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대구지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00248
한자 地圖 大丘地圖
영어공식명칭 Map of Daegu in Jido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대구광역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류명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8]
성격 지도
권책 4책
규격 47.7×34.2㎝

[정의]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에 수록된 경상도 대구도호부의 지도.

[편찬/간행 경위]

『지도(地圖)』 「대구지도(大丘地圖)」 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지도』[K2-4583] 제3책에 수록되어 있다. 『지도』는 개별 군현지도에 경기도 금천(衿川), 경상도 산청(山淸)·안의(安義), 충청도 이산(尼山), 함경도 이성(利城), 평안도 초산(楚山) 등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영조 대의 원본 지도를 바탕으로 정조 연간에 일부 내용을 수정하여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지도』 「대구지도」 의 크기는 가로 47.7㎝, 세로 34.2㎝이다. 세로 8칸, 가로 6칸의 방안에 그렸는데, 경주(慶州)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주기(註記)는 없다.

[구성/내용]

『지도』 「대구지도」 에서 감영은 적색의 사각형 기호로 표시되어 있다. 도로는 적색 실선으로 그렸는데, 감영에서 칠곡·경산·청도·성주 방향으로 뻗어 있다. 방리는 동상면, 동중면, 동하면, 서상면, 서중면, 서하면, 서하하면, 수동면, 수북면, 현내면, 하수남면, 상수남면, 하수서면, 상수서면, 감물천면, 화현면, 옥포면, 성평면, 법화면, 조암면, 인흥면, 월배면, 각남면, 각북면, 각초면, 해동면, 해북면, 해서부면, 해서촌면, 하동면, 하서면, 하남면, 하북면이 기록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그려 청록색으로 표현하였다. 대구도호부의 남쪽에는 비파산·유남산·최항산·팔조령·금성산·조족산·수옥산, 북쪽에는 송산[공산의 오기]·건령산·녹봉 등이 기재되어 있다. 감영 남쪽에는 진산인 연구산이 있고, 북쪽에는 여제단이 있던 침산이 있다. 또 마천산, 법이산에는 봉수가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는데, 낙동강대구도호부의 서쪽 경계를 이룬다. 또 대구도호부의 북부를 가로지르는 금호강낙동강으로 유입하며, 금호강의 지류에는 신천·전탄·하이강 등이 표기되어 있다.

역원은 범어역·금천역·고평역·설화역·유산역·오동원·덕인원, 사찰은 추덕사·향림사·지장사·임수사·용연사·용천사, 사당은 표충사 등이 표시되어 있다. 창고는 그림으로 건물을 묘사하였는데, 강창·남창·풍각창·해창 등이 있다. 서원은 남강서원, 연경서원, 청호서원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지도』는 18세기에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20리 방안식 군현지도 중 하나이며, 『청구도(靑邱圖)』·『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등 19세기에 제작된 대축척 조선 전도의 바탕이 된 지도책이다. 전국의 군현이 동일한 4.2㎝ 크기의 20리 방안에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절첩본으로 제작된 지도책이며,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지도(朝鮮地圖)』와 달리 한 지면에 여러 개의 군현이 묘사되어 있다.

『지도』 「대구지도」 는 당시 대구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지리 정보의 묘사에서 회화적인 기법이 뛰어난 지도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