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701206
한자 龍岩里-祭
영어공식명칭 Religious Ritual for The Tree Spirit of Yongamri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의례/제
지역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유병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1982년연표보기 - 용암리 둥구나무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고 구전됨
문화재 지정 일시 2000년 12월 29일연표보기 - 느티나무[둥구나무]는 세종특별자치시 보호수 2000-4호로 지정
의례 장소 용암리 둥구나무제 -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47-9 지도보기
성격 동제|목신제
의례 시기/일시 매년 음력 정월 열엿새날 저녁
신당/신체 느티나무
문화재 지정 번호 세종특별자치시 보호수 2000-4호

[정의]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엿새날에 마을 느티나무 고목에 지내는 마을 제사.

[개설]

용암리 둥구나무제는 매년 음력 정월 열엿새날에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에서 느티나무에 지내는 목신제이다. 목신제를 지내고 난 후 줄다리기의 일종인 용암강다리기를 한다.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용암강다리기와 함께 치러지는 정월 세시풍속이다. 신목은 수령 400년의 느티나무로, 세종특별자치시 보호수 2000-4호로 지정되어 있다.

[연원 및 변천]

수백 년 넘게 전승된 용암강다리기의 역사에 비하여 목신제의 역사는 30여 년으로 짧다. 과거 마을의 느티나무[둥구나무]의 뿌리가 드러나고 나무의 줄기 가운데가 썩은 적이 있었다. 그때 현씨라는 사람이 마을의 느티나무가 운다는 이야기를 하자 사람들은 마을에 안 좋은 일이 생길까 두려워하여 1982년부터 둥구나무제를 지내고 있다. 1998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용암강다리기 출전을 계기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신목 주변을 정비하였다.

[신당/신체의 형태]

둥구나무제의 신목인 느티나무는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용암리 마을회관 뒤편에 있다. 나무 높이 15m, 둘레 4.9m이다. 느티나무는 언덕 위에 있다. 느티나무 주변은 높게 축대를 쌓아 보호하고 있다. 느티나무 앞에는 목신제를 지낼 수 있도록 시멘트로 단을 조성하여 놓았다.

[절차]

목신제는 음력 정월 열엿새날 저녁에 지낸다.

제관은 이장이 아헌관[제사에서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제관]을 맡고 총무가 유사[사무를 맡아 보는 사람]를 맡으며 노인회장 등 마을 어른들이 초헌관[제사에서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제관]·축관[제사에 축문을 읽는 사람]·종헌관[제사에서 세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제관]을 맡는다. 용암강다리기가 세종특별자치시의 대표적인 민속 놀이가 된 이후 세종특별자치시장이 와서 헌관을 맡기도 하였다.

1월 16일 저녁 7시경 마을회관에서 풍물패를 대동하고 제관 일행이 느티나무로 이동하면 가장 먼저 느티나무에 ‘고목지신(古木之神)’ 신위를 붙이고 느티나무 앞에 제물을 진설한다. 제물을 진설하고 제를 지내는 동안 횃불을 들고 고목 주변을 밝힌다. 제물은 팥시루떡, 돼지머리, 북어, 삼색실과, 술, 향, 쌀, 초 등이다. 제사는 분향강신-초헌-독축-아헌-종헌의 유교식으로 지낸다. 목신제를 마치면 마을회관 앞마당에 모여서 강다리기를 한다.

[부대 행사]

남녀가 편을 갈라서 줄을 당기는 용암강다리기가 있다.

[현황]

용암리 둥구나무제용암강다리기가 2016년 12월 30일 세종특별자치시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면서 용암강다리기 행사의 일환으로 용왕제와 함께 용암강다리기 보존회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 『연서면지』 (연서면지편찬위원회, 2013)
  • 석대권, 「용암강다리기」(『2016 세종민속문화의 해 세종시 무형문화유산 학술총서』 1,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7)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