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600078 |
---|---|
한자 | 京仁線 |
영어공식명칭 | Gyeonginseon|Seoul-Incheon Line |
이칭/별칭 | 한국 최초의 철도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도로와 교량 |
지역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송내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권만용,박덕유 |
준공 시기/일시 | 1899년 - 경인선 개통 |
---|---|
전구간 | 경인선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송내동 |
해당 지역 경유 구간 | 경인선 -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송내동 |
성격 | 철도 |
길이 | 33.2㎞ |
[정의]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에서 송내동까지 연결되는 철도.
[개설]
경인선은 인천을 기점으로 소사를 거쳐 서울을 잇는 한국 최초의 철도이다. 인천 우각현에서 시작하여 소사역을 중간 기점으로 하고 노량진까지 연결되는 길이 27㎞의 철도를 1899년 준공하여 개통하였다. 소사역[현 부천역]을 설치한 것은 김포평야를 배경으로 이곳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을 적재에 운송하기 위한 목적이었으므로 일찍부터 부천은 교통의 요충지로 발전하게 되었다.
부천은 서울-인천 사이를 잇는 교통의 주요 도시로 1965년 경인선의 인천역-부천역-영등포역 사이의 복선 노선이 개통되었고, 수도권 전철화 계획으로 1974년 송내역, 부천역, 역곡역이 전철화되어 서울의 지하철과 직결 운행되었다. 점차 서울-인천 사이를 잇는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서울-부천-인천 사이에 수요가 높아져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게 되었고, 수도권 전철화로 부천시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다.
[명칭 유래]
경성[서울특별시의 옛 이름]과 인천을 연결하는 철도라고 하여 경성의 ‘경’과 인천의 ‘인’을 따서 ‘경인선’이라 이름 붙였다.
[건립 경위]
1897년 정부에서 미국인 모스에게 경인부설권을 내주어 제1공구 지역인 인천 우각현(牛角峴)에서 기공식을 거행했으나, 일본의 집요한 매수 공작과 자금난 등으로 경인부설권이 일본인에게 매도되었다. 공사를 인계 받은 경인철도합자회사는 1899년 4월 8일에 인천역에서 소사역까지 토지 기반 공사에 착수하고, 9월 18일에 노량진역까지 공사를 완료하여 33.2㎞의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를 준공, 개통하였다.
[변천]
1899년 4월 8일에 인천역에서 소사역까지 공사에 착수하여 9월 18일에 완공, 개통하였다. 처음에는 화물을 주 목적으로 한 철도였지만, 점차 서울-인천 사이를 잇는 교통수단이 되어 가면서, 서울-인천 사이에 수요가 높아져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게 되고, 1965년 9월 18일에 경인선의 영등포역-인천역 사이 복선 노선이 개통되었다.
수도권 전철화 계획으로 1974년 8월 15일에 전철화되어 송내역, 역곡역이 개통되고, 1987년 중동역, 1997년에는 소사역이 각각 개통되었다. 1999년 부평역-부천역-구로역 간 복선 전철이 개통되어 부평역-용산역 사이 직통 열차[2003년 1월 급행으로 명칭 변경]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2002년 부평역-주안역 사이 복선 전철이 개통되어 직통 열차가 연장 운행하게 되었다. 2005년 주안-동인천 구간의 공사가 완료되어 인천역까지 급행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2009년 10월 18일에는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관련 기관들이 2015년까지 경인선 전철 전체 구간을 지하화하는 구상을 논의하였으나 2022년 현재 지하화 사업은 현실화되지 못하고 있다.
