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2628
한자 巫歌
영어음역 Muga
영어의미역 Shamanic Song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용인시
집필자 박종수

[정의]

경기도 용인 지역에서 무당이 무속 의식에서 구연하는 사설이나 노래.

[개설]

무가는 말로 구전되는 구비문학의 일종으로, 굿이란 제한된 상황에서 무당이란 한정된 특수층에 의해 전승되기 때문에 종교적 보수성이 강한 신성을 전제로 한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무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설과 가락이다. 사설은 굿의 성격이나 무당의 성격·신관(神觀)·우주관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기본적으로 우주를 비롯한 지상 만물의 근원으로부터 그 생성과정을 밝히고,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출생과 질병 퇴치, 수명 장수, 내세의 영생 등을 신에게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종류]

무가는 보통 무가와 무경으로 구분하는데, 굿에서 무당이 가창하는 것은 무가이고 통독하는 것은 무경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차이를 보면 첫째, 무경은 신통의 나열·신병의 결진·귀신의 촉금 등이 있고, 무가는 덕담·찬신·신의 유래 등이 주 내용이다. 둘째, 무경은 귀신을 위협하여 쫓아내는 내용인 반면에, 무가는 신을 즐겁게 하고 신의 노여움을 푸는 역할을 한다. 셋째, 무경의 신격은 옥황·칠성·천존·신장·진군·사자·용왕·제석·산령 등 도교적·불교적 신이 많으나, 무가의 신격은 부정·만명·호귀·대감·창부·사마누라·광대·수비 등 독경무들이 잡귀로 취급하는 것까지 나타난다.

[채록 현황]

용인시에서 지금까지 조사된 무가 자료 중 최초의 자료집으로 볼 수 있는 것은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1-9이다. 수록 자료를 보면, 이동면[현 이동읍] 서리의 박기화에게서 무경으로 「축원문」(1)·「고대역대편」·「옥추보경」·「신장자동편」·「개신편」·「팔진도」·「사십팔조사신장편」·「옥갑경」·「축귀대장편」·「고왕경」·「축사」(1)·「축사」(2)·「축사」(3)·「회심곡 해원」·「축원문」(2)·「태을보신경」·「명당경(明堂經)」 등 열여덟 편과, 무가인 「당금애기」(「제석본풀이」) 한 편을 채록하였다. 또한 내사면 양지리의 김진택에게서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목살경(木煞經)』 한 편을 채록하여 수록하였다.

이외에 『한국구비문학대계』1-9에는 「축원문」(1), 「축원문」(2), 「팔진도」, 「고대역대편」, 「옥추보경」, 「신장자동편」, 「사십팔조사신장편」, 「옥갑경」, 「축귀대장편」, 「고왕경」, 「축사」(1) 등 열한 편의 무경이 수록되어 있다. 『용인군지』에는 「성주풀이」와 「창부타령」, 「지노귀새남」의 일부와 『천도경(天道經)』 전편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들 자료는 용인 지역 무당인 김경환이 구술하였다. 『용인 중부지역의 구비설화』에는 내사면 양지리에서 『학질경』 한 편이 채록되어 있고, 『용인 서부지역의 구비설화』에는 구성면 언남리와 구성면 동백리에서 민요조로 불리는 「회심곡」 다섯 편이 채록되어 수록되었다.

[의의와 평가]

용인 지역에서 채록된 무가를 보면 주로 독경무로 구송되는 무경 자료가 많으나, 조사된 무가 자료로 볼 때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바리공주」나 「칠성풀이」, 「제석본풀이」 등이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9.05.16 행정지명 현행화 이동면에서 이동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