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부 쓰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801055
한자 立春祝-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화지리|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형동

[정의]

강원도 철원군에서 입춘 때에 대문이나 기둥에 글귀를 써 붙이는 세시풍속.

[개설]

입춘은 음력으로 12월에 드는 수도 있고, 정월에 드는 수도 있다. 강원도 철원군에서 입춘이 되면 그해의 복을 빌고자 입춘부(立春祝)를 집집마다 써 붙인다. 입춘부 쓰기의 글귀는 ‘국태민안(國泰民安) 가급인족(家給人足)’, ‘우순풍조(雨順風調) 시화세풍(時和歲豊)’,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백복래(開門百福來)’, ‘춘광선도길인가(春光先到吉人家)’ 등 복을 빌고 나쁜 기울을 쫓는 내용을 담은 것이 대부분이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입춘부 쓰기가 중국의 설날 풍속에서 비롯되었고 설명한다. 중국 황제(黃帝) 때에 설날이 되면 신도(神荼)와 울루(鬱壘)라는 액막이 신(神)의 형상을 복숭아나무 판자에 그려 대문에다 걸어 둠으로써 악신을 쫓고자 하였다고 하며, 이 풍속이 우리나라에 전하여져 입춘부 쓰기로 자리 잡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문헌에서는 입춘부와 관련된 기록이 고려 시대부터 보인다. 『동문선(東文選)』에 김부식(金富軾)이 쓴 내전(內殿) 춘첩자(春帖子)가 기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도 춘축(春祝) 또는 춘첩자라고 하여 봄을 축하하는 시를 적고 있으며, 이를 선물로 주고받기도 하였다고 한다. 궁중에서는 설날에 신년을 축하하고자 문신들이 지어 올리는 시인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잘된 것을 골라 대궐의 기둥과 난간에 써 붙였는데, 일반 민가와 상점에서도 그러한 풍속을 따라 새봄을 기리고 축하하였다.

오늘날에도 ‘입춘대길 건양다경’ 같은 입춘부를 붙인다. 직접 쓰는 경우도 있지만 불교 신자는 절에서 받아 오기도 한다. 책력(冊曆)을 보고 입춘이 들어오는 시간에 맞추어 입춘부를 대문이나 기둥 등에 붙이는데, 방문 등에 붙이기도 한다.

[절차]

입춘날이 되면 입춘이 들어오는 시간에 맞춰 준비한 입춘부를 대문이나 기둥, 방문 등에 붙인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철원 지역 중 철원읍 화지리근남면 사곡리에서는 주로 절에서 나눠 주는 인쇄된 입춘부를 붙인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