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924 |
---|---|
한자 | 星山李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집필자 | 전민욱 |
본관 | 성산 - 경상북도 성주군 |
---|---|
입향지 | 전촌 - 경상북도 영천시 도동 |
세거|집성지 | 세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
세거|집성지 | 세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대의리[당시의 거곡] |
세거|집성지 | 세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용전리 |
세거|집성지 | 세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창상리 |
세거|집성지 | 세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상리리 |
세거|집성지 | 세거지 - 경상북도 영천시 언하동 새미마을 |
성씨 시조 | 이능일(李能一) |
입향 시조 | 이방(李芳) |
[정의]
이능일(李能一)을 시조로 하고 이방(李芳)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천시의 세거 성씨.
[연원]
성산 이씨(星山李氏)의 시조는 고려 개국 공신인 이능일(李能一)이다. 그는 신라 말기에 성산현(星山縣)[지금의 성주군] 일대를 통치하던 호족이었는데 12년간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큰 공훈을 세웠다.
고려가 건국된 후 태조 왕건의 딸인 정순궁주(淨順宮主)와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고, 개국벽상좌명공신(開國壁上佐命功臣)으로 벼슬은 정일품인 사공(司空)에 이르렀으며, 성산군(星山君)으로 봉해졌기에 이때부터 이능일을 시조로 하는 성산 이씨가 탄생되었다.
이능일(李能一)의 초명은 이능(李能)이었는데, 고려 태조가 삼국통일에 크게 기여했다는 뜻으로 통일을 상징하는 일(一)자를 내려 능일(能一)로 부르게 했다고 한다. 이능일은 성산 일대에서는 신격화된 인물로 오래 전부터 이곳 주민들은 성황사(城隍祠)를 세우고 이능일의 초상(肖像)을 모시며 국가와 마을의 안녕을 기원해 왔다고 한다.
조선 명종 때 성주목사로 부임한 김윤제(金允悌)는 이를 미신이라 하여 성황사를 철거하고 이능일의 초상을 불태우게 하였는데, 그 후 일대에 이름 모를 질병이 나돌아 많은 사람들이 죽어 갔다. 이능일의 초상을 다시 모시고 사죄하는 글로 제사를 드리니 전염병은 물러가고 안녕을 되찾았다고 한다.
성산 이씨로 처음 영천에 입향한 사람은 이능일의 17세(世)손인 이석보(李錫保)의 넷째 아들 이방(李芳)이다.
[입향 경위]
경학이 뛰어나 천거되어 참봉을 역임한 이방(李芳)이 영천으로 입향한 동기와 연대는 불분명하다. 다만 아들인 처야당(處野堂) 이언기(李彦沂)가 스스로 지은 처야당 기문의 내용을 살펴볼 때 처음 정착한 곳이 이수(二水)가 합쳐지고 비옥한 주남 평야가 펼쳐진 전촌(錢村)[지금의 도동 지역]으로 추측된다.
전촌은 이방의 부인 창녕 성씨의 친정이 있던 마을이다. 부인 의인(宜人) 창녕 성씨는 진사 성영준(成永俊)의 딸이며, 성영준 역시 처가가 있는 영천으로 처음 입향하였다. 성영준의 부인 용궁 전씨는 봉상시직장(奉常寺直長)을 역임한 전영창(全永昌)의 딸로, 전영창 역시 처가가 있는 이곳 영천에 처음 입향하였다.
[현황]
입향 이후 인물을 향지(鄕誌) 『영양지(永陽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인물편 성산 이씨 조에는 입향조 이방(李芳), 영릉참봉(英陵參奉) 이언기(李彦沂),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직장(直長)을 역임한 이국빈(李國賓),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감무(監務)를 지낸 이군빈(李君賓), 장사랑 정읍훈도 이용빈(李用賓), 병자호란 때 호종의 공으로 호군(護軍)을 제수받은 이즐(李瀄), 사천현감(泗川縣監) 이심(李淰), 문과 급제 후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이세익(李世益), 무과 급제 후 절충장군(折衝將軍)에 이른 이유호(李孺虎), 비서승(秘書丞) 이희수(李熙守), 후릉참봉(厚陵參奉) 이희목(李熙穆), 효릉참봉(孝陵參奉) 이한기(李漢基)가 있다.
이들 성산 이씨는 주로 영남권에 세거지를 이루고 살고 있으며, 주된 세거지는 관향지인 경상북도 성주군 일대로 가천면 화죽리, 수륜면 신정리, 용암면 대봉리, 선남면 문방리, 월항면 대산리, 월항면 안포리, 선남면 오도리, 대가면 용흥리 등이다.이 가운데 성주군 월항면 대산리는 행정 명칭보다 ‘한개마을’이라 불리며 성산 이씨의 전통마을로 이름이 높다.
이 외에도 경상북도 고령군에는 고령읍 본관리와 덕곡면 예리, 경상북도 의성군에는 단밀면 주선리와 서제리, 주남동 및 안계면 일원과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삼성리와 지례면 일원,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인곡리와 합천읍 외곡리,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명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등이 집성촌이다.
영천 입향조 후손들 중 외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사는 곳은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육통(六通)마을로 임란 공신인 국헌공(菊軒公) 이국빈(李國賓)의 후손들이 이주해 터전을 잡고 살고 있다.
영천에는 남포공(南浦公) 이군빈(李君賓)의 후손들이 완산동에 세거하고 있으며, 지오공(芝塢公) 이용빈(李用賓)의 후손들은 고경면의 대의리[당시의 거곡]를 중심으로 용전리·창상리·상리리와 영천시 언하동 새미[泉味]마을 등에 약 1천여 호가 있다.
[관련 유적]
영천 지역에는 입향조 배위 묘소 및 처야당 이언기(李彦沂)와 배위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봉성재(鳳城齋)를 비롯하여 이언기의 처야당(處野堂), 이군빈(李君賓)의 남포정(南浦亭), 이한기(李漢基)의 침수정(枕漱亭), 이근기(李謹基)의 돈산정(遯山亭)이 있다.
또한 선대의 묘재인 성산재(聖山齋), 검산재(儉山齋), 추원재(追遠齋), 추모재(追慕齋), 유곡재(柳谷齋)가 있으며, 처야당 선생 유허비각(處野堂先生遺墟碑閣)과 후학을 양성하던 거곡서당(巨谷書堂)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