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100553
한자 牙山仁翠寺極樂殿
영어공식명칭 Geungnakjeon Hall of Inchwisa Temple, Asan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서부남로790번길 20-52[읍내리 8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석용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조선 후기 - 아산 인취사 극락전 건립
현 소재지 아산 인취사 극락전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서부남로790번길 20-52[읍내리 84]지도보기
성격 불전
양식 주심포 맞배지붕
정면 칸수 3칸
측면 칸수 3칸
소유자 인취사
관리자 인취사

[정의]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인취사의 불전 건물.

[개설]

아산 인취사 극락전은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인취사의 불전 건물이다.

[위치]

아산 인취사 극락전(牙山仁翠寺極樂殿)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84번지인취사 경내에 있다. 인취사학성산 정상 북쪽 400여m 지점의 산중턱에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온천대로온양순환로가 교차하는 신창면 읍내 교차로에서 남서쪽 읍내리 방향 약 500m 지점의 읍내삼거리에서 오른쪽 지방도 623호선[서부남로]을 따라 마을을 지나며 700여m를 간 뒤 왼쪽으로 접어들어 600여m 올라가면 인취사에 다다른다. 절 앞에는 신창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변천]

인취사는 신라 법흥왕 때 세워졌다고 전하는데 당시 충청남도 아산시 일대는 백제 영토였고 관련 기록도 없어서 신빙성이 떨어지며 정확한 개창 시기도 알 수 없다. 다만 경내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35호인 고려시대의 인취사석탑이 있고 자기편, 기와편 등을 통해 늦어도 고려시대부터는 존속해 온 절로 판단된다. 인취사의 중심 불전이자 유일한 주요 전각인 극락전은 건립 연대가 확인되지 않는다. 공포의 구성 수법이 조선 후기의 특징을 보여 주며 18세기 중반경에 제작된 『해동지도』,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광여도』 등에 전각이 표기되어 조선 후기의 건축물로 추정되며 중건이나 수리 관련 사항은 파악되지 않는다.

[형태]

아산 인취사 극락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에 전후퇴가 있는 2고주 5량 가구를 보여 준다. 비교적 높은 자연 석축 기단 위에 덤벙주초를 놓고 자연미가 있는 기둥을 세웠다. 지붕은 전면만 겹처마인 맞배지붕이며 일출목의 주심포를 결구하였다. 양 측면에는 박공 밑에 풍판을 달아 놓았다. 내부 마루는 우물마루이고 천장은 전후 툇간에 빗반자, 불단이 있는 중앙칸에 소란반자를 구성하였다.

[현황]

아산 인취사 극락전에는 중앙에 불단을 만들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5호인 아산 인취사 석조 아미타삼존불상[아미타여래좌상, 관음보살좌상, 지장보살좌상]을 봉안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아산 인취사 석조 아미타삼존불상을 봉안하고 있는 인취사 극락전은 건립 연대를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의 목조 건축물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작은 사찰이지만 전통 사찰 제52호인 인취사의 중심 불전으로서 고찰의 면모와 품격을 보여 주는 소중한 유산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