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070 |
---|---|
한자 | 道川里山祭-路神祭 |
영어의미역 | Village-Ritual Ceremony of Docheon-ri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도천리 |
집필자 | 구중회 |
성격 | 산신제|노신제 |
---|---|
의례시기/일시 | 음력 12월 3일|음력 1월 15일 |
의례장소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도천리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도천리에서 동짓달 초사흗날과 이듬 해 정월 대보름날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공주시 우성면 도천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시에 정해진 단위이다. 1923년 간행된 『공산지(公山誌)』 천(天)에 의하면, 우정면(牛井面)의 약천리(藥川里), 도산리(道山里), 해포리(蟹浦里), 중윤리(中尹里), 경사동(京士洞), 남부면(南部面)의 신영리(新永里) 각 일부를 편입시켜 만든 구역이다. 도천(道川)이란 이름은 도산리(道山里)와 약천리(藥川里)에서 각각 글자를 따서 지었다고 한다.
그런데 1789년에 간행된 『호구총수(戶口總數)』에는 약천리(藥泉里)·도고두(道古頭)·문산리(文山里) 따위로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도천(道川) 지명은 도고두(道古頭)와 약천리(藥泉里)에서 각 글자를 땄음직하다. 따라서 지명 유래에 따라 도천(道川)의 표기를 도천(道泉)으로 재고해 볼 수 있다.
도천리에는 마을 농기로 황룡 용담기가 있는 것이 특이하다. 황룡 용담기는 기폭이 220㎝, 길이가 350㎝의 규모이며, 좌우 톱니가 각 11개로 24㎝이고, 아래 톱니가 6개로 60㎝이다. 황룡의 그림은 폭이 180㎝, 길이가 250㎝이며, 상단 40㎝에는 ‘건금 정사시수 을사중수 을해삼중수 정유사중수 경술오중수 병자육중수(建禁 丁巳始修 乙巳重修 乙亥三重修 丁酉四重修 庚戌五重修 丙子六重修)’라는 중수기록이 있고 그 아래 폭 40㎝에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이라는 명문이 있다.
최종 중수는 병자년으로 마을 주민들의 증언에 따르면 1921년이고 그림을 그린 대가로 백미 2가마를 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병자년은 1936년이거나 1876년 중 하나일 가능성이 크다.
[절차]
도천리에서는 동짓달 초사흗날에 산신제를 모신다. 마을 앞산의 기슭 역골에 터를 잡아 제사를 모실 때마다 거적 등을 둘러친다. 아무런 사우(祠宇)가 없이 낮은 산정(山頂)에 임시로 설단(設壇)하는 것은 강 건너 검상동(檢詳洞)에서도 같다. 산신제단이 정상형(頂上形)의 임시 마련 자연형과 기슭형의 사우형 등이 있다면, 전자가 더욱 오래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제관과 축관은 산제가 있기 약 3주일 전에 뽑는다. 생기복덕을 가렸으며 부정이 없어야 한다.
도천리 노신제는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마을 입구에서 지낸다. 제관과 축관의 선정은 노신제 약 2주일 전에 뽑는다. 소요 경비는 동네 기금의 일부에서 충당하며, 제수 물품은 삼색실과·쌀 닷 되 분량의 흰 무리 떡·포·술·돼지머리 등이다.
저녁 6시경이 되면 제관을 필두로 풍물패들이 의례 장소로 간다. 동네 입구 삼거리에 짚을 깔고 그 위에 제물을 진설한다. 보통 도로 복판을 이용하는데, 냇물을 바라보도록 진설한다. 대동 소지와 가가호호 소지를 올리고 삼헌(三獻)을 올린다. 의례 후에는 주민 모두가 모여 음복을 하며, 풍물에 맞추어 하루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