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080266
한자 最頂山
영어공식명칭 choijoungsan(Mounta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황상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최정산 정상의 미군 위성 추적소 시설물 폐쇄
전구간 최정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최정산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지도보기
성격
높이 915m

[정의]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주리에 있는 산.

[명칭 유래]

최정산(最頂山)은 정상부가 평탄하고 주변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자연환경]

최정산[915m]은 북쪽에 솟아 있는 주암산(舟巖山)[846.8m]에서 시작하여 최정산을 거쳐 우미산(牛尾山)[747m], 삼성산(三聖山)[668.4m], 봉화산(烽火山)[474m], 팔조령(八助嶺)[360m]으로 이어지는 최정 산괴의 최고봉이다. 최정산을 포함하고 있는 최정 산괴는 비슬 산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산괴로 비슬산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므로 비슬산의 형제산이라고 불린다. 신천의 지류 하천인 용계천에 의해서 서쪽의 비슬 산맥과 분리되어 달성군 가창면 전역을 차지하고 있다.

최정산비슬산과 더불어 달성군의 명산이며, 화산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최정산을 구성하는 기반암은 백악기 말 화산 작용으로 분출한 안산암질 각력암이 주를 이룬다. 이 암체에는 석영 반암과 화강암류, 규장암류 등이 관입되어 있다. 풍화와 침식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여 높은 산을 형성하며 흔히 험준한 암봉을 이룬다. 주봉과 통점령(通店嶺)[700m] 사이에 있는 700~800m 고지 부근에는 폭 300m, 길이 2㎞에 이르는 고위 평탄면이 형성되어 있다. 평탄면의 곳곳에는 암반이 노출된 곳도 있다.

[현황]

최정산 정상까지는 주리에서 서쪽 방향으로 임도가 개설되어 있다. 최정산 정상부는 군부대 시설로 접근이 불가하다. 헬기장이 있는 동쪽으로 형성된 완만한 평탄면에는 봄이면 온갖 야생화가 활짝 피고, 가을이면 억새 물결로 장관을 이룬다. 그러나 산 정상에는 1970년대에 미군이 설치한 옛 미군 위성 추적소 시설물이 있다. 이 시설물은 1993년 폐쇄되었고, 이듬해 반환되었다. 정부는 천문 측지 연구 전문 천문대를 세우겠다는 발표까지 했으나 현재는 답보 상태이다. 정상에 오르기 전 700~800m 지점의 평탄면에는 찔레와 보리장나무의 군락이 우거져 장관을 이룬다. 이곳에는 산성의 유적이 있으며, 오늘날엔 목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 『대구의 뿌리 달성』 1-달성을 되짚다(달성문화재단·달성군지간행위원회, 2014)
  • 「1:25,000 지형도」 (국토지리정보원, 2007)
  • 대구광역시 달성군청(http://www.dalseong.daegu.kr)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정보시스템(http://www.geoinfo.kigam.re.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