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천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1938
한자 流頭薦新
영어음역 Yudu Cheonsin
영어의미역 Yudu Memorial Rite
이칭/별칭 유두차례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임동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연도/일시 삼국시대
의례시기/일시 6월 15일[음력]

[정의]

유두절(流頭節)에 새로 난 과일이나 농산물을 조상에게 먼저 올리는 세시의식.

[개설]

유두절에는 햇밀가루로 국수와 떡을 마련하고 새로 익은 참외와 수박으로 유두차례(流頭茶禮)를 올린다. 피, 기장, 조, 벼 등을 종묘에 천신(薦新)하기도 하는데, 이를 ‘유두천신(流頭薦新)’이라고 한다. 이렇게 새 곡식이나 새 과일이 생산되면 조상에게 먼저 예를 올린 후에 먹었다.

한편 유두절에 선비들은 유두천신의 예가 끝나면 술과 안주를 장만하여 계곡이나 수정(水亭)을 찾아가 풍월을 읊조리며 하루를 즐겼는데, 이를 ‘유두연(流頭宴)’이라고 한다.

[명칭유래]

유두는 원래 ‘동류두목욕(東流頭沐浴)’의 약어로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뜻이다.

[연원]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고구려와 신라 때에 나라 사람들이 음식을 갖추어 가지고 동쪽에 있는 냇가에 가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며 잔치를 베풀고 즐겁게 놀았으며 불길한 마귀를 쫓아버리는데 그날을 유두라고 한다”는 기록이 전한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유두면’과 ‘유두연’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유두면은 국수가 아니라 밀가루로 구슬처럼 빚어서 여러 색을 물들여 굳혀 가지고 색실에 꿰어 걸어두는 것이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는다는 것은 양기가 충만한 물에 정화력이 있다는 믿음 때문이었다. 중국의 상사계욕(上巳禊浴), 인도의 긍하침욕(恆河浸浴)이 같은 예이며, 종교의식에서 불교의 관정(灌頂), 그리스도교의 세례(洗禮)가 모두 이에 근거한다.

[현황]

청주지역에서는 흥덕구 장암동(壯岩洞) 신목마을에서 유두천신이 전승되고 있다. 밀을 첫 수확하면 밀을 갈아서 밀국수를 만들어 먹는데, 먹기 전에 반드시 방에 짚을 깔아 놓고 그 위에 밀국수 한 그릇을 놓아둔다. 밀 수확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조상에게 천신하는 것이다.

천신을 한 뒤 식구들끼리 모여 밀국수를 먹는다. 시원하게 먹기도 하고 지금의 칼국수처럼 따끈하게 먹기도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