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801184 |
---|---|
한자 | 玄谷精舍 |
영어음역 | Hyeongokjeongsa |
영어의미역 | Shrine of Hyeongok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 333[주곡1길 68-34]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형성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4년 9월 27일 - 현곡정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현곡정사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
성격 | 사당 |
양식 | 팔작지붕 |
건립시기/일시 | 1924년 |
정면칸수 | 3칸 |
측면칸수 | 2칸 |
소재지 주소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 333[주곡1길 68-34] |
문화재 지정번호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주곡리에 있는 유영선(柳永善)이 건립한 일제 강점기 정사.
[변천]
현곡정사는 현곡(玄谷) 유영선(柳永善)[1893~1961]에 의해 건립되었다. 현곡정사가 건립되기 이전, 유영선의 스승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가 이곳에서 1년 정도 강학 활동을 하였다. 그 후 유영선이 스승을 계승하여 학문을 연구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924년에 건립하였다. 1936년에는 현곡정사 앞에 판경당(辦敬堂)을 세웠고, 1956년에는 서북쪽 가장 높은 곳에 용암사(龍巖祠)를 세워 전우의 진영을 봉안하였고, 지금은 유영선의 영정과 위패를 함께 봉안하고 있다.
[형태]
현곡정사는 장대석 기단 위에 방형의 초석을 놓고 방주(方柱)를 세워 지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옆면에서 볼 때 팔자형 팔작지붕이다. 평면은 마루방·방·대청·건넌방 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건넌방 뒤에는 작은 골방이 있다. 누마루와 같이 바닥면을 높게 구성한 마루방 앞면에는 ‘상지헌(尙志軒)’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나머지 실(室) 앞에는 모두 툇마루가 시설되어 있고, 집의 양측에도 각각 쪽마루를 놓아 출입이 편리하도록 하였다. 정면 5칸인 전후퇴집 구조의 판경당에는 왼쪽부터 두 칸의 방과 대청, 그리고 한 칸의 방이 있는데, 후대에 이 건물 사면에 툇기둥을 세우고 가적지붕처럼 퇴를 달아냈다.
정사와 같은 축선상으로 판경대가 낮게 자리하고 있다. 외벌대 기단 위에 정성을 들여 치석한 초석을 놓았고, 두리기둥을 세웠는데, 소로수장집의 건실한 모습이다. 정사 서북쪽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사우 용암사는 백운산(白雲山) 아래에 자리 잡고 있다. 용암사는 정면 3칸, 측면 1.5칸의 맞배지붕이다. 사우 아래에는 장서각(藏書閣)과 낙영당(樂英堂)이 있다.
[현황]
현곡정사는 전우와 유영선의 영정과 위패가 있고, 관리사와 벽돌조의 장서각이 있다. 장서각에는 유영선이 저술한 책과 가문에서 보존하고 있는 2만여 권의 장서 및 유품이 있다. 1974년 9월 27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유영선이 고창 지역에서 후학들을 훈도하며 유학 사상을 고취한 업적과 함께 그의 우국 정신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