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청풍정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100302
한자 -淸風亭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경기도 성남시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전관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작가(원작자) 이곡(李穀)
성격 한문 기문(記文)

[정의]

고려 말 학자인 이곡(李穀)이 광주의 관사(官舍) 북쪽에 지은 청풍정(淸風亭)에 쓴 기문.

[개설]

이곡(李穀)[1298~1351]은 고려 말의 학자로, 본관은 한산, 자는 중보(仲父), 호는 가정(稼亭)이다. 목은(牧隱) 이색(李穡)은 그의 아들이다. 문집으로 『가정집(稼亭集)』이 전한다.

이 글은 1349년(충정왕 1) 4월 여름에 고향에서 돌아오다가 낙생역에 있는 정자에 들렀을 때, 광주목사였던 백화보(白和父)가 관사(官舍)의 북쪽에 옛날 청풍정 터를 발견하고 새로 정자를 짓고 기문을 써달라고 부탁하자 백화보가 광주를 떠난 이듬해 썼다.

[내용]

지은이는, 청풍정에 올라보니 정신이 맑고 시원하고 머리카락이 나부껴 마치 매미가 시궁창에서 껍질을 벗고 세상 밖으로 나온 것 같다고 했다. 또한 광주라는 곳은 삼면이 모두 높은 산이고, 북쪽은 비록 광활하나 지세가 낮아서 관청과 백성들의 집이 마치 우물 속에 있는 것과 같다. 때문에 이곳에 오는 빈객들도 낮고 비루하다 타박할 뿐 아주 짧은 거리에 이렇게 시원하고 상쾌한 곳을 알지 못한다고 하여 청풍정 주변의 풍광을 크게 칭찬하였다.

[평가]

이곡(李穀)은 이 글을 통해 공무로 바쁜 관리들이 짧은 시간을 내어서 자연을 즐기는 즐거움을 함께 공감하면서, 청풍정이 비루하고 낮은 곳에 있음을 탓하는 보통사람들의 평가와 달리 아주 가까운 곳에 뛰어난 경치가 있음을 발견하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