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0856
한자 李伯持
영어음역 Lee Baekji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변은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성별
생년 1361년연표보기
몰년 1419년연표보기
본관 용인
대표관직 강원도관찰사|전라도관찰사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가계]

본관은 용인(龍仁). 증조부는 판서를 지낸 이광시(李光時)이고, 할아버지는 홍복도감판관(弘福都監判官)을 지낸 이중인(李中仁)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를 지낸 이사위(李士渭)이고, 어머니는 지군사(知郡事) 임세정(任世正)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대호군(大護軍) 윤보(尹寶)의 딸이었고, 사별한 뒤 판관(判官) 권경(權敬)의 딸을 둘째 부인으로 맞았다. 아들은 증이조참의(贈吏曹參議) 이수령(李守領)이다.

[활동사항]

이백지(李伯持)는 고려 말 1385년(우왕 11)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관직에 나왔으며, 조선 태종대에 주로 활동하였다. 1409년(태종 9) 성주목사(星州牧使)로 있을 때 백성을 동원하여 관둔전(官屯田)을 경작하도록 하였다가 경차관(敬差官)에게 적발되어 중도부처(中途付處)되었다.

1416년(태종 16)에 가뭄이 심하게 들어 임금이 의정부(議政府)·육조(六曹)·삼공신(三功臣)·삼군도총제(三軍都摠制)·예문관(藝文館)·대간(臺諫)에 명하여 각각 한재(旱災)를 가라앉힐 방책을 진술하게 했을 때 이백지는 24개조의 시무책을 올렸다.

또한 임금이 육조(六曹)·대간(臺諫)에게 올해 민간의 곡식 수확 상황을 물었을 때, 익지 않은 곡식을 백성에게 독촉하여 수확한 수령이 있다고 아뢰었다. 그러나 그 수령이 누군지 몰라서 대답을 못하여 사헌부의 탄핵을 받았다. 이백지는 이듬해에 강원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 1419년(세종 1) 전라도관찰사로 나아갔다가 병으로 사임하였고, 그해 12월에 사망하였다. 세종은 종이 70권을 부의(賻儀)로 하사하면서 애도하였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가실리 호암미술관 뒤편에 있다. 1975년에 신도비가 세워졌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03.11 묘소 수정 묘 위치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