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800851 |
---|---|
한자 | 鄭鎭燾 |
영어공식명칭 | Jung Jindo |
이칭/별칭 | 형백(亨伯),송담(松潭),정진호(鄭鎭鎬)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경상북도 청송군 |
시대 | 근대/개항기 |
집필자 | 권대웅 |
출생 시기/일시 | 1852년 3월 9일 - 정진도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3월 - 정진도 청송의진 진무장 활동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5월 - 정진도 감은리전투 참전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6월 - 정진도 경주성전투 참전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7월 - 정진도 영덕전투 참전 |
활동 시기/일시 | 1896년 7월 - 정진도 화전등전투 참전 |
몰년 시기/일시 | 1903년 12월 30일 - 정진도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2004년 - 정진도 건국포장 추서 |
관련 사건 시기/일시 | 1896년 5월 14일 - 감은리전투 |
관련 사건 시기/일시 | 1986년 7월 20일 - 화전등전투 |
출생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대전리 |
거주|이주지 |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대전리 |
활동지 | 청송의진 - 경상북도 청송군 |
성격 | 의병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청송의진 진무장 |
[정의]
개항기 청송 출신의 의병장.
[개설]
정진도(鄭鎭燾)[1852~1903]는 1896년 3월 창의한 청송의진(靑松義陣)의 진무장(鎭撫將)으로 5월 14일 감은리전투(甘隱里戰鬪)에서 크게 이겼다. 그리고 청송의진이 면군체제(面軍體制)로 전환한 뒤 부장(副將)에 임명되어 경주성전투(慶州城戰鬪), 영덕전투(盈德戰鬪), 화전등전투(花田嶝戰鬪)를 수행하는 등 불굴의 항전을 전개하였다.
[가계]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형백(亨伯), 호는 송담(松潭), 이칭은 정진호(鄭鎭鎬). 1852년 3월 9일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대전리에서 아버지 정지득(鄭址得)과 어머니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태어나 백부(伯父) 정지신(鄭址信)에게 출계하였다. 조선 태종(太宗)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현감(縣監)을 역임한 청백리 정길(鄭佶)의 후예이다.
[활동 사항]
정진도는 1896년 3월 창의한 청송의진에 참여하였다. 3월 16일 청송의진이 창의장(倡義將) 심성지(沈誠之)를 비롯하여 부장 조성박(趙性璞), 중군장(中軍將) 김대락(金大洛), 좌익장(左翼將) 김상길(金相吉), 우익장(右翼將) 남두희(南斗凞), 사병도총(司兵都摠) 남승철(南昇喆), 의영도지휘사(義營都指揮使) 서효원(徐孝源) 등을 추대하여 지휘부의 진용을 갖출 때, 정진도는 진무장에 임명되었다.
5월 12일 관군에 패한 의성의진(義城義陣)과 이천의진(利川義陣)이 청송으로 들어오자, 5월 13일 이들과 진용을 합쳐 의성연합의진(義城聯合義陣)을 결성하고, 5월 14일 감은리전투를 수행하였다. 이때 정진도는 청송의진의 진무장으로 중군장 김대락, 소모(召募) 심능장(沈能璋), 참모(參謀) 오세로(吳世魯), 서기(書記) 윤도혁(尹道爀), 외방장(外防將) 안병룡(安秉龍), 군사(軍師) 이경식(李景植), 집사(執事) 윤경승(尹景昇) 등과 함께 포정(砲丁) 60명을 거느리고 출정하여 관군 7~8명을 사살하는 등 크게 이겼다.
5월 24일 청송의진은 국왕 고종의 해산 칙유문(勅諭文)을 받은 뒤, 5월 25일 청송군 관내 8개 면으로 분진(分陣)하여 면군체제(面軍體制)로 전환하였는데, 이때 정진도는 부장에 임명되었다. 정진도는 청송의진의 부장으로 6월 18일 경주연합의진(慶州聯合義陣)의 경주성전투, 7월 14일 영덕연합의진(盈德聯合義陣)의 영덕전투에 참여하는 등의 의병 활동을 전개하다가 귀향하여 청운(靑雲)에 주둔하였다.
7월 16일 영덕에서 청송으로 들어와 부남면 화장동(花場洞)에 진을 치고 있던 이천의진이 7월 20일 관군의 공격을 받고 크게 패하였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이천의진을 지원하기 위하여 청운에서 화장동으로 행군하여 나아가던 중, 부동면[현 주왕산면] 상평(上坪)의 화전등(花田嶝)에 이르러 관군의 기습을 받고 6명의 전사자를 남긴 채 패하고 말았다. 이른바 화전등전투였다. 정진도는 청송의진 해산 이후 보현산(普賢山)에 피신하였다가 1903년 12월 30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문집으로 『송담집(松潭集)』을 남겼다고 하나, 현재 분실되어 전하지 않는다.
[상훈과 추모]
2004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