[현황]
중동 신도시와 상동 신도시 건설로 수도권 직장인들이 대거 거주하면서 경인선 전철은 대중교통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송내역, 부천역, 역곡역이 급행열차 정차역으로, 부천역과 송내역이 특급열차 정차역으로, 그리고 중동역과 소사역이 일반 전철역으로 개통되어 부천의 많은 시민이 이용하고 있다. 다만, 경인선은 2022년 8월 기준으로 여전히 지상 구간에 건설되어 있어 지역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하화 사업에 대한 세부 전략 수립이 진행되고 있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0.12.09 | 경인선 | 1) <소표제>[변천]</소표제> <문단>1897년 정부에서 미국인 <인명 검색='0' 검색어=''>모스</인명>에게 경인부설권을 내주어 제1공구 지역인 <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 우각현(牛角峴)</지명>에서 기공식을 거행했으나, <지명 검색='0' 검색어=''>일본</지명>의 집요한 매수 공작과 자금난 등으로 경인부설권이 일본인에게 매도되었다. 공사를 인계 받은 <기관 검색='0' 검색어=''>경인철도합자회사</기관>는 1899년 4월 8일에 <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역</지명>에서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역'>소사역</지명>까지 토지 기반 공사에 착수하고, 9월 18일에 <지명 검색='0' 검색어=''>노량진역</지명>까지 공사를 완료하여 33.2㎞의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를 준공, 개통하였다. 처음에는 화물을 주 목적으로 한 철도였지만, 점차 <지명 검색='0' 검색어=''>서울</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지명> 사이를 잇는 교통 수단이 되어가면서, <지명 검색='0' 검색어=''>서울</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지명> 사이에 수요가 높아져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게 되고, 1965년 9월 18일에 <지명 검색='1' 검색어='경인선'>경인선</지명>의 <지명 검색='0' 검색어=''>영등포</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지명> 사이 복선 노선이 개통되었다.</문단> <문단>수도권 전철화 계획으로 1974년 8월 15일에 전철화되어 <지명 검색='1' 검색어='송내역'>송내역</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이 개통되고, 1987년 <지명 검색='1' 검색어='중동역'>중동역</지명>이, 그리고 1997년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역'>소사역</지명>이 각각 개통되었다. 1999년 <지명 검색='1' 검색어='부평'>부평</지명>∼<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부천</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구로</지명> 간 복선 전철이 개통되어 <지명 검색='1' 검색어='부평'>부평</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용산</지명> 사이 직통 열차(2003년 1월 급행으로 명칭 변경)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2002년 <지명 검색='1' 검색어='부평'>부평</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주안</지명> 사이 복복선 전철이 개통되어 직통 열차가 연장 운행하게 되었으며, 2005년 <지명 검색='0' 검색어=''>주안</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동인천</지명> 구간의 공사가 완료되어 <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역</지명>까지 급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문단> --> <문단>1897년 정부에서 미국인 <인명 검색='0' 검색어=''>모스</인명>에게 경인부설권을 내주어 제1공구 지역인 <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 우각현(牛角峴)</지명>에서 기공식을 거행했으나, <지명 검색='0' 검색어=''>일본</지명>의 집요한 매수 공작과 자금난 등으로 경인부설권이 일본인에게 매도되었다. 공사를 인계 받은 <기관 검색='0' 검색어=''>경인철도합자회사</기관>는 1899년 4월 8일에 <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역</지명>에서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역'>소사역</지명>까지 토지 기반 공사에 착수하고, 9월 18일에 <지명 검색='0' 검색어=''>노량진역</지명>까지 공사를 완료하여 33.2㎞의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를 준공, 개통하였다. 처음에는 화물을 주 목적으로 한 철도였지만, 점차 <지명 검색='0' 검색어=''>서울</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지명> 사이를 잇는 교통 수단이 되어가면서, <지명 검색='0' 검색어=''>서울</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지명> 사이에 수요가 높아져 복선화 공사를 시작하게 되고, 1965년 9월 18일에 <지명 검색='1' 검색어='경인선'>경인선</지명>의 <지명 검색='0' 검색어=''>영등포</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지명> 사이 복선 노선이 개통되었다.</문단> <문단>수도권 전철화 계획으로 1974년 8월 15일에 전철화되어 <지명 검색='1' 검색어='송내역'>송내역</지명>, <지명 검색='1' 검색어='역곡역'>역곡역</지명>이 개통되고, 1987년 <지명 검색='1' 검색어='중동역'>중동역</지명>이, 그리고 1997년에는 <지명 검색='1' 검색어='소사역'>소사역</지명>이 각각 개통되었다. 1999년 <지명 검색='1' 검색어='부평'>부평</지명>∼<지명 검색='1' 검색어='부천'>부천</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구로</지명> 간 복선 전철이 개통되어 <지명 검색='1' 검색어='부평'>부평</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용산</지명> 사이 직통 열차(2003년 1월 급행으로 명칭 변경)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2002년 <지명 검색='1' 검색어='부평'>부평</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주안</지명> 사이 복복선 전철이 개통되어 직통 열차가 연장 운행하게 되었으며, 2005년 <지명 검색='0' 검색어=''>주안</지명>∼<지명 검색='0' 검색어=''>동인천</지명> 구간의 공사가 완료되어 <지명 검색='0' 검색어=''>인천역</지명>까지 급행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2009년 10월 18일에는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와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관련기관들이 2015년까지 경인선 전철 전체구간을 지하화하는 구상을 논의하였다.</문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