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300020 |
---|---|
한자 | 現代 |
영어공식명칭 | Moder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하유식 |
[정의]
1945년 해방 이후 거창 지역의 역사.
[해방~한국 전쟁 이전]
1945년 8월 15일 해방이 되자 거창 지역민들은 일제 잔재를 청산하고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는 일에 앞장섰다. 건국 준비 위원회 거창지부가 거창 인민 위원회로 개편되었다. 전국 농민 조합 총연맹 산하 거창 농민 조합과 전 조선 청년 총동맹 지부인 거창읍 청년 동맹, 대한 독립 촉성 국민회 등 좌우익을 망라한 대중 조직이 건설되어 거창 지역의 해방 공간에서 활동하였다.
미군정은 일제의 경찰이었던 장자관(張子寬)을 거창 경찰서장에, 지역 유지 신중목(愼重穆)을 거창 군수에 임명하였다. 거창 인민 위원회는 미군정과는 별도로 민족주의자 주남재(朱南宰)를 거창 군수로, 지역 유지 황창석(黃昌錫)을 거창 경찰서장으로 뽑아 치안 질서를 유지하였다. 미군정은 인민 위원회가 임명한 군수와 서장을 파면하고, 인민 위원회와 농민 조합, 청년 동맹 등의 사무실을 수색하고 활동가들을 체포하였다. 이로써 해방 후 새롭게 등장한 신진 세력을 중심으로 전개되던 거창 지역의 대중 운동은 쇠퇴하고, 자율적으로 형성되었던 거창의 지역 정치 구조가 미군정에 의해 강제적으로 재편됨으로써 이후 좌우익 갈등이 심화되었다.
1948년 5월 10일 제헌 국회 의원 선거에 지역 유지 2명, 기독교계 1명, 독립운동가 1명이 출마하였다. 일제 강점기 월천면장을 지낸 독립 촉성 국민회 소속 지역 유지 표현태(表鉉台)가 거창 지역의 초대 국회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1948년 8월 정부 수립 후 거창 지역은 좌익 세력의 야산대 활동이 활발하였다. 1949년 7월 6일 월천면의 표현태 국회 의원 집을 야산대가 습격하여 부친과 조카를 살해하였다. 1949년 8월 23일에는 거창 읍내가 야산대에게 점령되어 거창 군청과 재판소, 경찰서 사찰 주임의 관사, 객사 건물 등이 불탔다. 1950년 5월 30일 제2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국민회를 기반으로 활동했던 우익 성향의 신중목이 당선되었다.
[1950년대]
거창 지역은 한국 전쟁 발발 두 달여 뒤인 7월 27일에 북한 인민군에게 점령되었다. 미군은 인민군 점령 지역에 대규모 폭격을 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거창읍 양평리 주민 일가족 6명과 거창 읍내 피난민 20명이 희생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 거창에서는 여러 건의 민간인 학살 사건이 일어났다. 거창 경찰은 1950년 7월 21일 국민 보도 연맹원 7명을 합천군 묘산면 마령재에서, 7월 27일에는 합천군 봉산면 권빈재에서 28명을 학살하였다.
국군 11사단 9연대 3대대가 거창 지역에서 빨치산 토벌 작전을 전개하던 중 북상면 갈계리, 병곡리, 월성리, 소정리 등지에서 주민을 학살하였다. 한동석 소령이 이끄는 국군 3대대는 1951년 2월 9일 덕산리 청연 마을 주민 80여 명을 학살하였다. 신원면 탄량골에서 주민 100여 명, 박산골에서 517명을 학살하였다. 이때 희생당한 주민들의 대부분은 빨치산이 아니라 평범한 민간인이었다. 1951년 3월 29일 거창 지역 국회 의원 신중목이 국회 본회의에서 거창 민간인 학살 사건을 폭로하였다. 국회와 내무부, 국방부, 국방부 합동 조사단이 거창 현지를 조사하기 위해 왔으나 공비로 위장한 국군의 총격으로 조사하지 못하고 되돌아갔다. 국회는 민간인 학살이 비합법적이고 부당하기 때문에 책임자를 처형, 징계해야 한다는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1951년 12월 고등 군법 회의에서 민간인 학살을 지휘한 국군 지휘관에 대해서 3~10년, 무기 징역형 등이 선고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1년 이내에 모두 풀려나 복귀하였다.
1952년 처음 실시된 도 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이태웅과 국민회 신중하가 당선되었다. 초대 거창 면 의원 정원은 거창읍 15명, 가조면·웅양면 13명, 위천면·마리면·남상면·신원면·가북면 12명, 월천면·고제면·남하면·북상면·주상면 11명으로 총 156명이었다. 면 의원들은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였고, 경력은 면장, 면서기, 구장 출신들이 주를 이루었으며, 소속은 국민회와 대한 청년단 등 우익 성향의 사회단체와 무소속이 많았다. 1950년대 이승만 정부 시기 세 차례의 대통령 선거에서 거창 지역민들은 이승만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1956년 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 후보를 지지하는 모습을 보였다. 1954년 제3대 국회 의원 선거에서 민국당의 신도성(愼道晟)이 자유당의 신중목을 이겼다. 1950년대 후반 거창 지역의 민심은 정부 여당을 떠나 야당으로 기울고 있었지만, 1958년 국회 의원 선거에서는 여당이 야당을 이겼다.
