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0689
한자 咸平李氏
영어음역 Hampyeong Yissi
영어의미역 Hampyeong Yi Clan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집필자 송만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세거지 전라북도 고창군 흥덕면 송암리
입향시기/연도 1562년|1600년대|1800년대
성씨시조 이언
입향시조 이원형|이홍의|이언성|이창진|이민상

[정의]

이언을 시조로 하고 이원형·이홍의·이언성·이창진·이민상 등을 입향조로 하는 전라북도 고창군 세거 성씨.

[연원]

함평이씨는 고려 광종 때 신무위대장군을 지낸 함풍군(咸豊君) 이언(李彦)을 시조로 한다. 고창군의 함평이씨는 함성군파(咸城君派),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남헌공파(南軒公派), 죽음공파(竹陰公派) 등이 알려져 있다.

[입향경위]

함평이씨 고창군 입향조인 이원형(李元亨)은 함성군 이극해(李克諧)의 손자로 1509년(중종 4)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죽산리 작약동(芍藥洞)에서 태어났다. 1562년(명종 17) 고창군 상하면 송곡리 수동으로 이거하여 후진을 양성하였고, 아들 이욱(李郁)은 임진왜란 때 진주성(晉州城) 싸움에서 순절하였다.

이홍의(李弘誼)는 함풍군 이언의 18대손이자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이장영(李長榮)의 손자로 1577년(선조 10)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上西面) 통정리(通政里) 도화동(桃花洞)에서 태어났다. 정유재란 때 아버지 이유(李揄)가 의병장으로 나서 부안 호벌치(胡伐峙) 싸움에서 순절하자 어머니 부령김씨(扶寧金氏)도 따라서 순절하고 가산마저 잃어, 형제들이 흩어져 떠돌아다니다가 성내면 월산리(月山里) 금월(今月)에 정착하였다.

이언성(李言聖)은 현령공 이조(李稠)의 5대손으로 1632년(인조 10)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에서 태어나 생계를 위해 상하면 장산리(壯山里)로 옮겨 와 정착하였다. 이창진(李昶鎭)은 남헌공 이선(李璇)의 6대손으로 1816년(순조 16)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大馬面) 남산리(南山里)에서 태어나 흥덕면 송암리(松岩里) 종송(種松)으로 이거하였다. 이민상(李旼相)은 죽음공 이만영(李萬榮)의 11대손으로 1863년(철종 14)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남산리에서 태어나 고수면 평지리(平支里)에 사는 연안이씨 이현구(李玄九)의 사위가 된 것이 계기가 되어 입향하였다.

[현황]

2009년 현재 이원형의 후손들이 해리면 안산리 우산, 무장면 강남리, 부안면 수앙리 용현, 신림면 도림리 왕림 등지에 살고 있다. 이홍의의 후손들이 성내면 월산리·옥제리(玉堤里)·양계리 등지에 살고 있다. 이언성의 후손들이 해리면 왕촌리(旺村里), 나성리(羅星里) 등지에 살고 있다. 이창진의 후손들이 신림면 송암리 종송에서 5대째 살고 있다. 2000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고창군에 살고 있는 함평이씨는 총 408가구에 1,059명이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김** 위의 내용을 연구한 바 이광봉 함풍부원군이 훨씬 먼저 득위를 하였습니다. 이언은 한참 뒤의 인물입니다. 바로 잡고 수정해야 맞습니다.
  • 답변
  • 디지털고창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함평이씨종친회 (hplee.hometer.com)]에 의하면 아직까지 이언을 시조로 봅니다. 이 문제가 정리되지 않은 상황이라 수정해드리지 못하는 점 양해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4.10.28
원* 고려 광종 때 이언은 등장하지도 않는 인물이고 그 당시에는 신무위대장군도 신호위 대장군도 없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국사편찬위원회가 답변한 자료가 그렇습니다.
함풍부원군에 처음 봉해지신 분은 고려 충렬왕. 충숙왕 때 삼사사 이셨던 함풍부원군 이광봉밖에 없습니다.
함평이씨 족보는 잘 못되어도 한참 잘못된 족보입니다.
2012.11.06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