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400937
한자 二愚堂宗宅
영어공식명칭 Yi Udang House
영어음역 Yiudang Jongtaek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87-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정진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21일연표보기 - 이우당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이우당종택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재지정
성격 고가
양식 팔작지붕
건립시기/일시 1640년(인조 18)연표보기
정면칸수 5칸|3칸(사랑채)|5칸(안채)
측면칸수 5칸|3칸(사랑채)|6칸(안채)
소재지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87-1 지도보기
소유자 권일오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전통 가옥.

[개설]

이우당종택안동권씨 부정공파(副正公派) 임하(臨河) 지파의 종택이다.

[위치]

이우당종택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 587-1번지에 있다. 안동에서 영양으로 가는 국도변 오른쪽 임하호에 근접하여 있는데, 마을의 모든 건물이 북향인 데 반해 이우당종택만 북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을의 동남쪽에 위치한 해발 550m의 약산(藥山)에서 북쪽으로 뻗어 내린 줄기가 곡성산(曲城山)을 이루며 마을 전체를 동·남·서의 세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어 반변천이 흐르는 북동쪽으로만 시야가 열려 있다. 이우당종택은 이러한 지형에 적응하여 곡성산을 뒤로 하고 북동향으로 좌정하여 앞들과 반변천 건너 햇볕 밝은 안산(案山)과 멀리 아지랑이가 아른거리는 조산(祖山)을 바라보게 되었다.

[변천]

이우당종택은 1640년(인조 18) 이우당(二愚堂) 권환(權寏, 1580~1652)의 아들 권익시(權益時)가 건립하였다. 사랑채는 1773년(영조 49) 정침(正寢)을 보수하면서 지었다. 1963년 건물 전체를 보수하였고, 1994년 기존 콘크리트 기단을 해체하여 자연석 기단을 설치하고 부식된 목재와 기와를 교체하여 부분적으로 보수하였다.

[형태]

이우당종택은 민도리집 형태의 홑처마집으로 정면 5칸, 측면 5칸의 ‘ㅁ’자형 건물이다. 대청은 6칸으로 구성되었으며, 5량가(五樑架)에 우물마루를 깔았다. 사랑채는 기단을 높게 쌓고 지은 팔작지붕이며 건물 주위로 난간을 돌렸다. 외곽 담장 없이 ‘ㅁ’자형 안채의 전면 좌측에 사랑채가 돌출되어 있으며, 안채 좌측 후방의 토석 담장 속에 1칸 크기의 불천위사당과 3칸통 가묘가 좌우로 배치되어 있다. 원래는 사랑채 앞에 마구간이 있는 대문채가 있었고, 사랑채 우측에는 ‘ㅡ’자형 4칸 중문간채가 있었다.

사랑채는 정면과 측면이 각 3칸이다. 북동향인 정면 쪽은 큰 마루방으로 꾸몄으며 둘레에는 헌함(軒檻)을 두르고 전면 가운데 쪽에 계단을 두어 출입하게 하였다. 동남쪽에는 온돌방 2칸을 배치하여 밝고 따뜻하게 겨울을 날 수 있게 하였다. ‘ㅁ’자형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6칸이다. 대청에는 우물마루를 깔았는데 뒷벽 각 칸에 있는 널창문틀에는 가운데설주 흔적이 남아 있다.

대청의 좌측에는 2.5칸통의 안방이 접하였고 그 앞쪽으로 정지·아랫방·아랫정지 등이 연달아 놓여 있다. 대청 우측에는 윗방이 있고 그 앞쪽으로 마루와 아랫방·북쪽 정지·광이 놓여 있다. 앞쪽에는 좌측의 아랫정지와 한 공간으로 터진 중문간(中門間)과 뒤주·고방을 1칸씩 두었다.

[현황]

이우당종택은 1984년 5월 2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북도 민속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 현재 소유자 및 관리자는 후손인 권일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