[1960~1970년대]
거창에서도 1960년 3·15 부정 선거가 자행되었다. 집권 여당은 이미 1958년 국회 의원 선거 때부터 부정을 저질렀다. 거창군 가조면에서 야당 선거 위원이 추천되지 못하도록 공작을 벌였고, 야당의 선거 간판을 훼손하는 등의 선거 부정이 일어났다. 4월 혁명 발발 후 거창 민간인 학살 사건이 재조명되었다. 1960년 5월 희생자 위령비를 세우는 과정에서 민간인 학살 사건 당시의 신원면 면장을 유족들이 죽이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사회 문제로 떠오른 학살 사건에 대해서 국회가 조사에 나섰고, 밝혀진 신원면 학살 사건 희생자는 791명이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 정변 발생 후 정부는 유족회 간부를 구속하고 유족회를 해산시켰으며 희생자 위령비를 훼손하였다.
1960년 4월 혁명 직후 거창 지역민들은 민주당을 지지하였다. 면 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 의원이 대폭 당선되었고, 국회 의원 선거에서도 민주당 인물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 정변 이후로는 총선과 대선에서 대체로 집권 여당이나 중앙 권력자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5·16 군사 정변 이후부터 1972년 유신 체제 전에 실시된 세 차례 대통령 선거에서 거창 지역민들은 여당의 박정희 후보를 지지하였다. 1969년 3선 개헌안, 1972년 유신 헌법안에도 찬성표를 던졌다. 1963년부터 1985년까지 실시된 7번의 국회 의원 선거에서 한 번도 여당 후보가 낙선된 적이 없었다.
1960년대 이후 거창은 교육 도시로 명성을 얻었다. 1956년 거창 고등학교 교장으로 부임한 전영창과 전영창의 뜻을 계승 발전시킨 거창 사람들의 노력이 컸다. 거창 고등학교가 실시한 교육은 공동체 생활과 인격 교육을 지향하고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하는 전인 교육이었다. 1969년 거창 고등학교 학생들은 박정희 정권의 3선 개헌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이 사건은 거창 지역 최초의 민주화 운동으로 기록되었다.
[1980년대]
거창 지역민은 1987년 실시된 국민 투표에서 직선제 개헌을 찬성하였다. 1987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야당 후보에게 더 많은 표를 던졌고, 1988년 4월의 국회 의원 선거에서도 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1980년대 후반 거창은 야당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1990년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의 3당 합당으로 민주 자유당이 탄생하자 민주 자유당의 정치적 영향권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거창 지역민들은 민주 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으로 이어지는 정치 세력을 지지하였다. 거창 군수 선거에서 한나라당-새누리당 계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었고, 경상남도 의원 선거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되풀이되었다. 1990년대 이후 지금까지 실시된 지방 선거에서 도지사, 군수, 도 의원, 군 의원 후보와 당선자의 정치 성향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1987년 6월 항쟁 때 거창 지역민들은 ‘호헌 철폐’와 ‘독재 타도’를 외치며 시위를 벌여 군사 독재 체제를 종식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거창 지역의 교사들은 1989년 전국 교직원 노동조합을 결성하여 교육 민주화 운동에 앞장섰다.
[1990년대 이후]
1990년대 이후 거창 농민회는 농산물 시장 개방에 반대하는 투쟁을 벌였다. 1987년 6월 항쟁 후 사회 민주화가 진전되고 거창 민간인 학살 사건 희생자 유족들이 끊임없이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한 결과 1996년 1월 5일에 ‘거창 사건 등 관련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 조치 법안’이 공포되었다. 거창 민간인 학살 사건 희생자의 명예 회복이 이루어졌고, 2004년 4월 거창 사건 추모 공원이 조성되었다.
거창은 1990년대에 들어 제도권 교육에 대한 대안 교육의 희망 지역으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경상남도 최북단에 위치한 ‘첩첩산중’ 거창에 중앙과 도시 지역 학생들이 학교 진학을 위해 찾아들었다.
1990년대 이후 거창 지역의 시민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거창 시민 연대와 함께하는 거창, 푸른 산내들, 거창 YMCA 등 시민 단체들은 견제와 균형이라는 민주주의 정치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거창 시민 연대의 88 고속 도로 확포장 운동과 함께하는 거창의 무상 급식 운동 등은 거창을 대표하는 시민운동으로 자리매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