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1413
한자 獨立運動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정의]

대구에서 일제의 침략에 맞서 전개된 민족독립운동.

[개설]

대구의 독립운동(獨立運動)은 일제의 한국 침략에 대한 저항이자 국권을 수호하고 민족 독립을 달성하여 자주적 근대 국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민족운동이었다. 대구의 독립운동은 조선과 대한제국 시기의 의병 항쟁과 계몽운동, 식민지 시기 대중운동, 문화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내외 항일운동, 학생운동, 광복군 등 국내외에서 다양한 노선과 민족적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개항기 대구의 국권 수호 운동]

식민지 이전 대구에서는 국권을 지키고자 하는 근대 개혁운동과 국권 수호 운동이 전개되었다. 1906년 대구광문사, 대구광학회를 중심으로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06년의 계몽운동은 1907년 국채보상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북후정(北後亭)에서 군민대회를 개최하여 국채 보상을 위한 조직을 갖추고, 민중의 지지를 얻으면서 전국적 운동으로 확대되었다. 1909년 신민회의 청년학우회에 가담하여서는 비밀결사에 의한 계몽운동을 펼쳐 1910년대 국외 독립운동으로 이어졌다. 의병항쟁의 경우 달성 출신 문석봉(文錫鳳)이 공주에서 을미의병을 주도하거나 군대 해산 이후 대구 진위대 소속 군인들이 산남의진(山南義陣)에 합류하여 의병항쟁의 고양에 이바지하였다.

[1910년대 대구의 독립운동]

독립운동은 1910년대 이후로는 빼앗긴 자주권을 회복하고,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식민지 민족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이 시기 대구 독립운동의 대표적 사례로는 1910년대 비밀결사 조선국권회복단과 광복회 운동, 1916년 독립 군자금을 마련하기 위한 ‘대구권총사건’을 들 수 있다.

1919년 3월 8일 서문시장 만세 시위를 시작으로 전 민족적 항일운동인 3·1운동을 폭발시켰다. 3월 10월 덕산정 동문시장 만세 시위, 3월 30일 동화사 지방 학림의 덕산정 동문시장 만세 시위, 4월 15일 대명동 만세 시위, 4월 26일 팔공산 미대동 만세 시위가 있었다. 대구의 3·1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중심이 되어 비밀결사 혜성단을 통하여 철시 투쟁과 격문 투쟁을 전개하였다. 유림이 중심이 된 파리장서운동(巴里藏書運動)도 이어 갔다. 덧붙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같은 국외 세력과 연계된 독립운동 자금 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 대구의 독립운동]

대구의 1920년대 독립운동은 청년운동, 여성운동, 노농운동, 형평운동 등의 대중운동과 사회운동, 이종암 사건조선식산은행 폭탄 사건과 같은 의열 투쟁, 대구 학생운동 비밀결사와 대구고보폭압동맹반대투쟁과 같은 학생운동, 허무당과 같은 폭력투쟁, 진우연맹과 같은 무정부주의운동, 민족협동전선의 신간회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928년 대구 지역 학생운동 비밀결사 사건은 전국 최초의 학생 이념 사건으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1930년대 이후 대구의 독립운동]

대구의 1930년대 이후 독립운동은 조선공산주의자 협의회, 대구노동자협의회와 같은 혁명적 대중운동과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사회과학연구회, 대구상업학교, 대구사범학교 등의 비밀결사 등의 운동으로 펼쳐졌다. 비밀결사와 연계된 1930년대 일본의 만주 침략을 반대하는 반전·반제 격문 투쟁도 전개되었다. 1930년대 독립운동은 ‘이론’이 아닌 ‘현장’을 기반으로 한 혁명적 대중운동이 주류를 이루었다.

일제 말기 대구의 독립운동은 대구사범학교 다혁당, 대구상업학교 태극단, 무우원과 같은 학생 비밀결사 운동이 대세였다. 아울러 대구 24부대 탈출, 대구신사 방화, 단파방송 청취,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경북조직 등의 활동을 통하여 일제의 전쟁 정책에 반대하고, 건국을 준비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의 운동과 사건을 일으켜 일제의 식민 지배에 맞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의의와 평가]

대구의 독립운동은 일제 침략의 전 시기에 걸쳐 다양한 노선과 이념을 견지하고, 대구와 경상북도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 및 국외의 독립운동과 긴밀히 연계하여 전개되었다. 대구의 독립운동은 한국 독립운동의 고양과 발전에 기여하고, 광복 후 자주적 국민국가의 수립 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대구의 독립운동은 대구 시민들의 자긍심으로 굳건히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