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0609 |
---|---|
한자 | 李芳實 |
영어공식명칭 | Lee Bangsil |
이칭/별칭 | 충렬(忠烈)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장현희 |
출생 시기/일시 | 1298년 - 이방실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354년 - 이방실 대호군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60년 - 이방실 추성협보공신·추밀원부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62년 - 이방실 홍건적 격퇴하고 개경 수복 |
몰년 시기/일시 | 1362년 - 이방실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391년 - 이방실 '충렬'이란 시호 받음 |
출생지 | 함안 병곡내동 생동산 기슭 - 경상남도 함안군 |
묘소|단소 | 이방실 묘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81 |
사당|배향지 | 숭의전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 |
사당|배향지 | 남강서원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소포5길 82[소포리 1167-1] |
사당|배향지 | 충렬사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81 |
성격 | 무관 |
성별 | 남 |
본관 | 함안 |
대표 관직 | 중서시랑평장사 |
[정의]
경기도 가평군에 묘가 있는 고려 후기 무신.
[가계]
이방실(李芳實)[1298~1362]의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할아버지는 함안 이씨(咸安 李氏) 시조인 파산군(巴山君) 이상(李尙)이고, 아버지는 총랑(摠郎)·판도판서(判圖判書) 이원(李源)이다. 1298년(충렬왕 24) 함안 병곡내동(竝谷內洞) 생동산(生童산) 기슭에서 태어났다. 첫째 부인은 진주 강씨(晉州 姜氏) 강존(姜存)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영산 신씨(靈山 辛氏)이다.
[활동 사항]
이방실은 고려 태자 왕흔(王昕)[충목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호종하였는데, 공을 인정받아 충목왕 즉위 후 중랑장에 임명되었다. 이어 호군(護軍)이 되었으며, 토지 100결(結)도 하사받았다. 1354년(공민왕 3) 선성(宣城)에서 다루가치[達魯花赤] 노연상(魯連祥) 부자가 반란을 일으키자, 대호군이 되어 용주(龍州)[지금의 평안북도 용천군]의 군사를 이끌고 가서 진압하였다.
1359년(공민왕 8) 모거경(毛居敬) 등이 이끄는 홍건적(紅巾賊) 4만 명이 압록강을 건너 의주(義州)·정주(靜州)·인주(麟州)[의주·정주·인주는 모두 지금의 평안북도 의주군 일대] 등을 함락하였다. 이방실은 안우(安祐)·이음(李蔭)·이인우(李仁祐) 등과 함께 출전하여 청천강에서 적을 격퇴하였다. 1360년(공민왕 9)에는 상장군으로서 철화(鐵化)에서 홍건적 100여 명을 죽였고, 이어 상만호가 되어 접전 끝에 압록강 밖으로 적을 퇴각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이방실은 홍건적 격퇴의 공으로 추성협보공신(推誠協輔功臣)·추밀원부사에 제수되었다. 이후 풍주(豐州)에서도 다시 한 번 홍건적을 격파하였고, 공민왕으로부터 옥으로 만든 허리띠와 갓끈을 하사받았다.
1361년(공민왕 10) 반성(潘誠)·사유(沙劉)·관선생(關先生) 등이 이끄는 홍건적 10만 명이 압록강을 건너 삭주 등지에 쳐들어오자, 서북면도지휘사가 되어 상원수 안우, 병마절도사 김득배(金得培), 지휘사 김경제(金景磾) 등과 함께 개주(价州)[지금의 평안남도 개천시]·연주(延州)[지금의 평안북도 영변군]·박주(博州)[지금의 평안북도 박천군] 등지에서 요격하였다. 그러나 안주와 절령(岊嶺)[자비령]에서 패배하였고, 개경까지 함락당하였다.
1362년(공민왕 11) 총병관(摠兵官) 정세운(鄭世雲)·김득배·안우·안우경(安遇慶)·이성계(李成桂)·최영(崔瑩)·한방신(韓方信) 등과 함께 20만의 병력으로 개경을 포위하여 적을 섬멸하고 개경을 수복하였다. 이어 중서시랑평장사에 올랐으나, 이방실·김득배·안우 등의 공을 시기하던 김용(金鏞)의 간계에 의해 살해되었다.
[묘소]
이방실의 묘는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산81에 있다. 부인 진주 강씨(晉州 姜氏)와 영산 신씨(靈山 辛氏)가 합장되어 있다. 1972년 경기도 기념물 제52호로 지정되었다.
[상훈과 추모]
이방실은 1391년(공양왕 3) 중랑장 방사량(房士良)의 상소로 ‘충렬(忠烈)’이란 시호를 받았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경기도 연천군에 있는 숭의전(崇義殿), 경상남도 함안군에 있던 남강서원(南岡書院)에 배향되었다. 이방실 묘역 아래에는 충렬사(忠烈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