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평구역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0400
한자 平丘驛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기도 양주시
시대 고려/고려,조선/조선
집필자 정학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지 시기/일시 1894년연표보기 - 평구역, 갑오개혁으로 폐지
평구역 - 경기도 남양주시 삼패동

[정의]

조선 시대 경기도 양주에 속했던 남양주시 삼패동 평구마을에 있던 교통·통신 기관.

[개설]

역(驛)은 고대 이래 중앙 정부와 지방간의 효율적인 연결망을 구축하기 위해 육로(陸路)에 설치한 교통·통신 조직의 일종으로 역참(驛站)이라고도 하였다. 평구역(平丘驛)은 고려 시대에는 남경[양주]에서 평창이나 봉화 방면으로 갈 수 있는 평구도(平丘道)의 중심 역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찰방(察訪)[종6품]이 소재하는 평구도의 중심 역으로서 한양(漢陽)·양근(楊根)·지평(砥平)·홍천(洪川)에 이어지는 역로와 평구역에서 가평(加平)·한양·양주(楊州)·포천(抱川)·영평(永平) 등에 이어지는 역로의 소관 11개 역을 관할하는 중로역(中路驛)이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평구역은 다른 지역의 역과 마찬가지로 국가가 지방 통치를 위한 정령(政令)의 전달과 관리의 왕래 등 교통·통신 기구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평구도의 중심 역으로서 해당 역로망과 그 소속 역들을 관리 감독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관련 기록]

『고려사(高麗史)』[권82, 병지 참역(站驛)]에 “평구도는 30개 소를 관할한다. 평구(平丘) 남경(南京), 봉안(奉安) 광주(廣州), …… 유동(幽洞) 감천(甘泉), 도심(道深) 봉화(奉化)”라 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경기 양주도호부]에 “역이 6이니, 청파(靑坡)·노원(蘆原)·영서(迎曙)·평구(平丘)·구곡(仇谷)·쌍수(雙樹)이다”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경기 양주목 역원(驛院)]에는 “평구역은 주 동쪽 70리 지점에 있어 본도의 속역 열한 곳을 찰방하는데, 녹양(綠揚)·안기(安奇)·양문(梁文)·봉안·오빈(娛賓)·쌍수·전곡(田谷)·백동(白冬)·구곡·감천·연동(連洞) 등”이라고 하였다. 『여지도서(輿地圖書)』[경기도 양주목 역원 부발참(附撥站)]에는 “평구역금촌면(金村面)에 있는데 동쪽으로 70리 떨어져 있고 관동직로(關東直路)의 두참이자 본역(本驛)인 까닭에 관우(館宇)가 있으며 말이 9필, 이속이 24명, 남자 종이 44명, 여자 종이 9명”이라고 하였다.

[변천]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405년(태종 5)에는 경기도관찰사의 보고에 따라 평구역승(平丘驛丞)을 다시 두었고, 1457년(세조 3)에는 이조의 건의로 각 도 역의 관할을 조정하고 정역찰방을 두게 하였는데, 이때 평구역구곡역·쌍수역 등과 함께 경기·강원도 정역찰방 관할이 되었다. 그리고 1506년(연산군 12)에는 평구역을 덕연(德淵) 옆으로 옮겨 설치하게 하였다는 기사가 있다.

한양에서 춘천 등 관동(關東) 지방에 이르는 직로(直路)에 있으면서 이 역로망의 중심 역이었던 평구역에는 18세기 중반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따르면 말이 9필, 이속이 24명, 남자 종이 44명, 여자 종이 9명이 속해 있었다. 역 내지 역참은 조선 후기에 들어 역마(驛馬)를 함부로 이용한다든가 역전(驛田)의 사유화 등으로 인한 폐단이 가중되어 그 기능이 마비 상태에 놓이게 되자, 명나라의 예에 따라 파발(擺撥)을 설치, 이와 병행하여 운영되었다. 평구역과 평구도는 다른 지역의 역들과 마찬가지로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