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100315 |
---|---|
한자 | 城南文化硏究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215번길 7[신흥동 6926]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복수,모동희 |
[정의]
경기도 성남시의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창간 경위]
성남문화원은 서울에 인접한 지역적 특성으로 서울 문화에서 탈피하고 고유한 성남 향토문화 창달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인식하고 이를 위해 산하에 향토문화연구소[2013년 12월 27일 성남문화원 부설 성남학연구소로 개칭]를 부설하여 매년 전문적인 학술 조사 활동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연구위원들의 연구 성과를 학술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 전문적인 향토 문화 논문집 발간을 추진하여 지난 1994년 『성남문화연구』를 창간하였다.
[형태]
『성남문화연구』의 판형은 신국판[152×225㎜]이고, 6~10개의 연구 논문이 게재된다. 분량은 200여 쪽이다.
[변천과 현황]
1994년 5월 20일 『성남문화연구』 창간호가 발간되었는데, 「성남시의 지형환경 연구」[김창환], 「성남지역의 지명성격 고찰-백제어와 고구려어적인 요소를 중심으로」[박상규], 「성남의 세거성씨(世居姓氏)와 인물고(人物考)-분묘를 중심으로」[장삼현] 등 성남문화원 부설 향토문화연구소 전문위원들의 향토 문화 연구 논문이 게재되었다. 『성남문화연구』 제2호는 1994년 12월에 발간되었으며 「모란지역의 향토사 정리」[한춘섭], 「성남시 지명연구-수정구 고등동 ‘도랑터’를 중심으로」[박상규], 「백제의 초기 강역에 관한 연구」[백남욱] 등 6편의 논문이 수록되었다. 이후 『성남문화연구』 제3호[1995년 12월], 『성남문화연구』 제4호[1997년 1월], 『성남문화연구』 제5호[2000년 1월], 『성남문화연구』 제6호[2000년 2월], 『성남문화연구』 제7호[2001년 2월], 『성남문화연구』 제8호[2001년 12월], 『성남문화연구』 제9호[2002년 12월], 『성남문화연구』 제10호[2003년 9월] 등을 계속 발행하였다. 2003년 9월 발간된 『성남문화연구』 제10호에는 「성남지역의 지명우합 또는 예언성 지명의 사례 연구」[김기빈], 「지역사회 상장례 과정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박종민], 「백제 초기의 영토 확대와 지방자치」[백남욱], 「협동 전선의 측면에서 본 성남 지역의 신간회운동」[서승갑], 「성남의 정체성에 관한 일고찰」[전보삼] 등 8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이후 매년 정기 발행을 해 온 『성남문화연구』는 지난 2021년, 1971년 8월 1일 발생한 광주대단지 사건 50주년을 맞아 「8.10 성남[광주대단지] 민권 50주년」을 비롯해 지역의 정체성을 담은 6편의 논문을 실은 『성남문화연구』 제28호를 발행하였다. 이어 2022년에는 「둔촌 이집 거주지 조사」 등 6편의 논문을 실은 『성남문화연구』 제29호를 발행하였다.
[의의와 평가]
『성남문화연구』는 수도권의 대표적 위성도시인 성남시의 역사성과 주민들의 공동체 정신 함양을 위한 초석의 역할뿐 아니라 향토 유적의 지속적 발굴 등 성남학의 위상 정립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