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201497 |
---|---|
한자 | 正月告祀 |
영어음역 | Jeongwol gosa |
영어의미역 | New Year's Sacrificial Rite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
지역 | 충청북도 청주시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김용남 |
[정의]
정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
[의례내용과 절차]
정월고사의 내용은 일정치 않다. 마을마다 또 가정마다 조금씩 다르다. 흥덕구 수의동 강촌마을에서는 고사를 지내기 위해 팥 시루떡과 쌀을 준비한다. 시루떡 가운데에 쌀을 담은 주발을 올리고 주발에 초를 꽂아 불을 밝힌 다음 고사 상을 성주 아래에 놓고 부부가 같이 지낸다.
상당구 월오동 서원마을에서는 백설기를 쪄서 그 안에 쌀을 담은 사발에 촛불을 밝히고 주로 부인이 장광과 샘에서 치성을 드린 후 가족의 평안을 위해 소지를 올린다. 상당구 산성동 겉대마을에서는 팥 시루떡과 백설기, 정화수를 준비하고 시루떡 가운데 쌀 담은 주발을 올리고 그 위에 접시에 들기름을 붓고 실로 심지를 만들어 밤새 불을 밝힌다.
[상차림]
정월 14일 밤에 시루떡을 해서 농사의 풍작을 빌며 이웃과 고루 나누어 먹기도 하는데, 청주에서는 이것을 보통 ‘보름떡’ 또는 ‘보름떡 해 먹는다’고 한다. 보름떡은 보통 14일 저녁에 하나 마을에 따라 13일에 하기도 한다.
고사를 지낸 다음에는 장광, 대문, 뒷간, 외양간 등에 고루 떡을 떼어서 갖다 놓고 이웃과 함께 나누어 먹는다.
[현황]
1960~1970년대만 해도 집집마다 보름에 떡 해먹는 집이 많았으나 지금은 농촌지역에서도 보름떡 해 먹는 집이 별로 없다. 그런데 상당구 월오동 박뜸마을에서는 지금도 정월 14일에 전체 50가구 중 40가구 이상이 떡을 해서 고사를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