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639
한자 文學
영어의미역 Literatur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집필자 이형권

[정의]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구체적이며 비유적 언어와 문자로 표현한 예술.

[개설]

논산 문학의 대상 범위는 논산에서 태어나 논산에서 문학 활동을 했던 작가들과 논산에서 출생한 뒤 타지에 가서 활동한 작가, 그리고 논산 지역의 문학 활동에 참여하여 논산 문학 발전에 기여한 작가들과 작품들이다.

[조선시대]

조선시대의 논산 문학은 주로 한문학이 주류를 이룬다. 논산 지역 인물들의 문집은 문·사·철의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대부분 시와 같은 문학작품을 포함하고 있다. 논산 지역 인물의 문집은 김장생(金長生, 1548~1631)『사계전서(沙溪全書)』, 김집(金集, 1574~1656)『신독재유고(愼獨齋遺稿)』, 윤증(尹拯, 1629~1711)『명재유고(明齋遺稿)』, 윤선거(尹宣擧, 1610~1669)『노서유고(魯西遺稿)』, 윤원거(尹元擧, 1602~1672)『용서집(龍西集)』, 윤순거(尹舜擧, 1596~1668)『동토집(童土集)』, 서익(徐益, 1542~1587)의 『만죽헌집(萬竹軒集)』, 서필원(徐必遠, 1614~1671)『육곡집(六谷集)』 등이 있다.

이외에도 유명한 문인들이 논산을 소재로 한 제영이 남아 있다. 연산면 천호리개태사, 양촌면 중산리쌍계사, 논산읍 관촉리관촉사, 그리고 김장생이 학문 활동을 한 연산의 양성당양성당의 옛 터에 있었던 아한정이다. 이러한 제영들은 당대의 유명한 문인들인 이색·서거정·성현·이정구·신흠 등에 의해 지어져 옛 논산의 모습을 문학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한글로 된 작품은 서익, 김장생, 강복중 등의 시조와 송씨 부인의 『금행일기』·「휵양가」 등의 내방가사, 윤우병의 노동가사인 「농부가」 등이 있다.

[근현대]

논산 지역의 현대문학은 20세기 초반의 일제강점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다. 리리시즘 문학이 주조를 이루는 가운데 리얼리즘 문학이나 모더니즘 문학이 부분적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시에서의 김형원이나 소설에서의 엄흥섭, 김홍신이 리얼리즘 문학의 대표적 인물이다. 또한 윤백남은 영상문학에서 선구적 업적을 이루면서 모더니즘적 색채가 짙은 작품 세계를 보여주었지만, 실험 정신이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또한 정훈과 박용래로 대표되는 리리시즘적 경향은 자연과 서정을 중시하는 전통시학의 맥락에 위치하면서 논산 문학뿐 아니라 대전·충남 문학의 주된 흐름을 형성했다.

광복 이후에는 정훈, 박용래, 박희선 등 논산을 지역적 기반으로 활동하는 시인들이 등장하면서 논산 문학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 이때부터 논산은 본격적으로 지역적 기반을 갖춘 문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는 강선숙, 구상회, 구종현, 권선옥, 김광순, 김길순, 김명환, 김성숙, 김연수, 김영배, 김영수, 김영화, 김영환, 김종우, 김종우, 김진성, 류지탁, 맹남섭, 박동규, 박승범, 박주남, 윤종섭, 이극래, 이영옥, 이태관, 임기원, 전민호, 정건일, 정현정, 조근호, 조동길, 주근옥, 최금숙 등이 지역 출신 문인으로서 비교적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다.

