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135 |
---|---|
한자 | 中洞三神祭 |
영어의미역 | Goddess of Childbirth Religious Service in Jung-dong |
이칭/별칭 | 중동 삼신굿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 |
집필자 | 구중회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에서 아이의 출생에 맞추어 안방에서 삼신에게 예의를 표하던 민간의례.
[개설]
삼신제는 삼신굿이라고도 한다. 공주 지역에서는 아이를 ‘귀딩이’라고 불렀는데, 돌잔치에는 풍물패가 찾아가 대문 밖이나 바깥마당에서 고사상을 차려놓고 축원하는 ‘귀딩이 덕담’이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삼신받이에서 대를 따라 밖에 나가 돌이나 나무를 가져온다. 그러면 무당이 삼신전대를 만들어 받아온 삼신과 쌀을 넣어서 삼신지리에 모신다.
[절차]
공주시 중동 지역에서는 아이를 낳으면 그 집은 대문에 금줄을 쳤다. 산모는 미역국과 쌀밥을 먹는데, 항상 삼신에게 먼저 올린 다음에 먹었다. 집안 윗목에 짚을 깔고 그 위에 밥상을 놓는 형식이었다. 삼신상을 차리고 무당은 삼신대를 준비한다. 삼신상에는 뫼 한 그릇, 청수와 미역국 각각 한 그릇, 삼신시루(백설기)를 차린다. 삼신제는 부정경, 태을보신경, 축원문, 삼신경, 삼신받이, 내전푸리의 순서로 진행된다.
[축문]
중동 삼신제에서는 ‘귀딩이 덕담’이라고 하는 축문의 성격을 갖는 소리가 있다. “오색채운(五色彩雲) 가득하고/ 서기생기(瑞氣生氣) 충만한 날/ 천지생동(天地生動) 깨우는 탄명성(誕鳴聲)/ 옥동자의 순산이라/ 어허 둥둥 옥동자요 어허 둥둥 금동자요/ 귀한 자식 얻었으니 없던 춤이 절로 나네/ 귀한 자식 얻어놓고 소지(燒紙) 한 장 없을소냐/ 삼신당(三神堂)에 꿇어앉아 두 손 모고 비는 말이/ 비나이다 비나이다 삼신전에 비나이다/ 입은 덕도 많거니와 새론 원을 발원하오니(후략)”
그 다음 소리는 ‘일취월장’, ‘수명장수’, ‘부귀영화’를 빌고 있다. 그 다음 소리는 2~3세, 4~5세, 7~8세, 10세, 15세, 알성급제 따위의 미래에 대하여 발원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