 있고 처인구 원삼면 두창리 996번지에 목원규효자정문(睦源逵孝子旌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