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255
한자 告祀德談
영어음역 Gosadeokdam
영어의미역 Offering a Sacrifice to Spirits, Well-Wishing Remarks
이칭/별칭 「축원소리」,「비나리」,「고사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집필자 이걸재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연희나 축제 마당에서 풍장 가락에 맞추어 기원의 의미로 부르는 소리.

[개설]

공주시 일원에서는 풍물패가 풍장을 치면 상쇠잽이가 한마디쯤 고사 덕담을 할 줄 알아야 상쇠 소리를 들었을 만큼 많은 축원소리가 있었다. 축원소리에는 마을 단위의 고사소리, 대단위 사업 전에 치르는 각종 고사장에서 부르는 축원소리, 개인적인 입장에서의 고사소리, 집터 다기기, 풍물판의 짧은 축원소리 등 많은 종류가 있다. 부르는 사람의 경향에 따라 아주 다양한 가사가 전승되었으나, 소리를 하던 사람들이 대부분 세상을 떠난 지금은 만나기 어려운 소리가 되어가고 있다.

공주시에서는 이러한 고사 덕담을 「덕담(德談)」·「고사(告祀)소리」·「축원(祝願)소리」로 부르며, 많이 사용되는 빈도 역시 같은 순서이다. 잡귀(雜鬼)를 막는 주문으로서의 성격보다는 고사의 대상인 사람의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덕담’으로서의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 액을 막고 평화를 기원한다는 축원의 본래 취지에 따라 풍물과 연합 공연의 형식과 무속적인 격식을 보인다.

축원소리는 일반적으로 세마치 축원가락의 풍장소리에 맞추어 회심곡을 부르듯이 부른다. 덕담이 시작되면 쇠·북·장고·징이 모두 소리를 낮추어, 쇠는 가볍게 다드락거리고, 북은 피와 통을 가볍게 친다. 장고를 칠 때는 열채는 갓을, 궁구리채는 피를 다드락거리는 소리로 낸다. 징은 여린 울림소리로 세마치에 한 번을 치다가, 덕담소리를 낮추면 축원형 세마치 가락을 큰소리로 울린다.

고사 덕담은 즉흥성을 중요시하는 영향으로 지금도 새로운 노랫말이 생성되고 있다. 이 중 「공주 고사 덕담」은 각종의 문화공연 마당에서 자주 공연되고 있다. 노래는 공주시 의단면 요룡리 유왕종이, 열두달거리 형의 즉흥 고사소리는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의 권재덕이 부른다. 권재덕은 즉흥소리를 잘하여 대중적인 인기가 높다.

[고사 덕담의 종류]

고사 덕담은 짧은 축원과 긴 축원의 두 종류가 있다.

1. 짧은 축원(마을마다 다름)

1) 안택 축원: 정초에 가가호호를 방문하면서 복을 빌어주던 풍장패의 축원이다.

(1) 대문소리: 안택을 위하여 풍장패가 당도하여 주인을 부르는 소리이다. ‘시리시리시리시리쉬 우리가 누구냐 우리가 오라는 디는 웁써두 갈디가 많은 개통쇠가 아니더나 이 집을 보아허니 지붕새가 두툼한 것이(후략)’ 등의 가사가 있다.

(2) 우물 축원: 우물에서 새물을 받아놓고 올리는 축원이다. ‘뚜루세뚜루세 물구녕만 뚜루세 칠년대한 가믄날에 물나도록 뚜루세’라는 가사가 나온다.

(3) 조왕 축원 : 부엄에서 솥뚜껑을 엎어놓고 올리는 축원이다. ‘둘왔어 둘왔어 주왕(조왕)님이 둘왔어 만수복덕 누리라구 주왕님이 둘왔어’라는 가사가 있다.

(4) 칠성 축원 : 장독의 신주단지 앞에서 올리는 축원이다. ‘오셨네 오셨네 칠성님이 오셨네 자손만대 부귀영화 누리라구 오셨네’라는 가사가 있다.

(5) 성주축원: 마당에서 올리는 축원이다. ‘이곳이 어디냐? 해동하구두 조선국 충청도 하구두 공주 땅, 아 그중이서두 의당면 율정리 아무거시네 댁이 아니더냐’라는 가사가 있다.

2) 사방 고사 축원: 농깃고사, 집터 다지기, 두레 풍장의 고사 마당 등에서 보이는 풍장패의 축원이다.

(1) 동방 축원: 동편 축원으로 시작을 중요시하는 축원이다. ‘동방청제대장군 동작지형 만사 개시요’라고 한다.

(2) 서방 축원: 서편 축원으로 결과(성과)를 중요시하는 축원이다. ‘서방백제대장군 서성지형 만사형통이요’라고 한다.

(3) 남방 축원: 남편 축원으로 열성을 중요시하는 축원이다. ‘남방적제대장군 남정지형 지극정성이요’라고 한다.

(4) 북방 축원: 북편 축원으로 평온을 중요시하는 축원이다. ‘북방흑제대장군 북평지형 만인평온이요’라고 한다.

2. 긴 축원(마을마다 다름)

1) 일반 긴 축원: 다중이 모인 자리에서 개인 또는 단체의 복을 비는 축원이다.

(1) 열두달거리 축원: 1월부터 12월까지의 평온을 기원하는 축원이다. ‘일 년이면 열두달 과년이면 열슥달, 설두 달거리가 씨다하니(후략)’라는 가사가 나온다.

