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600424
한자 濟州無泰長魚棲息地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지명/군락, 서식지 및 철새 도래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오홍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62년 12월 7일연표보기 -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천연기념물로 재지정
출현 장소 제주 무태장어 서식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지동 일대지도보기
면적 114,500㎡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색동물문〉어강〉뱀장어목〉뱀장어과〉뱀장어속
관리자 서귀포시
문화재 지정 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무태장어가 서식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지연의 퇴수로 일대.

[개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천지연은 폭포와 무태장어 서식지, 난대림지로 유명하다. 제주도 무태장어 서식지인 서귀포 천지연은 1962년 12월 7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면적은 서귀포시 서귀동 973번지 34,575㎡와 서홍동 2565번지 43,151㎡의 하천일대와 하구의 공유수면 36,784㎡로 총114,500㎡이다.

천지연 폭포에서 시작되는 천지연 난대림지대는 1993년 8월 19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379호로 지정되었다. 천지연은 1962년 12월 7일 한라산천연보호구역이 천연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면서 일부가 되었으나, 1992년 9월 1일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제182-7호로 되었다가, 다시 천연기념물 제379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천지연폭포 남서쪽 절벽지역에 자생하는 32그루의 담팔수나무는 1966년 1월 31일 천연기념물 제163호 서귀포 담팔수나무 자생지로 지정되었다.

[생물학적 특성]

무태장어는 제주도·일본·타이완·중국·필리핀·남태평양에 분포한다. 몸 길이는 약 2m로, 뱀장어와 비슷하나 몸 색깔은 황갈색 바탕에 부정형의 흑갈색 반문이 체측에 흩어져 있다. 비늘은 소형으로 퇴화되어 피부에 묻혀있다. 등지느러미의 기부는 가슴지느러미 후단과 항문의 중앙 앞에 위치한다. 전비공은 비단으로 되어 있고, 주둥이 끝 측면에 위치한다. 후비공은 비관이 없어 눈의 전방에 열려 있다. 이는 둔한 원치형이고 치대를 이룬다.

담수에서 성어가 되면 깊은 바다로 내려가 산란한 후 난류를 타고 하천에서 소상한다. 무태장어는 하천이나 호수의 비교적 깊은 곳에 서식하며, 작은 어류, 조개류, 갑각류와 수서곤충을 잡아먹는 육식성 어류이다. 깊은 바다에서 산란하며 변태하는 회유성 어류이다.

[자연 환경]

천지연서귀포시 서홍동서귀동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하천으로 하천명칭은 연외천이나 솜[선]반내라 불려진다. 천지연은 침강융기 현상과 용암에 의하여 단층을 이룬 U자형 계곡으로서 협곡을 중심으로 상록아열대림이 형성되어 있다. 2000년 8월 『천지연 난대림지대 학술조사 보고』에 따르면 천지연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은 123과 324속 406종 1아종 32변이종 6품종 2재배종으로 총 447분류군이며, 그중 세계적으로 천지연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 1분류군[가시딸기]과 국내에서는 제주도에만 분포하는 17분류군 등이 자라고 있다.

무태장어는 서태평양에서 번식하여 우리나라까지 극히 소수가 회유해 온다. 산업화에 따른 수질오염과 남획의 영향을 받아 개체수가 많이 감소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