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605
한자 城內里碑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역사/근현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산2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승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58년연표보기 - 성내저수지 조성작업 시 송덕비를 한데 모아 성내리 비석군 구축
보수|복원 시기/일시 1976년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쇠재마을 입구에 12기 비석 건립 및 단장
현 소재지 성내리 비석군 -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산24 지도보기
성격 비석군
관련 인물 조병철|박태영|민영상|홍병도|노병목|이재룡|이만시|이중하|김명진|김진화|류석|심상훈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비석군.

[건립 경위]

성내리 비석군(城內里碑石群)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소재 옛 아산현의 관리들 위주로 세워졌던 송덕비(頌德碑)를 1958년 성내저수지를 조성하면서 흩어져 있던 비석을 한데 모은 것이다. 1976년에는 현재 성내리 쇠재마을 입구에 단을 세우고 12기의 비석을 세웠으며 주변을 정리 하여 단장하였다.

[위치]

성내리 비석군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 1구 쇠재마을 입구에 있다.

[형태]

성내리 비석군은 총 12기의 비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남쪽으로부터 북쪽으로 군수 조병철 청덕선정비[군수조후병철청덕선정비(郡守趙侯秉哲淸德善政碑)], 현감 박태영 영세불망비[현감박후태영영세불망비(縣監朴侯台榮永世不忘碑)], 순상 민영상 영세불망비[순상민공영상영세불망비(巡相閔公泳商永世不忘碑)], 현감 홍병도 영세불망비[현감홍후병도영세불망비(縣監洪侯秉燾永世不忘碑)], 현감 노병목 청덕선정비[현감노후병목청덕선정비(縣監盧侯炳穆淸德善政碑)], 중추원의관 이재룡 시혜송덕비[중추원의관이공재룡시혜송덕비(中樞院議官李公載龍施惠頌德碑)], 아산현감 이만시 영세불망비[현감이후만시영세불망비(縣監李侯萬始永世不忘碑)], 암행어사 이중하 영세불망비[암행어사이공중하영세불망비(暗行御史李公重夏永世不忘碑)], 암행어사 김명진 영세불망비[암행어사김공명진영세불망비(暗行御史金公明鎭永世不忘碑)], 현감 김진화 애민선정비[현감김후진화애민선정비(縣監金侯鎭華愛民善政碑)], 수의 류석 선정비[수의류공석선정비(繡衣柳公奭善政碑)], 관찰사 심상훈 영세불망비[관찰사심공상훈영세불망비(觀察使沈公相薰永世不忘碑)]가 순서대로 세워져 있다.

[현황]

성내리 비석군의 비석은 다양한 관직이 망라되어 있는데, 배치는 갓을 쓰고 키가 높은 비석을 가운데 두고 민머리 비석을 양옆으로 세워놓아 전체적으로 뾰족한 삼각형 모양새로 조성하였다. 아산현의 현감을 비롯하여 암행어사[수의((繡衣)는 암행어사를 일컬음]나 관찰사의 비석이 있고, 특히 조선 말기의 송덕비가 많은 점이 특징적이다.

[의의와 평가]

송덕비는 임기를 마친 관리를 존경하고 감사하는 표시로 백성들이 세웠다. 그러나 송덕비가 관리들의 과시적 성향으로 조성되면서 국법으로 제재되기도 하였다.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성내리의 송덕비 상당수는 조선 말기 통제력이 느슨한 가운데 조성된 비석이다. 그러나 성내리 마을 사람들이 곳곳에 있던 송덕비들을 마을 입구에 모아서 정성껏 보전하고 후대에 귀감이 되도록 한 것은 높은 문화 의식을 보여 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