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세심사신중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517
한자 牙山洗心寺神衆圖
영어공식명칭 Guardian Painting of Sesimsa Temple, in Asan
이칭/별칭 아산 세심사 제석천룡도,아산 세심사 신중탱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길 180[산양리 220]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용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94년연표보기 - 아산세심사신중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10월 30일연표보기 - 아산세심사신중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아산세심사신중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현 소장처 세심사 -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길 180[산양리 220]지도보기
원소재지 마곡사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마곡사
성격 불화
작가 수화승-승초(勝初)///보조 화승-원정(元正)|보심(普心)|품관(品寬)|대운(大云)
서체/기법 견본채색(絹本彩色)
소유자 세심사
관리자 세심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세심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개설]

아산세심사신중도(牙山洗心寺神衆圖)는 1794년(정조 18)에 제작된 불화로서 화기(畵記)가 확실하게 남아 있어 조성 시기와 조성 화원(畵員)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18세기 말 충청남도 지역의 화풍을 비교적 잘 보여 주는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2007년 10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아산세심사신중도는 가로 88㎝, 세로 117㎝의 크기이다. 제석천도(帝釋天圖)와 천룡도(天龍圖)를 조합한 형태의 불화로서, 화면의 위아래로 제석천, 위태천(韋駄天)과 그 권속(眷屬)[부처나 보살을 따르며 불법을 닦는 대중]들을 그린 작품이다. 위아래로 구성되어 있어 두 개의 회화를 하나로 붙인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형식의 신중도는 제석천도 단독의 그림보다는 화면 상단에 제석천이 범천(梵天)과 짝을 이루어 배치하고, 중·하단에 많은 권속들이 그려진 신중도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 주는 과도기적인 것이다. 주로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반까지 제작되며, 제석천룡도(帝釋天龍圖)라 불리기도 한다. 제석천의 권속으로 일월천자(日月天子)와 4인의 주악천녀(奏樂天女)가 그려져 있으며, 위태천의 권속으로 사천왕(四天王)이 그려져 있다.

[특징]

아산세심사신중도에는 화기가 잘 남아 있어 제작연대나 제작자, 시주자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원래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의 백련정사(白蓮精舍)에 걸려 있던 불화였으며, 세심사로 이운(移運)된 시기와 내력은 알 수 없다. 마곡사에 백범(白凡) 김구(金九)가 머물렀다 전하는 백련암(白蓮庵)이 있어 원 소장처로 추정할 수 있으나, 현재 백련암에는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불화가 남아 있지 않다.

아산세심사신중도 제작에는 승초(勝初)를 수화승(首畵僧)으로 하여 원정(元正), 보심(普心), 품관(品寬), 대운(大云)이 보조 화승(畵僧)으로 참여하였다.

[의의와 평가]

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산양리 세심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아산세심사신중도는 2019년 기준 아산시에 남아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불화이며, 제작 시기의 화풍이나 도상(圖像)의 유행을 살펴볼 수 있는 불화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