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묵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801098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효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지역 내 재료 생산지 박대묵 -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리 지도보기|삽시도리지도보기
성격 묵류
재료 박대껍질
계절 가을 이후

[정의]

충청남도 보령시 해안 및 도서 지역에서 박대의 껍질을 벗겨 만들어 먹는 묵.

[연원 및 변천]

참서대 어류 중 크기가 큰 박대는 넓적하고 길쭉하며, 눈이 한쪽으로 심하게 몰려 있는 생선이다. 가을철[10~11월]이 제철인 박대를 잡으면 그 껍질을 벗겨서 말려 둔다. 묵을 쑬 재료이므로 빨래를 빨듯이 빨아 여러 번 헹구는데, 껍질에 붙은 비닐이 벗겨지도록 충분히 헹군다. 특히 바닷고기의 짠기를 빼기 위해 민물로 헹구어야 한다. 말려 둔 껍질은 필요할 때마다 묵을 쑤어 먹는다.

[만드는 법]

민물에 넣고 약불로 한 시간 동안 저으면 묵이 완성된다. 다른 묵과 달리 박대묵을 쑬 때는 식초를 조금 넣어야 생선 비린내가 나지 않는다. 유리알처럼 맑은 묵이 되면 그릇에 담아 식히거나, 면보를 놓고 받쳐 지저분한 것을 거른 후 그릇에 담아 식히면 쫀득한 묵이 완성된다. 간장, 참기름, 갖은양념과 오이, 미나리 등을 넣어 무쳐 먹는데, 주로 술안주로 먹는다. 박대가 많이 잡히지 않아 근래에는 박대묵도 귀한 음식이 되었다.

[참고문헌]
  • 김효경, 「음식」(『2019년 충청남도 섬과 항포구 조사 1차』,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19)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