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창성에 얽힌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801678
한자 高敞城-
영어음역 Gochang Seonge Eokhin Iyagi
영어의미역 The Tale of Gochangeupseong Fortress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권은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전설|축성담
주요 등장인물 남자|여자
관련지명 고창 지도보기
모티프 유형 성 쌓기 내기

[정의]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에서 고창성의 축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고창성에 얽힌 이야기」고창성이 남자와 여자의 성 쌓기 내기를 통해 성을 쌓았다는 축성담이다. 고창읍 읍내리에 소재한 고창성고창읍성, 모양성이라고도 불린다. 고창성에는 손바닥만 한 돌을 머리에 이고 성을 밟으며 도는 답성놀이가 전해지는데, 이렇게 하면 오래 살며, 죽어서는 극락왕생을 한다는 전설도 있다.

[채록/수집상황]

1993년 박순호가 집필하고 고창군에서 발행한 『고창군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다. 이는 박순호가 1990년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남흥동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수집·채록한 것이다.

[내용]

고창성은 왜적을 방비하기 위해 약 500년 전쯤에 쌓았다고 전해진다. 성을 쌓을 때 남자와 여자가 패를 나누어 성 쌓기 내기를 했는데 남자들은 현재의 아산면에, 그리고 여자들은 현재의 고창성 자리에 성을 쌓기로 했다. 두 곳이 서로 마주 보이는 자리여서 여자들이 일하는 모습이 남자들에게 빤히 보였다. 그런데 여자들이 성을 쌓지 않는 것처럼 보이자 남자들은 만날 술이나 먹고 낮잠이나 자며 빈둥거렸다. 하지만 여자들은 보이지 않는 곳에 성의 2/3를 먼저 완성해 놓고 나중에 1/3을 마저 완성하여 성 쌓기 내기에서 승리하였다. 이렇게 여자들이 쌓은 성이 바로 고창성이고, 남자들이 쌓기로 한 성은 축성되지 못하고 현재 아산면에 성터만 남아 있다.

[모티프 분석]

「고창성에 얽힌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성 쌓기 내기’이다. 이 이야기는 남자와 여자가 패를 나누어 성 쌓기 내기를 하였는데, 꾀를 낸 지혜로운 여자들이 어리석은 남자들을 속여서 내기에 이겼다는 지략담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