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21194
한자 鳳舞亭
영어공식명칭 Bongmujeong Pavilion
분야 생활·민속/생활,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327-7[봉무동 939-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은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축|증축 시기/일시 1875년연표보기 - 봉무정 개축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7월 25일연표보기 - 봉무정,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봉무정,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재지 봉무정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 327-7[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939-1]지도보기
성격 정자|재사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7칸
측면 칸수 2칸
소유자 경주최씨 문중
관리자 경주최씨 문중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위치한 조선 후기 정자.

[개설]

최상룡경주최씨 봉무동 입향조인 최제남의 5세손이다.

[위치]

동구 불로동 팔공산나들목에서 팔공산 방면으로 2.3㎞쯤 가다 보면 좌측으로 종합유통단지로 가는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팔공산 방면으로 계속 100m쯤 직진을 하면 좌측 길 건너 언덕 위에 봉무정이 보인다.

[변천]

최상룡은 현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에 교육공간으로 사용하기 위해 초가로 강학소를 만들었다. 최상룡 사후 26년 뒤 1875년(고종 12)에 동구 지역 사람들이 초가집을 헐고 기와집을 지었다. 이후 봉무정은 재사[기숙사]·정자뿐 아니라 향약을 실시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한편, 봉무정은 한때 달성군 공산면[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 일대]에 있던 강동·독좌·위남·단산 4개 마을의 공공건물[동사무소]로도 활용된 바가 있다.

[형태]

봉무정은 정면 7칸·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좌·우 맨 끝에 한 칸의 협칸[정면이 여러 칸으로 된 건물에서, 중앙에 있는 칸 다음에 위치하는 칸]을 두고 부섭지붕[한 방향으로 경사된 지붕]을 달아낸 형식이다. 정면에서 바라보면 왼쪽에서부터 1칸의 협칸·1칸 방[예용재(禮用齋)]·3칸 대청·1칸 방[덕교재(德敎齋)]·1칸 협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면으로 반 칸 툇간을 두고 있다.

[현황]

봉무정경주최씨 문중이 관리하고 있으며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봉무정은 조선 후기 및 근대시기 동구 지역의 인물·역사·문화·전통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1984년 7월 25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