[문예사조별 분류]

1. 모더니즘 문학의 문인

논산 출신의 문인 가운데 모더니즘 문학을 추구한 문인으로는 윤백남을 들 수 있다. 그는 문수성, 민중극단, 극예술연구회 등의 극단을 설립하여 근대극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1918년 최초의 한국희곡 공연작품으로 일컬어지는 「운명」과 「국경」 등의 희곡을 남겼으며, 1930년 최초의 무협소설이자 역사소설인 「대도전(大盜傳)」을 시작으로 「해조곡」, 「대호전」, 「흑두건」 등의 장편소설을 발표했다. 또한 1917년에는 백남프로덕션을 창립하고, 1923년 한국 최초의 극영화인 「월하의 맹서」를 감독하고 제작했다. 그는 라디오 방송극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하기도 했다. 그러나 논산 문학에서 이러한 모더니즘 경향의 작품은 다양한 분포 현상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2. 리얼리즘 문학의 문인

리얼리즘 문학을 추구한 문인으로서는 김형원, 엄홍섭, 김홍신, 박범신 등을 들 수 있다.

1) 김형원

1920년 『개벽』을 통해 등단한 이후, 「숨쉬는 목내이」, 「무산자의 절규」, 「내가 조물주라면」, 「생장의 균등」 등을 창작했다. 그는 특히 1920년대 초의 퇴폐적이고 현실 도피적인 문단 풍토에 맞서 처음부터 현실주의에 입각한 시를 썼다. 리얼리즘 문학의 단적인 예로 바로 「무산자의 절규」이다.

“나는 무산자이다!/ 아무것도 갖지 못한// 그러나 나는/ 황금도, 토지도, 주택도/ 지위도, 명예도, 안일도/ 공산주의도/ 사회주의도/ 민주주의도/ 아! 나는 원치 않는다!// 사랑도, 가족도/ 사회도, 국가도/ 현재의 아무것도/ 아! 나는 저주한다!/ 그리고 오직/ 미래의 합리한 생활을/ 아! 나는 요구한다”/

이 작품은 제목에서도 드러나듯이 프롤레타리아의 고통스런 생활과 그것을 벗어나고픈 강렬한 욕망을 노래하고 있다. 비록 예술적 형상화의 수준은 높지 않지만, 현실에 대한 비판 정신과 계급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리얼리즘적 세계관을 보여주는 사례에 속한다.

2) 엄흥섭

1930년 『조선지광』에 단편 「흘러간 마을」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온 이후 계급의식이 강한 작품을 창작한 소설가이다. 그는 일제강점기에서 카프의 맹원으로 활동하고 광복직후에는 좌익문학단체인 조선문학가동맹에서 핵심인물로 활약하다가 6·25전쟁 때 월북하였다.

3) 김홍신

아직 현역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홍신은 1976년 『현대문학』에 단편소설 「물살」과 「본전댁」이 추천되면서 등단하였다. 「대역인간」, 「신의 그림자」, 「무죄증명」, 「음지」, 「부자사냥」 등의 단편소설과 『인간시장』, 『바람 바람 바람』, 『난장판』 등의 장편소설을 창작했다. 그의 소설은 양심 부재의 현실을 비판하면서 사회 정의를 실천하려는 강력한 윤리의식을 주제로 삼곤 한다.

4) 박범신

197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여름의 잔해」가 당선되면서 등단하여 『토끼와 잠수함』, 『죽음보다 깊은 잠』, 『풀잎처럼 눕다』, 『불의 나라』, 『향기로운 우물이야기』, 『나마스테』, 『촐라체』 등의 작품을 창작했다. 그의 소설은 독자와의 소통을 중시하면서 인간을 황폐화시키는 자본주의의 폐해와 그 사회구조적인 문제점들을 파헤친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리얼리즘 소설에 포함시킬 수 있다.

3. 리리시즘 문학의 문인

리리시즘 문학을 추구한 문인으로서는 정훈, 박용래, 박희선, 김관식, 권선옥 등을 들 수 있다.

1) 정훈

1911년 논산시 연산면에서 태어나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향토시가회와 머들령동인회를 이끌면서 지역 문단을 일구었다. 그는 1946년에 충청도 지역 최초의 문예지인 『향토』뿐만 아니라 『동백』, 『호서문학』, 『가람문학』 등 충청 지역에서 발간되던 각종 동인지의 창간에 산파 역할을 담당했다. 그의 시는 기교에 크게 치우치지 않고 향토적이고 서정적 리리시즘을 전경화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2) 박용래

논산 지역뿐 아니라 충남-대전 지역 시인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리리시즘 문학의 대가인 박용래는 1956년 『현대문학』에 「가을의 노래」, 「황토길」, 「땅」 등을 추천받으면서 등단하여 『싸락눈』, 『강아지풀』, 『백발의 꽃대궁』 등의 시집을 남겼다. 사후에는 유고시전집으로 『먼바다』가 출간되었다.

