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400626
한자 朴善長
영어공식명칭 Park Seon-jang
이칭/별칭 여인(汝仁),수서(水西)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영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수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55년연표보기 - 박선장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박선장 증광별시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605년 - 박선장 성균관전적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08년 - 박선장 예안현감 부임
활동 시기/일시 1613년 - 박선장 경상도도사 부임
몰년 시기/일시 1616년연표보기 - 박선장 사망
추모 시기/일시 1676년 - 박선장 구만서당 제향
추모 시기/일시 1885년 - 박선장 이조참판 가증
출생지 박선장 출생지 - 경상북도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
거주|이주지 박성장 이주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
수학지 이산서원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원리 지도보기
수학지 두릉서당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
외가|처가 박선장 외가 -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고성리
부임|활동지 박선장 부임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묘소|단소 박선장 묘소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사당|배향지 구만서원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 438[구만서원길 5]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무안(務安)
대표 관직 예안현감|경상도도사

[정의]

조선 후기 영주 지역에 정착한 문신.

[개설]

박선장(朴善長)[1555~1616]은 문과 급제 후 예안현감·경상도도사 등을 지낸 문신이며, 이산서원의 원장을 역임하였다.

[가계]

박선장의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여인(汝仁), 호는 수서(水西)이다. 아버지는 호조정랑을 지낸 박전(朴全)[1514~1558], 어머니는 사직을 지낸 주행(朱幸)의 딸 웅천주씨(熊川朱氏), 할아버지는 진사 박원기(朴元基), 증조할아버지는 부사직을 지낸 박지몽(朴之蒙)이다. 부인은 진사 남몽오(南夢驁)의 딸 정부인 영양남씨(英陽南氏)이다.

[활동 사항]

박선장은 1555년(명종 10) 경상도 영해부 익동(翼洞)[지금의 영덕군 창수면 인량리]에서 출생하였다. 5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7세 때 외가가 있는 강원도 울진현 구만리(九萬里)[지금의 울진군 울진읍 고성리]로 이거하였다. 10세 때에는 경상도 영천군(榮川郡) 화천리(花川里)[지금의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로 다시 이거해 남몽오에게 학문을 배웠다.

박선장은 과거 시험보다 학문에 뜻을 두어 평소 이산서원과 두릉서당(杜稜書堂)[지금의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을 오가며, 조목(趙穆)[1524~1606]·류성룡(柳成龍)[1542~1607]·이덕홍(李德弘) 등 당대의 명사들과 도의(道義)로 교유하였다. 1598년(선조 31) 명나라 경략 정응태(丁應泰)가 조선과 일본이 연합하여 명나라를 공격한다고 본국에 무고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때 박선장이산서원의 유생들과 함께 변무하는 상서를 올렸다. 1604년(선조 37) 성균관의 유생들이 동방오현에 대한 문묘종사를 청원하였는데, 선조는 오현 가운데 이언적(李彦迪)[1491~1553]의 출처관을 문제 삼으며 이를 거부하였다. 이때 박선장은 이언적을 신원하는 상소문을 올렸다.

박선장은 1605년(선조 38) 증광별시에 급제하였다. 이보다 앞서 1603년 둘째 아들 박한(朴𤥚)[1576~1652]이 식년시에 급제하자 박선장은 노모 웅천주씨에게 이 사실을 아뢰었다. 하지만 노모는 “내 아들이 급제한 것만큼 기쁜 일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이에 박선장이 분발하여 둘째 아들보다 2년 뒤에 문과에 급제하게 되었다. 급제 후 곧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다.

박선장은 1608년(광해군 즉위년) 예안현감으로 부임하였고, 재임 동안 치적을 남겼다. 1611년 고향 구만(龜灣)[지금의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에다 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의 장소로 삼았다. 1613년 경상도도사로 부임하였는데, 이때 이호민(李好閔)[1553~1634]이 명나라 사신으로 다녀오면서 가져온 녹옥장(綠玉杖)을 박선장의 노모를 위해 선물로 주었다. 박선장은 1614년 노모 봉양을 위해 고향으로 내려왔으며, 1615년 이산서원의 원장을 역임하였다.

[학문과 저술]

박선장의 문집으로 4권 2책의 『수서집(水西集)』이 전한다. 문집에는 국문 시조인 「오륜가(五倫歌)」와 「박전가(薄田歌)」가 수록되어 있다.

[묘소]

박선장의 묘소는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소지동(蘇知洞)에 있다.

[상훈과 추모]

박선장은 둘째 아들의 현달로 승정원도승지에 증직되었다. 또 1885년(고종 22)에는 1598년 정응태의 무고를 변무한 공으로 이조참판에 가증되었다. 1676년(숙종 2) 구만서당(龜灣書堂)에 제향되었는데, 구만서당은 1766년(영조 42) 구만서원[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으로 승격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