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295 |
---|---|
영어음역 | Sijipganeun Norae |
영어의미역 | Folk Song of Marries |
이칭/별칭 | 「각시 혼인 타령」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 |
집필자 | 이걸재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에 전해지는 부녀자들이 일상이나 놀이판에서 부르던 민요.
[개설]
충청남도 공주시 일원에는 의식을 노래한 것들이 많았다. 이를테면 혼인 타령 속에는 혼례상 차리는 노래가 있고 혼인을 치르는 모든 과정을 노래한 것이 있으며, 회갑상을 차리는 노래도 있었다. 이 노래는 여인이 시집가는 날을 풍자하여 결혼의 설레임과 시집살이에 대한 두려움, 부모·형제와의 이별 등을 소재로 하면서 공주민요 특유의 느리고 가락의 변화가 적은 굿거리장단으로 불렀다.
현재 창이 가능한 혼인 타령은 각설이 타령 중 혼인 타령으로, 남자의 결혼 과정이 만남, 못난이 타령, 혼례상 차리는 대목, 첫날밤 타령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자 입장에서 시집가는 노래는 이 노래가 유일하다.
[채록/수집상황]
「시집가는 노래」는 1983년 5월 3일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하신리에서 박계홍, 황인덕에 의해 채록되었다. 노래는 박옥례(여, 1915년생)가 불렀다.
[구성 및 형식]
느리고 단조로운 굿거리 형식의 4박자 노래로 특이 사항은 없다.
[내용]
상기 상기 모상기/ 에루나 삼구 제루 삼구/ 박속 걸이 빨어내어/ 월남 물이 얼푼 집어 느어/ 전주 처자 다듬이질/ 서울 처자 바느질에/ (후략)
[현황]
창자(唱者) 박옥례 사망 후 현재는 절맥되었으며 재현도 어려운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전통시대 여인들의 혼인 과정을 엿볼 수 있는 귀한 노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