(2) 허튼 축원: 전반부에는 긴 축원의 형식으로 후반부에는 형식 없이 창자가 즉흥적으로 복을 비는 축원이다. ‘에~에이~에 축원갑니다요 덕담갑니다요 하늘 생기구 땅 생긴 연후에 충청도가 마련이구(후략)’라는 가사가 있다.

(3) 일반 축원: 일정한 형식 없이 창자가 즉흥적으로 참석자 개인의 복을 비는 축원이다. ‘세상 만물이 귀하다하나 사람보다 더 귀하랴. 오늘 만장하신 인사님들이 모이셨으니 복이나 다뤄보것시다(후략)’ 하는 가사가 나온다.

2) 경사 또는 고사 축원: 잔칫집 동네고사 장등에서 부르는 정형화된 풍장패의 축원이다.

(1) 동네 고사 축원 : 대동고사의 절차 중 마지막 대동 마당에서 마을의 안녕과 태평을 비는 고사 축원이다. ‘그르니께 우리나라 이씨야 장승[政丞] 육씨[六朝]에 임금이 한양입성(漢陽入城) 할 적이 하는 그거 쪼금하겠습니다(후략)’

(2) 집들이 축원: 새 집을 짓고 이사를 하고 나서 손님을 청하는 집들이 때 올리는 축원이다. ‘천지 조종은 곤륜산이요 수지조중은 황해수라(후략)’라는 가사가 있다.

(3) 성주풀이 축원: 정초 안택 풍장패들의 안택 터 투르기 축원 중 마당에서 올리는 축원이다. 남편 축원으로 대동고사 비용으로 쓸 재화를 많이 내거나, 마을을 대표하는 사람의 집 마당에서만 행하였다. ‘남이 장이 가닝께 씨가시 들구 장이 가더라구 넘덜이 하닝께 나두 성주풀이 한마디 한번 하것시다(후략)’라는 가사가 있다.

(4) 귀딩이 돌집 덕담소리: 부잣집의 귀한 아들 돌잔치 날 아이의 복을 비는 축원소리이다. ‘세상천지(世上天地) 만물이 귀하다 하나 어찌 사람에 비할손가?/부귀영화(富貴榮華)를 바라지 않는 사람이 웁스나 이루기는 쉽지 않쿠(후략)’라는 가사가 나온다.

(5) 안택 고사 덕담소리 : 풍장꾼 상쇄가 안택풍장을 치면서 집안의 평온을 비는 축원소리이다. ‘이동네 저동네 떠댕기면서 배운 짓거리루 명기를 불러내서는 안택 한번 하것시다(후략)’라고 시작한다.

[채록/수집상황]

1998년 12월 15일 열두달거리 고사소리를 공주시 산성동의 창자(唱者) 최정치(사망)와, 허튼고사소리를 공주시 산성동의 창자 최정치(사망), 동네고사소리를 공주시 우성면 상서리의 창자 오유영(사망)에게서 채록하였다.

1994년 12월 21일 귀딩이돌집 덕담소리를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의 창자 서장운(사망), 고사소리를 공주시 사곡면 가교리의 창자 유재천(사망), 성주풀이 고사소리를 공주시 우성면 상서리의 창자 오유영(사망)에게서 채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1. 구성

고사 덕담에는 짧은 고사소리와 긴 고사소리가 있다. 짧은 고사소리는 4~5개의 짧은 소리 묶음 형식으로 진행하며 순서를 중요시하고, 마지막 소리는 즉흥성을 더하여 3·5·7개의 덩어리 소리로 구성되었다. 긴 고사소리는 들어가는 소리, 명기 부르는 소리, 축원소리, 해원소리로 나뉜다. 들어가는 소리는 창자가 긴 고사소리의 시작을 알리는 소리이다. 명기 부르는 소리는 세상의 좋은 기운을 부르는 형식을 빌어 노래하는 장소가 어디인지를 알리는 소리이다. 축원소리는 액을 쫓고 복을 비는 소리이고, 해원소리는 고사 소리를 끝내는 소리이다.

2. 형식

짧은 고사소리에는 발자국 풍장(이동시 치는 풍장), 축원(큰 소리로 외치는 축원), 기원풍장(휘모리 풍장, 최대한 빨리 치고 강하게 맺음)이 있다. 긴 고사소리의 형식에는 들어가는 소리나 노래 중간에 사용하는 아니리, 1~3구절의 소리를 하며 중간에 풍장을 연주하는 창, 창자가 노래를 쉬는 중간에 울리는 풍장인 사이풍장, 창자가 노래할 때 울리는 풍장으로 소리를 죽여서 치는 다드래기 풍장이 있다.

3. 가락

짧은 고사소리 가락에는 2박 풍장의 발자국 풍장과, 휘모리의 기원풍장이 있다. 긴 고사소리 가락에는 세마치(삼채)의 일반적 가락과 춤장단 굿거리의 귀딩이 돌집 고사소리가 있다.

[현황]

1990년대 이전에 공주에서는 최정치·유재천·김태산 등이 풍물판에서 활동하면서 고사 덕담으로 명성을 얻고 활동하였으나 모두 생존하지 않는다. 이후 사곡면 권재덕, 의당면 전용주·박동화·유왕종이 각각의 소리를 하고 있다. 사망한 사람들의 소리와 예능은 이걸재가 모두 습득·보존하여 재현이 가능하다.

[의의와 평가]

충청남도 공주시는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식의 고사 덕담이 풍부한 고장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