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1381 |
---|---|
한자 | 著存齋 |
이칭/별칭 | 보본재(報本齋)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장등길 15[삼락리 17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노석 |
건립 시기/일시 | 1948년 - 저존재 건립 |
---|---|
이전 시기/일시 | 1998년 - 저존재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로 이건 |
개칭 시기/일시 | 1998년 - 저존재 보본재로 개칭 |
현 소재지 | 보본재[저존재] -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장등길 15[삼락리 171] |
원소재지 | 저존재 -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 안자동 마을 북쪽 산기슭 |
성격 | 재각 |
양식 | 팔작지붕 |
정면 칸수 | 3칸 |
측면 칸수 | 2칸 |
소유자 | 하양 허씨(河陽許氏) |
관리자 | 하양 허씨(河陽許氏) |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에 있는 하양 허씨 집안의 재각.
[개설]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에 있는 저존재는 하양 허씨 문중에서 재각 겸 학당으로 건립하였다. 금곡 송래희가 쓴 재호가 있었으며, 문중의 선비를 배출하였다.
[위치]
저존재는 본래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 안자동 마을 북쪽 산기슭에 있었으나 용담댐 건설로 수몰될 예정이 되자 1998년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 현 위치로 이건하였다. 안천면 면소재지에서 용담면으로 이어지는 국도 13호선을 이용하여 용담호를 끼고 가면 장등 마을이 나온다. 장등 마을의 왼쪽 용담댐 쪽에 있다.
[변천]
1948년에 진안군 안천면 삼락리 안자동에 재각 겸 학당으로 건립하였다. 1951년에 중수하였으며, 한때는 용담군 일북면사무소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용담댐 건설로 수몰 예정지가 되자 1998년 현 위치로 이건하고 명칭도 보본재(報本齋)로 변경하였다.
[형태]
1992년 전북 대학교에서 용담댐 건설 수몰 예정지 문화재 지표 조사를 할 당시의 조사에 따르면 전면 4칸 측면 2칸의 함석 팔작지붕이었다. 본래는 기와지붕이었으나 1951년 중수하면서 함석으로 바꾸었다. 마루 기둥은 원형이며 방 기둥은 사각이었다. 우물마루이고, 반자는 삿갓반자, 천정은 연등 천정, 방문은 띠살문이며, 마루에는 줄판문이 있었다. 현재 보본재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기와 팔작지붕이며, 문은 3칸이다.
[현황]
하양 허씨 집안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보전 상태가 좋은 편이다.
[의의와 평가]
재각은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른 핵가족화와 교통의 발달 등으로 동족 관념이 희박해지면서 점차 소멸되어 가고 있으나 물질 만능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조상 숭배 등 효(孝)의 중요성을 일깨워 줄 수 있는 교육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 재각에서는 후학들에게 교육을 실시하던 장소로 활용되기도 하는데 이곳도 하양 허씨의 학당으로 이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