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813 |
---|---|
한자 | 朴重彬 |
영어공식명칭 | Park Joongbin |
이칭/별칭 | 처화(處化),소태산(少太山),대종사(大宗師),원각성존(圓覺聖尊) |
분야 | 종교/신종교 |
유형 | 인물/종교인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서덕민 |
출생 시기/일시 | 1891년 5월 5일 - 박중빈 출생 |
---|---|
출가|서품 시기/일시 | 1916년 4월 28일 - 박중빈 깨달음을 얻음 |
활동 시기/일시 | 1917년 - 박중빈 저축조합 설립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박중빈 저축조합을 불법연구회기성조합으로 개칭 |
활동 시기/일시 | 1924년 4월 - 박중빈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 창립하고 총재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24년 8월 - 박중빈 불법연구회 중앙총부 건립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 박중빈 일본 오사카에 불법연구회 지부 설립 |
몰년 시기/일시 | 1943년 6월 1일 - 박중빈 사망 |
출생지 | 길용리 -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 |
활동지 | 원불교 중앙총부 -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대로 501[신용동 344-2] |
성격 | 종교인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원불교 교조|원불교 종법사 |
[정의]
일제 강점기 원불교를 창시하고 전라북도 익산 지역에 중앙총부를 건립한 종교인.
[개설]
박중빈(朴重彬)[1891~1943]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처화(處化), 호는 소태산(少太山)이다. 원불교 존호는 대종사(大宗師)·원각성존(圓覺聖尊)이다. 아버지 박성삼(朴成三)과 어머니 유정천(劉定天) 사이의 4남매 중 셋째이다. 부인은 양하운(梁夏雲)이다.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를 조직하고 중앙총부를 건립하는 등 교세를 확장하였다.
[활동 사항]
박중빈은 1891년 5월 5일 지금의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길용리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구도에 뜻을 둔 박중빈은 오랜 수행 끝에 1916년 4월 28일 큰 깨달음을 얻었다. 원불교에서는 이날을 ‘원불교 창립일’로 정하고 대각개교절로 부르고 있다.
1917년 8명의 제자들과 함께 저축조합을 설립한 박중빈은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라는 원불교의 개교 표어에 걸맞게 금주·단연, 허례 폐지, 공동 출역 등의 금욕적이며 실천적인 교화 활동을 전개하였다. 1918년 3월에는 영광군의 갯벌을 막아 간척지를 만드는 작업에 착수하여 1919년 3월 완공하였다. 영광에서 전개된 간척사업은 교단의 경제적 토대 구축과 인근 지역민의 경제 활동에 크게 기여하였다. 1919년 저축조합을 불법연구회기성조합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불법을 선언하였다.
박중빈은 1924년 4월 익산 보광사에서 원불교의 전신인 불법연구회 창립총회를 개최하여 총재에 취임하였고, 지금의 익산시 신용동에 6만여 평[약 198,347㎡]의 토지를 개간하여 1924년 8월에 중앙총부를 설립하고 공동체 생활을 시작하였다.
익산 중앙총부 설립 이후 박중빈은 교역자 양성과 신도 훈련, 상조조합 개설 등의 교화 활동을 전개하며 서울 등지로 교세를 확장하여 나갔다. 1935년에는 일본 오사카에 지부를 설립하였으며, 중앙총부 대각전(大覺殿)을 완공하고 대각의 진리를 뜻하는 일원상(一圓相)을 봉안하였다. 1939년에는 제자 송벽조가 일왕 모독 사건을 일으켜 경찰에 연행되기도 하였다. 박중빈은 1943년 6월 1일 “생사의 진리”라는 마지막 설법을 남기고 사망하였다.
[사상과 저술]
박중빈의 저서로는 원불교 교서인 『수양연구요론(修養硏究要論)』, 『보경육대요령(寶經六大要領)』, 『조선불교혁신론(朝鮮佛敎革新論)』 등이 있다. 오늘날 원불교는 교리와 강령을 밝히고 있는 『정전(正典)』과 박중빈의 법문 및 언행을 담은 『대종경(大宗經)』을 교전으로 삼고 있다.
박중빈은 시대에 부합하며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생활 종교를 표방하였다. 천지만물의 본원을 일원상으로 규정하였고, 특정 시대와 지역을 넘어 보편적 가르침을 통하여 세계를 구원할 수 있는 불법의 시대화·대중화·생활화를 강조하였다. 또한 과학문명의 발달을 예견하고 이를 선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덕과 정신의 훈련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묘소]
박중빈의 유해는 익산시 신용동 344-2 원불교 중앙총부의 대종사성탑에 안치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