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200563 |
---|---|
한자 | 金泉靑巖寺修道庵石造毘盧舍那佛坐像 |
영어공식명칭 | Seated stone Vairocana buddha statue of Sudoam Hermitage of Cheongamsa Temple, Gimcheon |
영어음역 | Gimcheon Cheongamsa sudoam seokjobirojanabuljwasang |
영어의미역 | Sitting Image of Vairocana Buddha Cut into Stone in Sudoam, Cheongamsa Temple in Gimcheon |
이칭/별칭 |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리 513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 |
집필자 | 김봉숙 |
문화재 지정 일시 | 1963년 1월 21일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307호 지정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재지정 |
제작 | 통일 신라 시대 |
현 소장처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리 513 |
성격 | 불상 |
재질 | 화강암 |
크기(높이) | 248㎝ |
소유자 | 청암사 |
관리자 | 청암사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
[정의]
경상북도 김천시 중산면 수도리 청암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석조 불상.
[개설]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수도암 대적광전에 봉안된 불상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30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보물로 재지정되었다. 불상 밑에 『법화경(法華經)』으로 보이는 책이 있었는데, 아이를 못 낳는 여인들이 이 책을 뜯어다 다려 마시면 득남할 수 있다는 전설이 전한다. 긴 세월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뜯어가면서 속 깊이 밀려들어 지금은 보이지 않는다.
[형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상 높이 248㎝, 무릎 폭 209.5㎝, 대좌 높이 119㎝이다. 불상은 위엄 있는 얼굴, 당당한 어깨, 거대한 체구 등으로 당대의 거작 불상을 대표하고 있다. 민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작지만 분명하게 표현되어있다. 얼굴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풍만하다.
긴 눈, 작은 입, 평평한 콧잔등에서 위엄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으며 옷 주름은 느슨하고 형식적으로 표현되었다. 손은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고 있는데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였으며 단정하고 강인한 느낌을 준다. 거구의 불상이면서도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특이한 손 모양과 함께 당시 시대 양식의 반영인 것 같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래쪽은 연꽃을 엎어 놓은 모양으로 팔각형을 이루고 있다. 맨 위에는 반원형에 가까운 연꽃이 두 줄로 교차되어 있고, 앞면에는 세 마리의 사자상과 용머리 같은 것이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정제되고 균형 잡힌 모습을 나타내는데 위축되고 긴장감이 감소하며 탄력이 줄어든 점으로 볼 때 신라 말 작품으로 추정된다.
[특징]
머리 주위로는 낮은 층단이 띠처럼 표현되어 있는데 그 위로 작은 구멍이 돌아가며 뚫려 있다. 이러한 층단과 구멍의 흔적은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에 크게 유행한 보관 불상들의 예들을 통해서 볼 때 머리 위의 층단에는 원래 금속제의 보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좌는 8각대로 상대에는 16엽 단변 연화문을 2중으로 새겼고 앞 5면에 귀면을 묘사한 것이 특이하다.
[의의와 평가]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의 조성 시기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큼직한 단판의 연화문으로 이루어진 팔각 연화대좌의 상대와 안상이 조각된 중대석의 표현에서 경상남도 창녕에 있는 관룡사 석불좌상의 대좌[772년]와 유사한 점이 발견된다.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양식상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보관여래형 비로자나불상의 가장 오래된 예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