「저녁눈」, 「구절초」, 「황토길」, 「소묘」, 「엉겅퀴」 등 그의 대표작들은 간결한 시어, 전통적인 민요풍의 운율, 향토적 정서, 동양적 여백미 등을 특징으로 한다. 논산 지역을 시적 공간으로 취택한 「논산을 지나며」는 리리시즘 문학의 차원에서 흥미로운 작품이다. “겨울 농부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논산산업사 정미소 안뜰의 산더미같은 왕겨여 김이 모락모락 피는 아침 왕겨여 지나는 나그네/ 보기만 해도 배불러라”

박용래 시인은 논산의 어느 ‘정미소 안뜰’에 쌓인 ‘왕겨’를 바라보며 풍요로운 수확을 연상하면서 포만감을 느끼고 있다. 시인은 아마도 벼를 찧어서 쌀을 만드는 광경을 보면서 김이 모락모락 나는 맛깔스런 쌀밥을 연상하지 않았나 싶다. 또한 이 작품은 시인 자신의 고향인 ‘논산’에 대한 깊은 정감을 정서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소한 주변의 정황과 내적 정서를 일치시켜 주정적 감회에 젖고 있는 이 작품은 논산 지역 문학의 주조를 이루는 리리시즘적 특성의 실상을 엿보게 해 준다.

3) 박희선

1946년 『동백』에 「신화」, 「백기」를 발표하면서 등단하여 『새앙쥐와 우표』, 『화염속에 숨진 미소』, 『차안』, 『안행』 등의 시집을 통해 형식미를 중시하며 모국어의 운율감이 살아있는 작품세계를 구축했다.

또한 김관식의 전통 지향적 시세계나 권선옥의 서정적 시세계도 리리시즘의 차원에서 주목할 만하다.

[동인 활동]

논산 지역의 문학은 각종 문학단체와 동인지들에 의해 그 터전을 삼아 왔다. 요람벌시동인회와 황산벌시동인회를 필두로 하여 이후 많은 문학회가 결성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논산에서 조직된 본격적인 문학단체는 놀뫼문학동인회가 처음이다. 권선옥 시인이 주도한 이 동인회는 1988년 1월 23일 논산 지역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시인들이 동참하면서 결성되었다. 놀뫼문학동인회 회원들은 최근까지도 매년 동인지 『놀뫼문학』을 발간하는 한편, 시낭송회, 놀뫼 백일장, 문학 강연 등을 개최함으로써 논산 문화의 활성화와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논산에서의 문학 활동이 활기를 띠면서 1991년 11월에는 약 30여 명의 문인들이 함께 뜻을 모아 한국문인협회 논산지부를 조직했다. 1993년부터는 동인지 『논산문학』을 연간지로 발간해 오고 있다. 이 단체의 설립은 정부가 제정한 1992년 ‘문학의 해’를 앞두고 지역 문인들이 중앙집권적인 문학 활동에서 벗어나려는 열망이 확산되던 분위기와 연관된다. 또한 1993년에는 논산 지역에 살고 있는 여성 문인들이 모여 황산문학동인회를 결성했다. 이는 논산 지역 유일의 여성문학 동인회로서 매년 동인지 『황산문학』을 발간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3.04.22 2)엄흥섭 내용 중 오타 수정 <변경 전> 일제감정기 <변경 후> 일제강점기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논산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4.22
김** 안녕하세요~
일제시대를 지칭하는 단어는
일제감정기가 아니라
일제의 강제점령을 뜻하는
'일제강점기' 입니다.
수정부탁드립니다 ^^

관련항목에는 일제 강점기라고 바로 나와있네요 ~
2013.04.17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