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최동규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3200864
한자 崔東奎
영어음역 Gang Seol
이칭/별칭 취오(聚五),지재(止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경상북도 김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손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1674년연표보기
활동 1699년연표보기
활동 1708년연표보기
출생지 경상북도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 지도보기
성격 의병
성별
대표 경력 훈련원주부

[정의]

조선 후기 김천 출신의 의병.

[가계]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취오(聚五), 호는 지재(止齋). 아버지는 최상도(崔尙道)이다. 동생으로 최창규가 있다.

[활동 사항]

최동규(崔東奎)[1674~?]는 지금의 김천시 조마면 신안리에서 태어났다. 8세에 『십팔사략(十八史略)』을 읽고 10세에 사서에 통달하였으며, 문예에도 특출하였다. 20세에 향시에 실패한 후 무예에 전념하여 26세인 1699년(숙종 25) 무과에 급제한 후 조정에 나아갔다. 1708년(숙종 34) 훈련원주부가 되어 오명항(吳命恒)이 인정한 장수감이 되었다. 1728년(영조 4) 무신란이 발생하자 전라도 운봉에서 동지를 규합해서 창의(倡義)하여 도순무사 오명항의 좌독장이 되었다.

진군하다가 운봉의 태조비 앞을 지나면서 “태조비 앞에서 재배하고 일어나니/ 청주의 비바람이 산하를 슬프게 하네/ 행군해 만약 흉적을 제거치 못하면/ 무슨 면목으로 남아 되어 이 자리에 다시 설까[太祖碑前再拜起 淸州風雨使人悲 今行若不除凶醜 何面男兒更到到斯].”라는 시를 읊었다. 죽산 장항령에 당도해 육박전을 벌이며 분전하다가 엄지손가락을 잃고 온몸에 부상을 입었지만, 전공은 남에게 돌렸다.

호남의 적이 거의 섬멸되자 안음의 적을 치게 되었는데 화살과 돌에 맞은 상처가 덧나 더는 종군이 불가능해졌다. “목숨을 다해 부끄럼이 없기를 맹세하였는데 이 지경에 이르렀다.”라고 통분해하며 진중에 남았다가 화가 극하여 순직하였다.

[상훈과 추모]

아우 최창규가 행적을 쓰고, 이종상이 묘갈문을 지었으며, 류후조가 행장을 닦았고, 허전이 전기를 찬술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