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의생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016
한자 衣生活
영어의미역 Costume Life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서미영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몸에 걸치거나 입었던 의복 및 이와 관련한 생활 풍속.

[개설]

공주 지역은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반적인 의생활 양식이 현대화되어 있다. 특히 2008년 현재 대부분 일상복으로 서양복을 착용하고 있으며, 결혼식 폐백 등 특별한 의례복으로만 전통복식이 착용되고 있다. 현재 확립된 전통복식은 남성은 바지·저고리에 두루마기, 여성은 치마·저고리가 기본이 된다.

여기에서는 공주 지역에서 태어나서 현재까지 거주하거나 다른 지역에서 시집와서 현재까지 살고 있는 대상자들에 대한 민속조사를 통해, 지속되어오던 공주 지역의 전통적 의생활 및 현재까지의 변화과정을 알아보았다. 조사 대상자 최희순(72세)과 서 모(73세)는 공주에서 출생하여 현재까지 공주에 거주하고 있고, 장기봉(79세)은 대전에서 공주로 시집와서 현재까지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일상복으로 전통복식을 착용하던 시대와 서양복식을 착용하던 시대를 두루 경험한 세대여서, 이들을 통해 공주 의생활의 변천과 현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종류 및 내용]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일상복으로 착용하였던 한복의 소재는 여름에는 모시·삼베·광목·무명·옥양목 등 명주를 제외한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었다. 봄과 가을에는 무명·광목·옥양목·명주, 겨울에는 무명·광목·옥양목과 명주에 솜을 넣어 입었다. 일상복으로는 광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명절에는 명주가 사용되었다.

남자의 일상복은 바지·저고리·조끼·마고자·두루마기로 구성된다. 서 모의 남편은 흰색 광목을 가장 좋아하여 사계절에 주로 흰색 광목으로 만든 바지·저고리를 입었다. 여름에는 광목으로 만든 중적삼에 바지를 입기도 하였다. 외출할 때는 조끼와 두루마기를 덧입었고, 겨울에는 두루마기 안에 마고자를 입었다.

여자의 일상복은 치마·저고리로 구성되며, 속옷으로 다리속곳·고쟁이·단속곳 등을 입었다. 장기봉은 결혼 전에는 일상복으로 검정색·남색·자주색의 통치마에 노란색·옥색·분홍색·흰색의 저고리를 입고 고무신을 신었다. 결혼 후에는 빨간 치마에 초록색 저고리를 입고, 흰색 앞치마를 둘러 입었다. 최희순은 결혼 전에는 분홍색·남색·검정색 통치마에 흰색·노란색·분홍색 저고리를 입었으며, 결혼 후에는 자락치마를 입었다. 서 모는 결혼 전은 물론 결혼 후에도 통치마를 입었다.

서양복이 들어오면서 일상복으로 전통복과 서양복을 병용하게 되었다. 남자는 바지·저고리 대신 양복을 입었고, 여자는 치마·저고리 대신 원피스나 투피스를 입었다. 1960년대 섬유산업의 등장은 공주 지역에서도 양장을 일상복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현재 일상생활에서의 의생활은 양장으로 대신하고, 한복은 예복화되었다.

[의의와 평가]

공주 지역의 의생활에 대해 살펴본 결과 일상복은 과거에는 전통복식을 착용하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서양복이 주를 이루고 있다. 전통복식은 백일옷이나 돌옷·혼례복, 명절이나 경사 때 입는 옷, 또 상례 때 입는 옷으로 한정되어 일상적인 의생활은 우리나라 다른 지역의 의생활과 차이가 없었다.

[참고문헌]
  • 『공주시지』(공주시지편찬위원회, 2002)
  • 인터뷰(금학동 노인회장 장기봉, 여, 79세, 2008. 4. 18)
  • 인터뷰(금학동 주민 최희순, 여, 72세, 2008. 4. 18)
  • 인터뷰(신관동 주민 서 모, 여, 73세, 2008. 4. 18)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