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80872 |
---|---|
한자 | 李宗文[達城郡] |
영어공식명칭 | Lee Jong Mun |
이칭/별칭 | 학가,낙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병훈 |
출생 시기/일시 | 1566년 12월 23일 - 이종문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588년 - 이종문 사마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592년 - 이종문 팔공산 의병 창의 |
활동 시기/일시 | 1604년 - 이종문 하목정 건립 |
활동 시기/일시 | 1610년 - 이종문 삼가 현감으로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12년 - 이종문 비안 현감 부임 |
활동 시기/일시 | 1620년 - 이종문 군위 현감 부임 |
몰년 시기/일시 | 1638년 - 이종문 사망 |
출생지 | 이종문 출생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현 하산리 |
거주|이주지 | 이종문 거주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현 하산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삼가 현감|비안 현감|군위 현감 |
[정의]
조선 후기 하빈현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학가(學可), 호는 낙포(洛浦). 고려 개국 공신 태사(太師) 이도(李棹)의 17세손으로 대대로 대관(大官)을 지냈다. 고조할아버지는 사복시 정 이세분(李世芬)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형조 정랑 이광원(李光元)이다. 할아버지는 예산 현감을 역임한 이필(李佖)이다. 이필에 이르러 하빈(河濱)에 거주하게 되었다. 아버지는 병절교위 이경두(李慶斗)로, 임진왜란 때 곽재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토벌한 공적으로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증직되었다. 어머니는 선교랑 윤황(尹滉)의 딸 파평 윤씨(坡平尹氏)이다. 이종문의 첫번째 부인은 지평 전경창(全慶昌)의 딸 옥산 전씨(玉山全氏)이다. 딸이 한 명 있었는데, 사위는 판관 윤좌벽(尹佐辟)이다. 큰아들은 현령 이지영(李之英)이고, 작은아들은 찰방 이지화(李之華)이다. 두번째 부인은 이분(李芬)의 딸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2남 2녀를 낳았다. 아들 둘을 낳았는데 이지발(李之發), 이지시(李之蒔)이다.
[활동 사항]
이종문(李宗文)[1566~1638]은 1588년[선조 21] 생원(生員)이 되고, 제용감 직장(直長)·사헌부 감찰(監察) 등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 총관(摠管) 박충후(朴忠後) 등과 함께 팔공산(八公山)에서 의병을 일으켜 서면 대장(西面大將)이 되어 활약했다. 정유재란 때는 망우당 곽재우와 함께 창녕 화왕산성에서 적을 막았으며, 군공으로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604년[선조 37]에 다산(茶山)[하빈현 하산리]에 하목정(霞鶩亭)을 건립하고 우거(寓居)하였다. 그러던 중 1610년[광해군 2] 삼가 현감으로 제수되었으며, 이후 1612년 비안 현감을 비롯하여 1620년 군위 현감을 역임하였다. 1638년[인조 16] 6월에 병환으로 세상을 떠나니 향년 73세였다.
[저술 및 작품]
후손들이 이종문의 유문을 수습하여 문집인 『낙포집(洛浦集)』을 편찬하고, 1897년 『전성세고(全城世稿)』에 다른 이들의 문집과 함께 엮어서 간행하였다.
[상훈과 추모]
승정원 좌승지(左承旨)에 증직(贈職)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