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500815 |
---|---|
한자 | 宋道性 |
영어공식명칭 | Song Dosung |
이칭/별칭 | 주산(主山),송도열(宋道悅) |
분야 | 종교/신종교 |
유형 | 인물/종교인 |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서덕민 |
출생 시기/일시 | 1907년 12월 23일 - 송도성 출생 |
---|---|
출가|서품 시기/일시 | 1920년 - 송도성 원불교 출가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 송도성 원불교 중앙총부 연구부 서기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937년 - 송도성 원불교 교정원장에 임명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 송도성 원불교 수위단 중앙단원으로 선출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9월 - 송도성 전재동포원호회 설립발기인으로 참여 |
몰년 시기/일시 | 1846년 - 송도성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991년 - 원불교 수위단회에서 송도성에게 종사 법훈과 대각여래위 추존 |
출생지 | 성주 - 경상북도 성주군 |
활동지 | 익산 - 전라북도 익산시 |
활동지 | 서울 - 서울특별시 |
성격 | 종교인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원불교 수위단 중앙단원|원불교 중앙총부 교감 |
[정의]
전라북도 익산의 원불교 중앙총부에서 활동한 종교인.
[개설]
송도성(宋道性)[1907~1946]의 본관은 야성(冶城)이고 법호는 주산(主山)이다. 본명은 송도열(宋道悅)이다. 아버지는 송벽조(宋碧照)이고, 어머니는 이운외(李雲外)이다. 형은 원불교 제2대 종법사인 송규(宋奎)이다.
[활동 사항]
송도성은 1907년 12월 23일 경상북도 성주군에서 태어났다. 1920년 형 송규의 인도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1891~1943]을 만난 뒤에 제자가 되기를 청하여 원불교에 출가하였다. 1924년 이리 보광사에서 개최된 불법연구회 창립총회에 참석한 후 익산중앙총부 건설에 참여하였다. 1928년에는 연구부 서기에 임명되었으며, 연구부서기로 재임 당시 원불교 기관지 『월말통신』 발간에 참여하고 1930년에 이를 계승하는 『월보』를 간행하였다. 1937년 이후 원불교 교정원장, 교무부장, 감찰부장, 중앙총부 교감, 영광지부 교감 겸 지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1943년에 소태산 박중빈 대종사가 사망하고 형 송규가 법위를 계승하였으며, 송도성은 수위단 중앙단원으로 선출되었다.
송도성은 1945년 광복 이후 해외에서 귀환하는 전재동포의 구호를 위해 노력하였다. 1945년 9월 유허일·최병제·황정신행·박제봉·성의철·박창기·박해운·성성원 등과 함께 전재동포원호회 설립을 발기하고 서울, 익산, 전주, 부산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였다. 구호 사업의 일환으로 황정신행과 함께 동대문 부인병원에 서울보화원을 설립하여 전쟁고아 수용 시설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송도성은 전재동포 구호사업의 최일선에서 활동하다가 발진티푸스에 감염되어 1946년 3월 27일 사망하였다.
[사상과 저술]
송도성은 많은 시가와 논설을 남겼는데, 대표작으로 「오, 사은이시여」, 「진경(眞境)」, 「적멸(寂滅)의 궁전(宮殿)」 등이 있다.
[묘소]
송도성의 묘소는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 654 원불교 영모묘원 법훈묘역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80년 원불교 교단은 송도성을 추모하기 위하여 『주산종사문집(主山宗師文集)』을 간행하였다. 1991년 원불교 수위단회에서는 송도성에게 종사 법훈을 추서하고 원불교 법위 등급 중 여섯 번째에 해당하는 대각여래위로 추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